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대사질환 등 환자 모니터링…"제때, 적절한 치료 가능"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다리(하지) 등 말초동맥질환(PAD) 진단에 응용할 수 있는 의료용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KAIST 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 배병수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원령 박사, 서울대병원 정승환 박사는 유연한 웨어러블 마이크로니들(착용할 수 있는 미세 바늘) 센서를 활용해 PAD 모델의 pH(산성·알칼리성의 정도) 분포도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일반적인 웨어러블 진단 기기가 접근하지 못했던 체액에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해 체내 조직안으로 들여보냈고, 이를 통해 생화학적 질병을 진단해 냈다.
경증·만성 PAD를 가진 대부분 환자는 질병 발생·진행을 알 수 있는 임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데, pH 변화를 모니터링하게 되면 조직 손상을 적절히 반영해 치료할 수 있다.
다만 피부의 pH 기록은 땀·물·화장품 등 오염물질로 부정확한 단점이 있어 피부 산도를 직접 측정하는 게 중요하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실록산(Si-O-Si) 골조 기반의 폴리머를 마이크로니들 소재로 활용해 상시 체액 모니터링이 가능한 생화학 센싱 플랫폼을 완성했다.
유연한 마이크로니들 pH 센서는 돼지 피부 1천번 투입 실험과 1.5㎜의 굽힘 변형 실험 뒤에도 80% 이상 센서 감도를 유지하는 등 안정성을 보였다.
배병수 교수는 “부드러운 소재에 접합시킨 질병 진단 마이크로니들 필름을 피부에 부착하면 말초동맥질환은 물론 당뇨병·대사질환 등 생화학 진단이 가능한 착용 기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만성 질환자들이 통증이나 불편함 없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시기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온라인 게재됐다.
(50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
비타민K는 몸 안에 축적되는 지용성 비타민 가운데 하나다. 비타민K는 식물에서 주로 합성되는 K1(필로퀴논)과 장(腸) 박테리아가 만드는 K2(메나퀴논) 두 종류가 있다. 비타민K는 혈액의 응고와 뼈의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비타민K가 부족하면 지혈 장애나 뼈 손실이 올 수 있고, 너무 많으면 혈전 위험이 커진다.
국제천문연맹(IAU, 이하 '연맹')은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짓는 국제공모전을 8일 연다고 밝혔다. 연맹은 이날 오전 연맹 총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제공모전 'NameExoWorlds 2022'(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을 소개했다. 연맹은 이 공모전을 통해 태양계 밖에 있는 항성(별)과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으로 구성된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정할 예정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손상된 신체 조직을 치유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생물학적 반응이다. 한마디로 염증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 유발 물질의 분비를 일컫는 말이다. 만성 염증은 심장 판막과 뇌세포를 손상하면 심장병과 뇌졸중이 나타난다. 또 인슐린 저항을 촉진해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암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 비타민D의 결핍이 만성 염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170여년 사이 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된 500여 건의 이상기후 현상을 분석해보니 전체의 71%가량에서 인간이 영향을 미친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영국의 기후 정보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Carbon Brief)가 수집한 1850년부터 올해 5월 사이의 이상기후 현상 504건에 대한 연구 보고서 4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전했다.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발생 확률이 높아지거나 기후변동의 폭이 커진 사례가 전체의 3분의 2에 육박했다는 것이다.
5일(한국시간) 미국에서 발사된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는 우주인터넷 실험과 달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한 관측 등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은 다누리가 달 상공 100km 궤도에 올해 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부터 이뤄질 예정이며, 기간은 내년(2023년) 초부터 말까지 1년간으로 계획돼 있다. 다만 남은 연료의 양에 따라 단축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