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사이언스 뉴스(Science News)’에 따르면 인공지능에게 ‘숫자 감각’을 학습시키고 있는 곳은 독일 튀빙겐 대학이다. 튀빙겐 대학의 신경과학자인 안드레아스 니더(Andreas Nieder) 교수는 연구진을 이끌고 동물‧기구 등의 수를 인지할 수 있는 신경세포를 모방한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인공신경망이 다양한 이미지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했다. 다음에 신경망을 구성하고 있는 인공 뉴런(세포) 들이 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학습을 진행했다. 그리고 최근 사람처럼 ‘숫자 감각’을 발휘하게 하는데 성공했다.
2019.05.14 이강봉 객원기자어떤 중요한 일이 실패했을 때, 실패를 딛고 다시 추진하려면 어떤 반응을 보여야 할까.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보면 우선 이성적으로 분석해서 원인을 발견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어떤 반응이 더 효과적일까? 최근 나온 연구는 감정적인 반응이 다음에 문제를 해결할 때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미국 캔자스대학 (University of Kansas) 마케팅 교수가 주도한 연구에서 나타난 이같은 결과는 최근 ‘저널 오브 비해이비어럴 디시전 메이킹’(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에 게재됐다.
2017.09.20 심재율 객원기자정부는 10월 누리호 발사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
정부가 연구개발(R&D) 사업이 끝난 뒤에도 연구진의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연감을 제작하고 성과 추적조사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중견연구·신진연구·생애첫연구·재도약연구 등에 2천647개 과제를 새로 선정, 3월부터 연구할 수 있게 3천657억원을 지원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주차 로봇'에 대한 실증이 시작된다.
스마트 교차로·사물인터넷 서비스망·공유와이파이 플랫폼 구축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함께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와 산업 간 융합을 통해 개발된 혁신 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D·N·A 대중소 파트너십 동반진출' 사업을 시작한다.
광주 자치구 보건소에 인공지능(AI) 의료 시스템이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