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N"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0 건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12-30 네이처誌, “2025년 이 인물에 주목”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는 지난 9일 2025년 과학계가 주목해야 할 인물 3인을 선정해 발표했다. 과학 연구와 정책을 바꿀 3인을 소개한다.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10-07 가장 무거운 반(反)물질, 13년 만에 기록 갱신 우리가 사는 세상은 대칭을 잃으며 만들어졌다. 빅뱅 직후 우주에는 같은 양의 물질과 반(反)물질이 만들어졌다. 물질과 반물질은 무게, 모양 등 다른 성질은 모두 같은데 전기적 성질만 다르다. 물질과 반물질이 만나면 즉시 빛을 내며 사라져 버린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반물질이 사라지고 물질만 남게 되고, 우리의 우주가 만들어졌다. 인류는 세상이 생겨날 수 있었던 원동력, 즉 우주 기원의 비밀을 아직 모른다. 비밀의 풀 열쇠는 반물질에 있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2-03-16 [우크라 침공] 전쟁은 과학에도 영향을 미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과학에서 국제 협력 관계가 지속되어야 하는지 혹은 글로벌 프로젝트에서 러시아의 참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또한 각국에서 수행하고 있는 러시아에 관한 크고 작은 제재들이 과학에도 적용되어야 하는지 등에 관한 의문을 낳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1-12-08 입자가속기에서 유령입자 최초 탐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어바인캠퍼스(UC 어바인)의 물리학자들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이 입자가속기 내부에서 중성미자의 징후를 최초로 탐지하는 데 성공했다. 유령입자로 알려진 이 작은 입자들은 스위스 제네바 근처에 있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대형강입자가속기(LHC)에 설치된 새로운 소형 검출기의 시험 운행 중에 발견됐다. 기초·응용과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0-06-23 암흑물질 잡을 미래형 가속기 만든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고에너지 물리학의 경계를 넓히기 위한 큰 발걸음을 드디어 내딛기로 결정했다. 지난 19일(현지 시간) CERN 이사회는 2014년부터 타당성 조사를 해온 ‘미래형 원형 충돌기(FCC)’의 건설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기초·응용과학 심창섭 객원기자 2019-11-19 반물질을 이용한 암흑물질 탐색 유럽입자물리연구소 연구팀이 반양성자를 이용해서 유력한 암흑물질 후보인 액시온...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10-18 암흑물질 ‘액시온’ 닮은 준입자 발견 독일 막스플랑크 물리화학연구소에서 결정체 안에 숨어 있는 준입자를 발견했다고... 기초·응용과학 김순강 객원기자 2016-07-14 "과학은 세계 누구나 통하는 공용어" “오늘날과 같은 치열한 경쟁시대에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역의 경계를 넘어서는 글로벌 협력으로 혁신적 연구를 계속해 나가는 것이 바로 거대과학 연구 인프라의 사명이자 임무라고 생각합니다.” 13일 과총 50주년을 기념해 ‘과학기술을 통한 더 위대한 미래’라는 주제로 열린 ‘세계과학기술인대회(WCSE)’ 기조강연에서 롤프 디터 호이어 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소장이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거대과학 인프라의 임무에 대해 이처럼 강조했다. 김연희 객원기자 2013-11-22 콜라보레이션, 문제해결의 힘 콜라보레이션의 힘은 세다. 위키피디아(Wikipedia)는 전문가를 이긴 ‘누구나’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 지를 잘 보여주는 예이다. 전문가와 편집인에게 맡겼던 편집권을 네티즌들에게 대표적으로 위임한 결과 미국 내 온라인 백과사전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97%가 방문하는 지금의 위키피디아를 탄생시켰다. 2012년 8월 기준으로 현재 전 세계에서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편집위원 2012-12-31 우주입자에서 줄기세포까지… 2012년이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새해에 기대가 주어지는 과학도 있다. 천문학인데 미국 NBC는 천문학자들이 과연 지구와 자연환경이 비슷한 ‘어스 트윈(earth twin)' 행성을 발견해낼 수 있을지 과학기술계 이슈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푸에르토리코 대학 아레시보 행성거주가능성 연구소(Arecibo's Planetary Habitaility Labora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이를 낳으면 삶이 더 의미 있어지지만 만족스럽지는 않다?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우주에서 온 세 번째 편지: 성간 혜성 3I/ATLAS가 전하는 우주의 비밀 “너를 ‘러브’하지 않지만…” 러브버그 대발생 시대, 친환경 방제 연구 필요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카자흐스탄 리포트 3]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허브를 꿈꾸다 장내 미생물 이용해 악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우주 수수께끼 '백색왜성의 이중폭발' 직접 증거 찾았다 속보 뉴스 "온난화로 빙하 녹는 속도 가속…전 세계 화산 폭발 위험 증가" "헬리코박터 검사·치료하면 세계 위암 1천186만명 예방 가능" KAIST·서울아산병원, 부작용↓ 효과↑ 칸디다증 치료제 개발 "일교차로 물 모아 전기 만드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개발" "4억6천만년 전 오르도비스기 생물대방산 실체 새롭게 규명했다" 韓 초등생 우주 꿈, ISS서 생중계됐다…"큰 한 걸음 될 것" 내성 암세포를 항암제에 민감하게 만드는 유전자 예측한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