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 a Scientist”… 과학자와 직접 소통하는 온라인 플랫폼 ‘주목’

[KOFAC 동향리포트] 독일 ‘대화하는 과학 재단’ 청소년-과학자 간 대화 프로그램 진행

ⓒ게티이미지뱅크

[주요 동향]

「I’m a Scientist」는 5학년 이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직접 대화를 나누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에서 약 2주간 진행하는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은 특정 주제에 대해 질의 응답하는 실시간 라이브 채팅 방식으로 이뤄진다. 학생들은 과학자들의 답변을 평가하는 투표를 진행하며, 가장 많은 표를 얻은 과학자는 과학커뮤니케이션 지원금(500 유로)을 받는다.

가장 최근에 최고 과학자로 꼽힌 이는 헬름홀츠 젠트럼 드레스덴-로센도르프 연구소에서 근무 중인 도미닉 콜(Dominik Koll)이다. 그는 ‘입자 세계’라는 주제로 진행한 소통에서 학생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콜은 “언론 인터뷰 등 지금껏 내 연구 분야를 소개할 기회는 많았으나, 대중을 상대로 한 소통 기회는 갖지 못했다”라며 “「I’m a Scientist」를 통해 학생들과 과학에 대해 직접 소통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이어 “과학기술 연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열정이 매우 인상 깊었다”라며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과학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는 마지막으로 “어떤 형태라도 상관없으니, 더 많은 동료 과학자들이 과학 소통에 참여했으면 좋겠다”며 “나 역시 과학 소통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는 계획을 덧붙였다.

작년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해당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총 3개의 주제(지속가능성, 감염, 입자 세계)를 다뤘다. 지금껏 과학자 71명과 138개교 학생 및 교사가 참여했다. 네 번째 주제인 건강은 오는 2월 1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해당 프로그램은 본래 영국에서 2010년 처음 시작된 것이다. 독일어 서비스는 지난 2020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는 자연과학자 및 의사 협회, 클라우스치라 재단(Klaus Tschira Foundation), 빌헬름&헤레우스 재단(Wilhelm und Else Heraeus-Stiftung)의 지원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이다.

 

[현황 분석]

국내에서도 여러 과학기술 단체 및 학회에서 대중들과 만나는 접점을 늘려가고 있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지난 2014년부터 ‘다들배움’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숙련된 과학커뮤니케이터를 전국에 있는 학교로 보내고 있다. 각 학교를 방문한 과학커뮤니케이터들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과학강연을 진행한다. 이는 과학문화확산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과기인재진로지원센터 역시 ‘드림톡콘서트’를 통해 희망하는 분야의 과학자를 학교로 보낸다. 또한 온라인 진로 컨설팅을 통해 해당 분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과학자 간 소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시사점]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들과 소통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는 한편 그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이제는 한 발짝 더 나아가, 과학기술자들의 삶과 연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공계 진로를 앞둔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 역시 과학기술 연구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시점이 된 것이다. 대중은 과학기술 각 분야의 현재와 함께 향후 방향성에 대해서도 함께 공유하고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

다행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온라인 소통이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온라인 랩미팅 「I’m a Scientist」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소통 프로그램이 활성화돼야 한다.

 

* 이 글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발행하는 ‘동향리포트’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KOFAC 동향리포트 바로가기]

(329)

뉴스레터 구독신청
태그(Tag)

전체 댓글 (0)

과학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