"netzero"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 건 지구를 지켜라 김민재 리포터 2024-11-27 2024년 지속되는 기후변화, 탄소 배출량 또다시 최고치 기록 우리 모두는 기후변화를 늦추기 위해 대기 중 탄소를 줄이는 것이 시급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화석연료 배출량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즉, 지구 온난화 극복 플랜 또한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재생에너지와 전기차에 대한 투자는 화석연료에 대한 투자의 두 배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2021년과 2022년 사이 화석연료 프로젝트에 대한 보조금이 4배로 증가하면서 청정에너지 투자 효과가 상쇄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이 논문, 사람이 심사한 걸까?” AI가 바꾸는 과학 논문 심사의 미래 안전한 땅을 위해서는 지하수를 지켜라 일란성 쌍둥이들은 텔레파시를 주고받을까?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 중 재활용 소재로 만든 건 10% 미만" 인제대 연구팀, 스마트폰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개발 KAIST·경상대,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인 전해질 개발 농진청 "병원균 제어 환경서 돼지 사육하면 장기 이식 적합성↑" “어서와 과학 팝업은 처음이지?” 과학과 팝업이 만든 놀이문화 ‘별별잡화점’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화학硏,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유연한 열전소재 개발 속보 뉴스 "우주 자체가 회전할 수도"…허블 수수께끼 해결 가설 제시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KAIST, AI 이용해 자연에 없는 효소 설계 가능성 제안 美서 원자로 원조받던 나라에서…66년만에 역수출 이뤘다 "사탕수수 찌꺼기와 햇빛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수소 생산" 표준硏, 6G 저궤도 위성통신 성능 검증할 측정표준 개발 KAIST, 뇌처럼 스스로 정보 처리·학습하는 반도체 소자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