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문화 기업사회공헌] S/I/M 온라인 콘텐츠
국내 최대 규모의 전자산업사 박물관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S/I/M)은 초기 과학 발명가와 기업이 구축한 전자산업의 역사부터 미래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박물관입니다.
학생과 가족 단체를 비롯하여 전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사회와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주에는 ‘세상을 바꾼 전자산업사 이야기’의 다섯 번째 영상 ‘윌리엄 쇼클리와도체’반도체를 통해 반도체의 역사를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S/I/M 뉴스레터를 통해 트랜지스터 발명의 우연과 나비효과에 대해 알아볼까요? [S/I/M 뉴스레터 보러 가기]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TV, PC, 모바일과 같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기본 소자는 다름 아닌 트랜지스터입니다. 집적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만드는 기본 구성이기도 한 트랜지스터는 1947년 벨 연구소의 윌리엄 쇼클리(William Shockley), 월터 브래튼(Walter Brattain), 존 바딘(John Bardeen) 3인이 발명하였으며 이 세 사람은 공로를 인정받아 1956년 노벨물리학 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트랜지스터 발명은 세 사람의 천재적인 재능과 노력 외에도 우연과 실수라는 요소가 작용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3인의 과학자는 진공관 다이오드를 대체할 수 있는 반도체 개발을 위해 실리콘과 게르마늄 소재로 수많은 실험을 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게르마늄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얇은 산화 막을 실수로 씻어내어 금 접촉 단자가 게르마늄에 직접 연결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우연의 사고를 통해 게르마늄 반도체 표면에 두 개의 회로가 근접하면 전류가 증폭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면서 트랜지스터 발명의 실마리를 풀 수 있었습니다.
이후 윌리엄 쇼클리는 실리콘을 활용한 트랜지스터 개발을 위해 1956년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 반도체 연구소(Shockley Semiconductor Laboratory)를 설립하는데요. ‘실리콘’은 이때부터 첨단 기술을 일컫는 말로 통용되었고, ‘실리콘 밸리’의 역사가 시작되어 오늘날 세계적인 반도체 회사의 탄생으로 이어집니다.
이렇듯 트랜지스터는 단순한 발명이 아닌 과학적 패러다임의 혁명이라고 볼 수 있을 만큼 큰 파급효과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S/I/M 뉴스레터 18호 ‘트랜지스터 발명의 우연과 나비효과’ 칼럼을 통해 알아본 트랜지스터 발명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그 영향력 어떠셨나요?
2018년 2월부터 발행을 시작한 S/I/M 뉴스레터는 두 달에 한 번씩 격월로 발행되는 소식지로 다양한 과학기술과 역사 이야기를 소개할 뿐만 아니라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의 신규 프로그램, 소식 등을 전하고 있습니다.
구독 신청자에 한해 전달되고 있는 S/I/M 뉴스레터,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구독 신청하고 다양한 과학기술과 역사 이야기를 함께 만나보세요!
지금까지 기사로 만나본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의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는 S/I/M 공식 홈페이지에서 모두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S/I/M 홈페이지 바로 가기]
(47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