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초기 상황을 파악하는 일은 방역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팬데믹이 발생한지 1년여가 지난 지금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들이 중국에 들어가 코로나19가 어떻게 시작됐는지 그 기원에 대한 조사를 시작할 전망이다.
12일 ‘BBC’, ‘LA 타임지’,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 등 주요 언론들은 WHO를 통해 파견된 과학자들이 오는 14일(목, 현지 시간) 중국에 도착해 베일에 가려져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들이 오는 14일 중국에 들어가 신종 바이러스 기원을 조사할 예정인 가운데 조사 과정에 대해 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세계보건기구 사이트. ⓒWHO
팬데믹 발생 1년여 만에 중국 입국 승인
그동안 9000만 여명을 감염시키고 190만 여명의 생명을 앗아간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음모론이다.
그중 하나는 신종 바이러스(SARS-CoV-2)가 중국 실험실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바이러스 기원에 대한 다양한 논문이 발표됐다.
지난해 9월 ‘미국 열대의학 및 보건위생 저널(AJTMH)’에 발표된 ‘The Origin of COVID-19 and Why It Matters’이란 제목의 논문은 신종 바이러스의 기원을 동남아시아 등에 번식하는 박쥐, 천산갑 등의 동물에게서 찾고 있었다.
박쥐, 천산갑에 감염된 코로나 바이러스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진화했고, 이 동물들이 중국 시장에서 사람에게 판매되면서 ‘아직 알려지지 않은 종(still-unknown intermediate species)’으로 진화해 지금의 코로나19 바이러스로 도약했다는 내용이다.
그동안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이 논문에서 주장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일반적인 합의(general consensus)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해를 넘긴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이 전염병이 어떻게 시작됐는지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중이다.
가장 큰 이유는 중국 정부가 신종 바이러스 기원에 대한 연구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AP’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생한 중국 남부지역 과학자들에게 바이러스 기원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면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출판 전 승인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세계 과학계는 이런 상황에서 투명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없다며, 중국 당국의 지나친 간섭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중이다.
조사팀의 중국 방문 역시 어렵게 이루어졌다. 지난주 방문을 신청한 2명의 WHO 전문가가 입국을 거부당했고, 수일 만에 입국이 승인됐다. 중국 정부 방침에 따라 조사 과정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중이다.
최종 목표는 신종 바이러스 뿌리 추적
WHO와 중국이 만나 바이러스 기원에 대한 조사를 협의한 것은 지난해 10월이다.
중국 보건위원회에 따르면 조사를 위한 국제 전문가 선발과정을 거쳐 10월 말 온라인으로 첫 번째 회의를 개최했으며, 지금까지 4번의 회의가 진행됐다.
협의 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의 첫 번째 임무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다. 신종 바이러스가 2019년 12월 중국에서 확인된 첫 번째 사례보다 더 일찍 존재했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병원기록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어 바이러스 발원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해산물 시장을 다시 살펴볼 예정이다. 세간에서 알려져 있는 것처럼 이 시장에서 신종 바이러스가 퍼져나갔는지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다.
그다음은 박쥐, 천산갑을 감염시켰던 신종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어떻게 전파됐는지, 또 그 과정에서 바이러스 진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과정을 추적하게 된다. 이번 조사팀 임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 같은 추적 과정에서 조사 참여자들이 중국 정부로부터 얼마나 많은 접근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는지 아직 미지수다.
싱가포르 국립대학의 아옐렛 버맨(Ayelet Berman) 교수는 12일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 지를 통해 “중국 정부가 조사팀에게 사람, 데이터 및 위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무제한 허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그렇게 간단할 것 같지 않다.”고 전망했다.
중국 초청을 받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의 판단에 따라 무제한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것.
반면 호주국립대 도미닉 미거(Dominic Meagher)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조사팀을 신뢰해야 할 분명한 이유가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 역시 그동안 신뢰성에 대한 불만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WHO의 이번 조사 과정은 향후 팬데믹 사태의 향방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절차다. 신종 바이러스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그 근원을 알지 못하면 유사한 과정에 따라 또 다른 사례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
그러나 이번 조사 과정의 성패를 중국 정부가 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사팀의 움직임을 좌우할 절대적 통제 권한을 갖고 있는 만큼 향후 어떤 입장을 취할지에 대해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44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