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조율래, 이하 ‘재단’)은 과학문화 소외지역 및 계층을 대상으로 과학문화바우처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포인트로 누리는 과학문화
과학문화바우처 이용이 과학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는 등 소외계층의 과학문화 진입장벽을 낮추고 과학문화 격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우처(Voucher)란 증서나 상품권, 할인권, 쿠폰 등을 뜻하는 것으로, 정부가 특정 수혜자에게 직접 현금이나 서비스 물품을 제공하는 것 대신 교육이나 주택, 의료 등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보조해 주는 이용권 개념으로 사회보장제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학문화바우처 지원사업을 통해 선정된 수혜자는 1인당 30,000원 상당의 온라인 포인트를 지원받게 되며, `21년 5월부터 10월까지 비대면 과학 뮤지컬, 과학관 전시·체험, 보드게임·조립키트 등 300개 이상의 다채로운 과학문화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과학문화바우처 사업을 통해 과학문화를 촉진한다. ⓒ한국과학창의재단
또한 올해부터는 새롭게 구축한 과학문화바우처 홈페이지를 통해 하나의 플랫폼에서 바우처 신청과 상품 이용을 할 수 있으며, 예약·주문내역 등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바우처를 이용할 수 있다.
소외계층에게 흥미로운 집콕 체험 선물
과학문화바우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소외계층의 과학문화 접근성 강화는 물론, 급변하는 기술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지역의 과학문화를 확산하고 계층 간 과학문화 격차를 줄이는 제도적 기반 조성을 위해 2019년 도입했다.
그동안 과학문화바우처를 이용해 도서벽지 학생들이 평소에 하기 어려웠던 과학관 전시와 과학공연, 연극 등을 관람하거나 과학도서와 교구를 구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과학문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긍정적 평가를 얻고 있다.
특별히 지난해는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상품 운영으로 소외계층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집콕 체험을 선물해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해 말 ‘과학문화바우처로 인한 긍정적인 경험과 변화’를 주제로 진행된 이용수기 공모전에서 초등 부문 장려상을 수상한 한 학생은 “과학문화바우처로 태양광 자동차 키트를 신청해 만들기 체험을 했다”며 “코로나19로 온라인 수업 후 집에만 있어서 무척 답답했는데, 과학문화바우처 덕분에 시간을 유익하게 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과학문화바우처로 공룡 만들기 교구를 신청했다는 또 다른 학생은 “우리 마을에서는 과학문화를 쉽게 접할 수 없는데 과학을 접할 수 있어서 무척 좋았다”며 “과학문화바우처 사이트에 있는 다양한 키트들을 보며 과학의 원리를 찾아보는 재미도 있었다”고 전했다.
올해 과학문화바우처 지원사업 공모는 전국의 사회복지시설, 도서벽지접적지역학교와 더불어 드림스타트,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 등 사회적 배려계층 대상 국가정책사업 운영기관이 신청할 수 있다.
`21년 4월 15일 오전 10시부터 4월 30일 오후 5시까지 과학문화바우처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서를 접수할 수 있으며, 중복지원 인원 등을 제외하고 접수 선착순으로 선정될 예정이다.
2021년 과학문화바우처 지원사업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문화바우처 홈페이지(scivoucher.kofac.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학문화바우처 신청 바로가기↓]
(53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포함된 '사건 지평선 망원경'(EHT) 국제 공동 연구팀은 15일 거대 은하 'M87'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질량이 태양의 수십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블랙홀)이 강력한 제트를 분출하는 관측 결과를 공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읍·면·동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조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15일 발표했다.
AI 음악 생성 기술 콘텐츠 제작사 '엔터아츠'의 음반 레이블 'A.I.M'은 가수 하연의 디지털 싱글 'idkwtd'(I don't know what to do)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글로벌 NFT 마켓인 '민터블'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한다고 15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물리학과 김대식 특훈교수 연구팀이 0㎚(나노미터·10억분의 1m)부터 시작하는 초미세 틈(제로 갭·zero gap) 구조의 광학 소자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냉각소자가 필요한 기존 열영상센서와 달리 냉각소자 없이도 100℃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열영상센서를 개발, 스마트폰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자율주행자동차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다양한 미래 체험이 가능한 '4차산업 체험문화 공간 놀이터'가 15일 전북 정읍학생복지회관 3층에 둥지를 틀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5일 우리나라가 제안한 정차(停車) 중 고출력 무선 충전 기술의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국제표준화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