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2일 독도와 독도주변 바다 속 세계를 가상체험할 수 있는 ‘독도 4D 종합시뮬레이터’와 모바일 환경의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독도 4D 종합시뮬레이터’는 국토부가 2006년부터 수행하는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 연구’에 최첨단 기술을 접목해 제작한 것으로 독도의 모습과 주변 바다에서 일어나는 해양현상과 생태계 변화를 실감 나게 체험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독도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다.
3D 입체영상과 영상에 맞춰 움직이는 모션베이스로 구성된다.
입체 영상물은 전국 교육청을 통해 초·중·고교에 배포되며 일반 국민은 다음달 3일부터 개최되는 ‘독도전시회'(교육과학기술부 주최)를 통해 만나 볼 수 있다. 모션베이스를 갖춘 독도 4D 종합시뮬레이터는 오는 7월 개관하는 국립해양박물관(부산 소재) 등에서 체험할 수 있다.
또 ‘독도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의 독도관련 앱과는 차별화해 독도의 일반현황과 해양과학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형 앱과 가상 보트를 타고 독도와 주변 해양을 체험할 수 있는 3D 체험형 앱’으로 구성돼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이를 통해 독도를 안방에서도 흥미롭고 실감나게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깊이 있는 독도 관련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독도 체험'(가칭)이라는 이름으로 다음달 9일부터 배포될 예정인 이 앱은 플레이스토어(갤럭시폰 사용자), 애플스토어(아이폰 사용자)에서 무료로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다.
(275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 사멸 조절 기작을 발견, 암 발생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상태 물이 있는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미군의 역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싱크탱크 랜드연구소는 지난 24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미군이 장·단기적 기후변화 과제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랜드연구소는 기후변화가 미국의 병력 훈련, 정비 및 시설 정비, 국내외에서의 효과적 작전 수행 역량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며 폭염, 홍수, 산불, 가뭄, 토지 황폐화, 열대 폭풍우 등을 기후위험으로 꼽았다.
/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대상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3.3%가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위 조직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 세포로 전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웨일 코넬 의대(Weill Cornell Medicine) 치료적 장기 재생 연구소(Institute for Therapeutic Organ Regeneration)의 재생의학 전문의 조 주(Joe Zhou) 교수 연구팀이 위 조직에서 채취한 성체 줄기세포를 재프로그램(reprogram) 해 췌장의 인슐린 생산 베타세포와 매우 흡사한 세포로 분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9일 보도했다. 위 조직에 있는 특정 줄기세포에 췌장의 베타세포 생성 유전자 발현에 관계하는 3개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s)를 주입한 결과 베타세포의 기능을 수행하는 유사 베타세포로 전환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