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RF"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 건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08-29 해양 생태계 비상, 심해 산호초도 죽어가고 있다 산호가 하얀 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산호 백화(coral bleaching)’ 라고 한다. 해수 온도의 급격한 상승 또는 오염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세포조직 내에 살고 있는 황록공생조류가 한꺼번에 빠져나가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근래 세계 곳곳에서 산호 백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지난 4월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지는 “해양 열파로 인해 지난 2년 동안 호주 연안에 있는 대산호초(Great Barrier Reef)의 절반 가량이 죽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최근 들어서는 더 심각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그동안 산호초 파괴는 얕은 바다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를 통해 산호초 파괴가 깊은 바다로 퍼져나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안전한 땅을 위해서는 지하수를 지켜라 일란성 쌍둥이들은 텔레파시를 주고받을까? “어서와 과학 팝업은 처음이지?” 과학과 팝업이 만든 놀이문화 ‘별별잡화점’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화학硏,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유연한 열전소재 개발 "항생제 내성균 감염으로 인한 어린이 사망 연 300만명 넘어" "반려견, 주변 야생동물·생태계에 심각한 위협 될 수 있어" 철 함유 점토광물을 이용한 독성 오염물질 제어 메커니즘 규명 호기심이 깨어나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에 가다 출산 후 우울증: 아내와 남편이 함께 극복해야 할 여정 속보 뉴스 "혈액검사로 수술 후 섬망 예측…아밀로이드베타 많으면 위험" 부산대·인천대 연구팀, 근육 손상 환자 치료 바이오잉크 개발 화재 위험 없는 수계아연전지, 결정 형성 억제…내구성 3배↑ UNIST "게임기술 접목해 핵융합 시뮬레이션 속도 15배 향상" 바이러스 잡고 상처 회복까지…KIST, 다기능 펩타이드 개발 "우주 자체가 회전할 수도"…허블 수수께끼 해결 가설 제시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