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에 대한 검색 결과 총 5 건 김현정 객원기자 2020-05-26 가짜를 만드는 진짜 기술의 발달 팩트 체크는 가짜와 진짜를 구별하는 것. 일반적으로 사실을 오독할 수 있는 가능성, 오류 등을 가려내는 필터링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요즘의 팩트 체크가 점검해야 하는 대상은 과거의 가짜와는 다른 차원의 것이다. 가짜를 만드는 기술이 점차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초·응용과학 심창섭 객원기자 2019-07-31 사진 속 어떤 얼굴이 진짜 사람일까? AI가 생성한 가짜 얼굴을 찾아내는 웹사이트에서 식별 비율이 60~75%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 3년 내로 가짜 이미지 구별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신소재·신기술 이강봉 객원기자 2018-11-19 ‘가짜 동영상’ 가려내는 기술 시급 최근 유튜브 등을 통해 가짜 동영상 뉴스들이 번지고 있다. 문제는 그 내용이 장난 수준을 넘어섰다는 점이다. 전 미국 대통령이었던 오바마가 현 미국 대통령인 트럼프를 향해 전혀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외치는 장면까지 나왔다. 신소재·신기술 이강봉 객원기자 2018-11-13 가짜 비디오 '딥 페이크' 세계를 강타 지난 5월 벨기에의 다른사회당에서 제작한 영상 하나가 SNS에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서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등장해 자신이 “파리 기후변화협약에서 탈퇴하는 데 망설이지 않았다”는 말을 하고 있었다. 이 영상이 뜨자 순식간에 수백 개의 댓글이 올라왔다. 미국 대통령이 벨기에의 기후변화 정책을 본받아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한 네티즌은 “트럼프는 남의 나라 기후변화 정책에 대해 왈가왈부하기 전에 미국 내 학교에서 미친 듯이 총을 쏴대며 학생들을 죽이는 살인범에 더 큰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며 미국 대통령을 비난했다. 그러나 이 영상에는 반전이 있었다. 13일 '가디언' 지에 따르면 이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트럼프가 말을 하고 있는 것처럼 교묘하게 제작된 가짜뉴스였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11-28 AI로 '진짜 같은 가짜 만들기' 경쟁 지난 10월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캘리포니아대학(샌디에이고 캠퍼스) 연구팀이 사람이 그린 그림 스타일을 배운 후 그 스타일 그대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개발했다는 것. 논문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두 개의 알고리듬으로 구성돼 있다. 하나는 ‘컨볼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술이다. 문장이가 그림 등의 스타일, 구조, 패턴 등을 분석하는 기능을 말한다. 연구팀은 CNN으로 하여금 아마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신발, 모자, 바지 등의 아이템들을 인식하도록 했다. 그리고 그 정보를 ‘생성적 대립쌍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에 적용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만한 이미지를 그래내도록 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눈을 감고도 어둠 속을 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역류가 대사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발견 아기 습진, 너 좀 없어지면 안되겠니? 루게릭병 유전자 변이가 일으키는 병리적 변화 밝혔다 영하 196도에서 고압 견디는 우주발사체용 부품 시험 성공 UNIST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 '유도미사일' 약물로 췌장암 치료 효과 획기적으로 높인다 수은 배출 줄었지만 북극 오염 증가 이유는…"해류 통한 유입" 딥러닝 기반 가상 염색을 통한 3차원 조직검사 기술 개발 UNIST, 휴대폰 액정화면으로 활용 가능한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속보 뉴스 에너지硏, 초대형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기술 국산화 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면역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 "친환경 화학원료 생산성 1.7배 높이는 대장균주 개발" "호주 보공나방, 밤하늘 별빛 이용해 매년 1천㎞ 이동한다"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만성 요통 위험 줄이는 데는 많이 걷는 게 효과적" 1천800년 전 경주 월성에 묻힌 개는 동경이?…유전자 비밀 푼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