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사태가 이어지면서 과학자들은 바이러스 연구에 매진해왔다. 특히 새롭게 출현할 수 있는 계절성 독감을 대상으로 모든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 백신(universal flu vaccine)’ 개발에 주력해왔다. 8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이런 노력이 최근 열매를 맺고 있다. 유니버셜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소규모 임상시험에서 첫 번째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내용의 논문이 7일(현지 시간) ‘네이처 메디신’ 지에 발표됐다.
2020.12.08 이강봉 객원기자고온형 세라믹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니켈(Ni)의 양을 20분의 1로 줄이면서 안정성은 5배 이상, 발전 성능은 1.5배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화재 위험이 없는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주목받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 장치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세포 미세 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물질을 개발해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손상 경로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려는 기업들이 솔루션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AI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에서 전기차 급속 충전 실증에 착수했다.
정부가 신산업진출 목적으로 사업재편을 승인받은 중소·중견기업 중 10여개사를 선정해 올해 총 10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광주시, 경기도, 부산시가 참여하는 인공지능(AI)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사업이 닻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