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인공지능)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산·학·연 기관들이 손을 잡았다.
KT는 20일 대전 KAIST 본관 회의실에서 현대중공업지주,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양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AI 1등 국가를 위한 공동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MOU 체결식에는 구현모 KT 대표이사 내정자, 정기선 현대중공업지주 부사장, 신성철 KAIST 총장, 김우승 한양대 총장, 김명준 ETRI 원장,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앞으로 ‘AI 원팀(One Team)’을 결성해 ▲ 인재양성 플랫폼 구축 ▲ ‘AI+X’ 적용사례 발굴 및 확산 ▲ AI 오픈 생태계 조성 ▲ 얼라이언스사무국 설치 등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AI+X 프로젝트는 AI를 플랫폼으로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발굴하는 사업으로, 각 산업 영역이 AI 서비스·알고리즘 등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들 기업은 이를 위해 AI 실습과 개발을 위한 ‘AI 교육플랫폼’을 공동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또 중소·벤처기업이나 학생들이 AI 관련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의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학습용 데이터,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산업 실무형 AI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산업 전반에 AI 인재가 골고루 활용될 수 있도록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또 유통, 서비스,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 AI 성공 사례 등을 공유하는 등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현대중공업지주는 AI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한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중소·중견·벤처기업에도 확산할 방침이다.
특히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 등 AI 수요가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를 추진하기 어려운 기업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고 인력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각 기관이 개발한 AI 핵심 기술들을 공유하고,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는 한편 산업계 공동연구도 추진한다.
(19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벌들은 좋은 꿀이 많이 들어 있는 꽃의 위치를 어떻게 기억할까?
중앙에 쏠려 있는 연구개발(R&D) 과제와 인력을 분산하기 위해 지방정부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세종시가 첨단 자율주행 기술의 메카로 거듭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배출한 학생 창업 기업들이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까지 전국 항만의 초미세먼지 배출량을 현재보다 약 60% 줄이기로 했다.
올해 국내 경제·사회가 코로나19의 충격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에너지 수요가 2년 만에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각종 소비자 위해 우려 생활화학제품 등에 대한 위해성 평가 이전에 유통 금지를 비롯해 신속한 행정조치를 내릴 수 있도록 법적 근거 및 매뉴얼이 마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