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SPR-Cas9"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0 건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3-12-27 인공생명체 개발, 끝이 보인다 미국, 중국, 프랑스, 영국 등 200여 명으로 구성된 ‘효모 합성유전체 프로젝트(Sc2.0·Synthetic Yeast Genome Project)’ 국제 공동 연구진이 16년 만에 효모의 게놈(유전체) 전체를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50% 이상이 인공유전체인 인공효모를 합성했다. Sc2.0은 지난 11월 이 연구 결과를 ‘셀(Cell)’과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등 저명 국제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통해 공개했다. 효모의 전체 유전자를 조작하여 약물, 연료 등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시대가 머지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생명과학·의학 한소정 객원기자 2023-11-21 반인반수 키메라의 시대가 올까? 서로 다른 종, 혹은 서로 다른 개체를 섞어 놓은 것 키메라를 생물학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있다. 우리는 어디까지 왔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생명과학·의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0-03-06 최초 ‘인체 내’ 크리스퍼 시술 사상 최초의 크리스퍼 시술이 진행되고 있는 곳은 오레곤 보건‧과학대학 케이시 안과연구소다. 5일 ‘가디언’, ‘NPR’ 등 주요 언론들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체내 시술이 지금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시술 대상은 유전성 희귀질환인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LCA)’를 앓고 있는 3~17세 환자 18명이다.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시력이 소실되고, 눈 떨림, 완만한 동공반사, 망막이상증 등으로 인해 고통을 겪어왔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10-24 결점 보완한 새로운 유전자가위 개발 22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프라임 에디팅(prime editing)’이라 부르는 이 최신 유전자가위 기술은 표적 유전자에...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01-08 ‘양념 맛 토마토’가 등장했다 얼마 안 있어 양념고추 맛이 나는 토마토 요리를 먹을수 있게 될 전망이다. 8일 ‘인디펜던트’, ‘가디언’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브라질 비소사 연방대학의 연구팀이 유전자편집 기술을 적용해 칠리고추(chili pepper) 맛이 도는 토마토를 개발했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유전자편집 기술을 사용해 키위 색깔을 바꾸고 딸기 맛을 변화시키는 등 다양한 종류의 과일과 채소를 개발해왔다. 그러나 비소사 대학 연구 결과는 과거 사라졌던 채소 맛을 복원한 것으로 진화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01-04 유전자가위 놓고 미‧중 패권 경쟁 프랑스 보르도 대학의 뇌과학자인 에르완 베자르(Erwan Bezard) 교수는 두 달 중 일주일 꼴로 중국을 방문하고 있다. 그가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중국을 빈번하게 방문하고 있는 이유는 중국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키우고 있는 영장류를 만나기 위해서다. 그는 중국에서 사육되고 있는 유전자편집 영장류를 통해 퇴행성 질환 관련 자료를 얻고 있다. 3일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따르면 실제로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실험용 영장류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다. 또한 영장류를 소재로 한 유전자편집 관련 논문 중 95%를 발표하고 있는 나라이기도 하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03-21 호프 없이 호프 맥주 만들 수 있다 21일 미국 과학 논문 소개 사이트인 ‘유레칼러트(eurekalert)’는 미국 UC 버클리의 생물학자들이 새로운 맥주 발효용 효모를 개발했으며, 이 효모를 통해 호프의 독특한 향을 풍기는 맥주를 양조할 수 있었다고 보도했다. 실험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양조회사 라구니타스 브루잉 컴퍼니(Lagunitas Brewing Company)에서 진행됐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한 효모로 만든 맥주에서 호프 맛이 풍기는지 그 여부를 알기 위해 이중부지통제(double blinded control) 방식을 적용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09-21 유전자가위로 나비 날개 그리다 20일 ‘뉴욕타임즈’, ‘사이언스’ 등 주요 언론들은 과학자들이 나비 날개가 지니고 있는 색상·패턴의 비밀을 해득하기 시작했으며, 머지않아 새로운 색상으로 나비 날개를 디자인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런 일이 가능해진 것은 크리스퍼-카스9(CRISPR-Cas9)라 불리는 유전자 편집기술 때문이다. 특정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파악한 후 3세대 유전자 가위로 유전자를 절단하고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17-08-11 '유전자 가위' 새 버전으로 난치병 치료 CRISPR-Cas9 '유전자 가위'를 RNA 절단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재가공해 루게릭 병 등의 난치병을 실험실에서 치료하는데 성공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08-07 유전자가위 기술, 어디까지 왔나? 수정란 복제 배아줄기세포 분야에서 최고 석학으로 알려진 미국 오리곤 보건과학대학의 번식생물학자인 슈크라트 미탈리포프(Shoukhrat Mitalipov) 교수는 미국은 물론 한국, 중국 등 여러 지역에서 공동연구를 이끌고 있다. 그동안 큰 관심을 기울여왔던 것은 돌연변이 유전자다. 유전자를 구성하는 DNA 구조에 변화가 생겨 유전자의 모습이나 성질이 변화한 것을 말한다. 이들 유전자로 인해 비후성 심근증 등 급작스러운 질병을 유발하고 있었다. 교수는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를 이용해 인간 배아에서 유전질환인 비후성 심근증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고치는 데 성공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이를 낳으면 삶이 더 의미 있어지지만 만족스럽지는 않다?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우주에서 온 세 번째 편지: 성간 혜성 3I/ATLAS가 전하는 우주의 비밀 “너를 ‘러브’하지 않지만…” 러브버그 대발생 시대, 친환경 방제 연구 필요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카자흐스탄 리포트 3]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허브를 꿈꾸다 장내 미생물 이용해 악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우주 수수께끼 '백색왜성의 이중폭발' 직접 증거 찾았다 속보 뉴스 "온난화로 빙하 녹는 속도 가속…전 세계 화산 폭발 위험 증가" "헬리코박터 검사·치료하면 세계 위암 1천186만명 예방 가능" KAIST·서울아산병원, 부작용↓ 효과↑ 칸디다증 치료제 개발 "일교차로 물 모아 전기 만드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개발" "4억6천만년 전 오르도비스기 생물대방산 실체 새롭게 규명했다" 韓 초등생 우주 꿈, ISS서 생중계됐다…"큰 한 걸음 될 것" 내성 암세포를 항암제에 민감하게 만드는 유전자 예측한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