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8 건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12-31 Science가 선정한 2024년 10대 과학 이슈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는 연말이 되면 매년 한해를 빛낸 과학 이슈(breakthrough of the year) 10선을 선정해 발표한다.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이슈 10가지를 소개한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4-12-13 인류의 에이즈 정복, 어디까지 왔을까?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의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혁신의 바람이 불고 있다. 6개월에 한 번만 주사하면 되는 HIV 예방약 '레나카파비르'가 100%에 가까운 예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기존의 HIV 노출 전 예방약(PrEP: Pre-Exposure Prophylaxis)은 매일 복용하거나, 그렇지 못하더라도 자주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레나카파비르는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4-01-02 WHO, “M두창(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다시 전 세계로 퍼질 수 있다” WHO는 2023년 5월 지난 1년간 약 9만 명이 M두창에 감염되고 140명이 사망하자, 국제적 보건 비상사태로 격상했다. 이는 공중 보건에 대한 인식이 최고조에 달했던 코로나19 팬데믹 3년 차에 급속도로 확산되었기에 전 세계에 공포를 주기에 충분했다. 당시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소장은 M두창이 강력하고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에 이로 인해서 중대한 공중 보건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지속 가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2023년 12월 현재, 그의 말이 맞았음이 증명되고 있다. 12월 중순, WHO는 다시 M두창 경보를 울렸기 때문이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3-06-05 미신과 사이비 과학이 HIV 확산의 원인이 되고 있다? HIV바이러스와 에이즈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지만, 전 세계의 HIV 감염인 중 약 3분의 2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거주하고 있다. 그 확산 원인으로 에이즈에 대한 잘못된 속설들이 지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잘못된 속설에 기인한 사회적인 낙인은 에이즈 환자의 치료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생명과학·의학 김병희 객원기자 2021-01-15 면역 회피하는 바이러스, 언어분석 모델로 잡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팀이 언어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바이러스가 인체 면역을 회피하는 ‘바이러스 탈출’을 전산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고안해 '사이언스' 15일 자에 발표했다.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팀이 언어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바이러스 탈출’을 전산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고안해, 바이러스나 암 백신 등의 제조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모델은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의 어느 부분이 바이러스 탈출을 가능케 하는 돌연변이 확률이 더 높은지를 예측할 수 있어, 이론적으로는 돌연변이 가능성이 낮은 부분을 겨냥해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 생명과학·의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0-04-27 암 치료 방식으로 코로나19 치료 과학자들이 이암치료 방식을 코로나19 치료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T세포를 투입해 암을 치료해왔듯이 신종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T세포를 투입해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자는 것. 23일 ‘사이언스 데일리’에 따르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곳은 싱가포르 듀크 앤유에스 의대(Duke NUS Medical School) 연구팀이다. 생명과학·의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0-03-11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앞당긴다 10일 ‘사이언스 뉴스’는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리퍼포징 약물’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파인버그약대의 칼라 사철 교수는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과학자들이 HIV, C형 간염, 독감, 에볼라, 말라리아 등에 투여했던 약물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10-28 美, 국가 차원의 '정밀의료' 시스템 구축 NIH에서는 국민의 자발적인 참여 하에 유전자편집, 뇌과학, 면역치료 등 첨단 치료법... 생명과학·의학 김병희 객원기자 2019-03-06 “줄기세포 이식으로 에이즈 치료” 에이즈(HIV)에 저항성을 지닌 사람의 골수를 이식받은 환자가 1년 반 이상 증상이 없는 관해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상 두 번째로 ‘에이즈가 치료된’ 환자가 될 것인지 주목되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02-22 중국 ‘슈퍼 쌍둥이’ 지능 강화 가능성 22일 ‘데일리 메일’, ‘MIT 테크놀로지 리뷰’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유전자 가위 시술이 아기들의 학습(learning) 및 기억(memories) 능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 결과를 발표한 미국 LA소재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팀이다. 뇌과학자 알시노 실바(Alcino J. Silva)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허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가위(CRISPR–Cas9) 시술을 하면서 HIV 수용체로 알려져 있는 ‘CCR5’라 불리는 유전자를 제거했다고 말했다. HIV가 인체 혈액세포에 침투하기 위해서는 ‘CCR5’가 필요하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치매 예방하는 ‘마사지’, 효과 입증했다 눈을 감고도 어둠 속을 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역류가 대사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발견 알츠하이머병 감별하는 혈액 단백질 찾았다…"진단 활용 기대" 아기 습진, 너 좀 없어지면 안되겠니? "햇빛만으로 버려진 페트병에서 수소 생산" 친환경 기술 개발 "남녀 수학 성취도 격차, 초등 입학 4개월만에 나타나기 시작" ETRI, 스스로 배워 수면 상담해주는 AI 에이전트 개발 KAIST, 간의 미세한 노화 신호 잡아내는 분석 플랫폼 개발 영하 196도에서 고압 견디는 우주발사체용 부품 시험 성공 속보 뉴스 "만성 요통 위험 줄이는 데는 많이 걷는 게 효과적" 1천800년 전 경주 월성에 묻힌 개는 동경이?…유전자 비밀 푼다 체중 감량 효과 비교해보니…"비만 수술이 약물 치료의 5배" "개코원숭이도 어렸을 때 아빠 보살핌 받은 딸이 더 오래 산다" 몸속 암 찾는 박테리아로 실시간 암 위치 식별…수술 정밀도 ↑ "텔로미어 짧으면 뇌질환 위험↑…예방책은 건강한 생활습관" 스스로 전자 수준 정보 배워 물성 예측하는 AI…"정확도 2배↑"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