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의학 정회빈 리포터 2025-07-18 가려워도 긁으면 안 된다면서 우리는 왜 계속 긁을까? 긁는 행동이 가려움에 대한 반사작용 이상의 생물학적 의미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긁는 행위는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피부의 면역 반응을 증폭시키고 병원균에 대한 방어력을 높였다. 이번 연구는 가려움-긁기의 신경면역 회로를 규명하고, 긁는 행동이 진화적 결과물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7-18 "달 토양서 물 추출→물과 CO₂를 산소·연료물질로 전환 성공" 중국 연구진이 햇빛과 열을 이용해 달 토양에서 물(H₂O)을 추출하고 달 토양의 광열 촉매 반응으로 물과 이산화탄소(CO₂)를 연료 제조나 우주비행사 호흡에 필요한 산소(O₂)와 수소(H₂), 일산화탄소(CO)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달 토양의 물과 이산화탄소를 산소·수소·일산화탄소로 바꾸는 광열반응 설명 그림. 중국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7-18 "기체 응축돼 고체 광물 형성되는 초기 외계행성계 첫 포착" 지구에서 1천300광년 떨어져 있는 100만년도 안 된 어린 별 주위에서 뜨거운 일산화규소(SiO) 가스가 응축돼 행성 재료인 뜨거운 고체 광물 입자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초기 외계행성계가 처음으로 포착됐다. 형성 중인 초기 외계행성계 포착된 1천300광년 밖 어린 별 'HOPS-315' 칠레의 대형 전파망원경 '아타카마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7-18 술 때문에 생기는 간 손상 원리, 분자 수준서 처음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음주로 인해 간염이 유발되는 원리를 최초로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정원일 교수와 서울대 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술을 마셔서 생기는 간 손상과 알코올성 지방간염(ASH)의 발생 구조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과도한 음주 시 간의 말초정맥 주변 간세포에서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18 종이처럼 접히는 하이드로젤로 정교하게 약물 전달 하이드로젤 미세 기공 작동원리 모식도 ⓒ윤현식 교수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서울과학기술대 윤현식 교수와 서울대 이원보 교수 공동 연구팀이 하이드로젤 미세 기공을 종이접기처럼 설계해 팽창 시 정밀하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하이드로젤은 온도나 산도(pH) 같은 환경 자극에 따라 물을 흡수하거나 방출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18 KIST, '약물 전달체' 엑소좀에 섞기만 해도 mRNA 담는 기술 개발 큐보좀과 엑소좀의 혼합을 통한 약물 로딩기술 ⓒKIST 제공 차세대 약물 전달체로 꼽히나 큰 분자 약물을 넣기 어려웠던 엑소좀에 10분 내로 큰 분자를 빠르게 담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김호준 선임연구원, 뇌융합연구단 김홍남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단순히 섞기만 해도 분자량이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5-07-17 ‘호흡 지문’을 아시나요? 사람마다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해 개인을 식별하듯, ‘숨’으로 개인을 식별할 수 있게 됐다. 96.8%의 정확도로 음성 인식만큼 정확하다.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17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같은 온도 유지…에너지자립 온실을 가다 한국기계연구원이 운영중인 온실 실증시설 ⓒ촬영 박주영 "연료전지와 태양열, 히트펌프 등 삼중 열원을 통해 완전한 에너지 자립이 가능한 온실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지난 14일 전북 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내 온실 실증시설. 660여㎡ 규모의 비닐하우스 안에 원통형 덕트를 감고 있는 덩굴마다 붉고 푸른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7-17 암 연관 'ATM 유전자' 변이 2만7천여개 분석…"정밀의료 기대" DNA 연구 (PG) ⓒ정연주 제작 국내 연구진이 암, 희귀질환 발생에 관여하는 ATM 유전자 변이 전체를 분석하고, 일부 변이의 위해 여부 등 기능을 밝혀냈다. 세브란스병원은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 연구팀이 암과 희귀질환 발생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ATM 유전자의 단일 염기 변이 2만7천513개를 전수 평가하는 데 성공했다고 15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17 하이드로겔 이용해 인간의 뇌 닮은 신경세포 플랫폼 개발 인간의 뇌 닮은 신경세포 플랫폼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뇌공학과 박제균·남윤기 교수 공동연구팀이 뇌 조직과 유사한 천연 하이드로겔을 이용해 뇌의 구조적·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할 수 있는 신경세포 네트워크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뇌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30세까지 살았던 개 그리고 38년을 넘게 산 고양이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다시 돌아온 '오징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남은 문제는? 눈을 치료하는 윤부줄기세포 中연구진, '꿀벌을 정찰드론으로' 초경량 뇌 조종장치 개발 "무릎 위 절단 환자, 자연스럽게 걷게하는 생체공학 의족 개발" 소두증 등 희소 질환 단백질 발현 조절 분자 기작 첫 규명 "성인기에 신체활동 수준 높이면 사망위험 30~40% 낮아진다" ‘호흡 지문’을 아시나요? 블랙홀 고리 찌그러진 이유, 아인슈타인 중력이론으로 설명 못해 속보 뉴스 "달 토양서 물 추출→물과 CO₂를 산소·연료물질로 전환 성공" "기체 응축돼 고체 광물 형성되는 초기 외계행성계 첫 포착" 술 때문에 생기는 간 손상 원리, 분자 수준서 처음 밝혔다 종이처럼 접히는 하이드로젤로 정교하게 약물 전달 KIST, '약물 전달체' 엑소좀에 섞기만 해도 mRNA 담는 기술 개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같은 온도 유지…에너지자립 온실을 가다 암 연관 'ATM 유전자' 변이 2만7천여개 분석…"정밀의료 기대"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