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문화 기업사회공헌] S/I/M 온라인 콘텐츠
국내 최대 규모의 전자산업사 박물관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S/I/M)은 초기 과학 발명가와 기업이 구축한 전자산업의 역사부터 미래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박물관입니다.
학생과 가족 단체를 비롯하여 전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사회와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주에는 ‘세상을 바꾼 전자산업사 이야기’의 네 번째 영상 ‘제임스 해리슨과 냉장고’를 통해 냉장고의 발명 스토리를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S/I/M 뉴스레터를 통해 전자제품에 없어서는 안될 반도체의 기술에 대해 알아볼까요?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문학, 화학, 물리학, 의학 등 여러 분야에서 인류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노벨상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대부분 순수 과학 또는 기초 과학 분야의 업적에 수여되는 노벨상이 이례적으로 반도체와 관련한 수상이 과거 네 차례나 있었습니다. 반도체 기술이 산업 전반에 끼친 영향력을 인정한 결과로도 볼 수 있는데요.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반도체 기술로 노벨상을 수상한 첫 번째 사례는 1956년, 미국의 윌리엄 쇼클리(William Shockley), 존 바딘(John Bardeen), 월터 브래튼(Walter Brattain)입니다. 이들은 p-n 접합형 트랜지스터를 발명함으로써 현대 전자공업의 기초를 세운 공을 인정받아 노벨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시상 연설문 속 비유적인 표현을 통해 트랜지스터의 원리와 의의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1973년에는 일본의 에사키 레오나(Leo Esaki), 미국의 이바르 예이베르(Ivar Giaever), 그리고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Brian David Josephson)이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링 현상을 발견하여 노벨상을 수상했는데요. 터널링 현상이라는 다소 생소한 용어의 의미와 연구 의의를 연설문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수상은 2000년입니다. 조레스 알페로프(Zhores Alferov), 허버트 크뢰머(Herbert Kroemer), 잭 킬비(Jack Kilby)가 정보 통신 기술의 기초 연구와 집적회로 발명으로 21세기의 첫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했습니다. 그들의 노벨상 시상 연설을 통해 집적회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2009년에는 CCD 개발 및 광섬유 내부의 빛 전달과정 연구에 기여한 찰스 가오(Charles K. Kao), 윌러드 보일(Willard Boyle), 그리고 조지 스미스(George Smith)가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시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전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는 세상이 펼쳐진 건 이들의 발명 덕분인데요. 노벨 시상 연설을 통해 발명의 위대함을 느껴볼 수 있습니다.
S/I/M 뉴스레터 19호 ‘노벨상 연설로 보는 반도체 기술’ 칼럼을 통해 노벨 시상자들의 당시 연설을 확인해보고 반도체 기술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요?
2018년 2월부터 발행을 시작한 S/I/M 뉴스레터는 두 달에 한 번씩 격월로 발행되는 소식지로 다양한 과학기술과 역사 이야기를 소개할 뿐만 아니라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의 신규 프로그램, 소식 등을 전하고 있습니다.
구독 신청자에 한해 전달되고 있는 S/I/M 뉴스레터,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구독 신청하고 다양한 과학기술과 역사 이야기를 함께 만나보세요!
다음 기사에서는 오늘 배운 내용과 연계하여 반도체의 발명 스토리를 다루고 있는 ‘세상을 바꾼 전자산업사 이야기’ 다섯 번째 영상 ‘윌리엄 쇼클리와 반도체’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이전 콘텐츠 살펴보기 : 하단 클릭]
(48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잉여 영양분을 세포 안에 축적해 살이 찌게 하는 '백색 지방세포'를 영양분을 태워 없애는 '갈색 지방세포'로 바꾸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고명곤 교수팀이 전북대 안정은 교수팀과 공동으로 TET(Ten-eleven translocation) 단백질을 억제하면 백색 지방세포가 갈색 지방세포화 되고, 기존 갈색 지방세포는 더 활성화돼 열량 소비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는 말처럼 몸에서 나는 냄새가 비슷한 사람끼리 서로 알아보고 친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과학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친구를 맺은 사람들이 낯선 사람들보다 체취가 비슷할 가능성이 높으며, 냄새 판별 기기인 전자코(eNose)를 통해 체취를 확인하면 서로 낯선 두 사람이 친구가 될 수 있는지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케미가 맞는다'라는 말을 많이 해왔는데 실제로 후각 차원에서 화학(chemistry)이 작용하는 셈이다.
기후변화로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짙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기후변화와 오존을 주제로 한 현안 보고서를 27일 홈페이지(www.nier.go.kr)에 공개한다. 보고서는 그간 나온 국내외 논문·통계자료·기사 등을 종합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평균 오존 농도는 1989년 0.011ppm에서 2020년 0.03ppm으로 상승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 Net)으로 누리호 탑재 위성들을 포착했다고 24일 밝혔다. 누리호가 성능검증 위성과 더미 위성을 궤도에 무사히 올려놓은 것을 확인한 것이다. 천문연은 누리호 발사 당일인 지난 21일 오후 8시 20분부터 모로코에 있는 OWL Net 2호기로 추적을 시작해 22일 낮 12시 52분 3초와 오후 1시 3분 26초 사이에 발사체 3단과 더미 위성을 관측했다.
노화는 인간을 비롯해 모든 동물의 피할 수 없는 운명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장수'의 상징이 돼온 일부 거북 종은 놀라울 정도로 적은 노화 현상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는 최신호에서 이런 증거를 제시한 두 편의 논문을 나란히 다뤘다.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등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 생태학 부교수 데이비드 밀러 박사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거북은 물론 양서류와 뱀, 악어 등을 포함한 사지 냉혈동물 77종의 노화와 수명을 비교했다.
유방암은 흔한 암 유형 가운데 하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는 사람이 약 230만 명에 달한다. 유방암도 초기에 찾아내면 대체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다른 부위로 전이된 상태에서 발견되면 훨씬 더 치료하기 어렵다. 암의 전이는, 원발 암에서 떨어져 나온 '순환 종양 세포' 클러스터(CTCs)가 혈류를 타고 다른 기관으로 이동해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화성 탐사 후발주자인 중국이 미국보다 2년 앞서 화성 암석시료를 지구로 가져올 것이라고 중국 우주탐사 관계자가 밝혔다. UPI 통신과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의 화성탐사 미션 '톈원(天問)1'을 설계한 쑨쯔어저우 연구원은 지난 20일 난징대학 개교 120주년 세미나에 참석해 우주선 두 대를 활용해 화성 암석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는 '톈원3호' 계획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