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FAC 동향리포트] 독일 ‘대화하는 과학 재단’ 청소년-과학자 간 대화 프로그램 진행
ⓒ게티이미지뱅크
[주요 동향]
「I’m a Scientist」는 5학년 이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직접 대화를 나누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에서 약 2주간 진행하는 온라인 소통 프로그램은 특정 주제에 대해 질의 응답하는 실시간 라이브 채팅 방식으로 이뤄진다. 학생들은 과학자들의 답변을 평가하는 투표를 진행하며, 가장 많은 표를 얻은 과학자는 과학커뮤니케이션 지원금(500 유로)을 받는다.
가장 최근에 최고 과학자로 꼽힌 이는 헬름홀츠 젠트럼 드레스덴-로센도르프 연구소에서 근무 중인 도미닉 콜(Dominik Koll)이다. 그는 ‘입자 세계’라는 주제로 진행한 소통에서 학생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콜은 “언론 인터뷰 등 지금껏 내 연구 분야를 소개할 기회는 많았으나, 대중을 상대로 한 소통 기회는 갖지 못했다”라며 “「I’m a Scientist」를 통해 학생들과 과학에 대해 직접 소통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이어 “과학기술 연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열정이 매우 인상 깊었다”라며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과학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는 마지막으로 “어떤 형태라도 상관없으니, 더 많은 동료 과학자들이 과학 소통에 참여했으면 좋겠다”며 “나 역시 과학 소통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는 계획을 덧붙였다.
작년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해당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총 3개의 주제(지속가능성, 감염, 입자 세계)를 다뤘다. 지금껏 과학자 71명과 138개교 학생 및 교사가 참여했다. 네 번째 주제인 건강은 오는 2월 1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해당 프로그램은 본래 영국에서 2010년 처음 시작된 것이다. 독일어 서비스는 지난 2020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는 자연과학자 및 의사 협회, 클라우스치라 재단(Klaus Tschira Foundation), 빌헬름&헤레우스 재단(Wilhelm und Else Heraeus-Stiftung)의 지원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이다.
[현황 분석]
국내에서도 여러 과학기술 단체 및 학회에서 대중들과 만나는 접점을 늘려가고 있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지난 2014년부터 ‘다들배움’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숙련된 과학커뮤니케이터를 전국에 있는 학교로 보내고 있다. 각 학교를 방문한 과학커뮤니케이터들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과학강연을 진행한다. 이는 과학문화확산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과기인재진로지원센터 역시 ‘드림톡콘서트’를 통해 희망하는 분야의 과학자를 학교로 보낸다. 또한 온라인 진로 컨설팅을 통해 해당 분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과학자 간 소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시사점]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들과 소통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는 한편 그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이제는 한 발짝 더 나아가, 과학기술자들의 삶과 연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공계 진로를 앞둔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 역시 과학기술 연구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시점이 된 것이다. 대중은 과학기술 각 분야의 현재와 함께 향후 방향성에 대해서도 함께 공유하고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
다행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온라인 소통이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온라인 랩미팅 「I’m a Scientist」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소통 프로그램이 활성화돼야 한다.
* 이 글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발행하는 ‘동향리포트’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32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