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산업계 동향] 세계 신산업창조 현장(187)
투자은행에서 근무하던 여성 킷 히키(Kit Hickey)는 등산을 무척 좋아했다. 주말이 되면 빠지지 않고 산에 올랐다. 여름휴가 때는 해외 유명산으로 원정을 갈 정도였다. 그리고 그럴 때마다 큰 고민을 안고 있었다.
해발 2000~3000m의 산 정상에서 급격한 기후변화를 막아줄 옷이 필요했다. 고가의 등산복을 구입했지만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래서 등산복을 직접 만들어 입기 시작했다. 이렇게 시작된 옷 만들기가 창업으로 이어졌다.
2010년 MIT 창업센터를 찾아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을 만났다. MIT에 다니던 기한 아마라시리와르데나(Gihan Amarasiriwardena)와 전 컨설턴트였던 아만 아드바니(Aman Advani)였다.
‘STORY’ 매장에 스토리텔링 기법 도입
아마라시리와르데나의 경우 14세 때부터 옷을 만들어 입었다. 창업센터에서는 ‘자전거 탈 때 몸에 딱 맞는’ 남성용 셔츠를 만들고 있었다. 아드바니 역시 사무실, 비행기, 호텔 등에서 편안히 입을 수 있는 옷을 만들고 있었다.
여성 창업인 킷 히키(Kit Hickey) 등
‘미니스터리 오브 서플라이’의 창업자 세 사림이 첨단 기술이 접목된 기능성 의류를 개발하고 있다. ⓒhttp://ministryofsupply.com/pages/passion
의기투합한 이 세 사람은 ‘미니스터리 오브 서플라이(Ministry of Supply)를 창업했다. 그리고 첨단기술을 활용해 옷을 만들기 시작했다. 지난 2013년 6월 NASA 우주복 재료를 사용해 통풍이 잘 되는 보온 옷을 만들어 시판했는데 1만2800벌을 팔았다.
지난해 말에는 ‘에비에이터 재킷(Aviator Jacket)’을 만들어 세계적은 주목을 받았다. 전 방향으로 늘어나는 옷감과 고무가 들어간 단추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이 재킷은 커피가루를 안감에 섞어 좋은 향기를 풍긴다.
레이첼 세츠먼(Rachel Shechtman)은 원래 브랜드 컨설턴트였다. 이 일을 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 많은 기업들이 탄생하고 있지만 소매업을 그렇지 않았다. 예나 지금이나 매장 모습이 변하지 않았다. 고전적인 스타일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었다.
여기에 변화를 준 것이 세츠먼이다. ‘스토리(STORY)’를 창업한 그녀는 뉴욕 시에 약 600m2
넓이의 공간을 마련하고 마치 잡지에서 홈 인테리어나 패션을 소개하듯이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모습의 스토리텔링 매장을 선보였다.
이야기 주제는 브랜드다. 다양한 브랜드들이 소비자들과의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HP의 경우 할러데이 스토리(Holiday STORY)를 선보였다. 그리고 이 매장을 통해 e프린터 등 첨단 제품을 전시한 바 있다.
웨어러블 패션… ‘314 핸드백’ 등장
‘스토리’에서는 2012년 12월부터 컬러 스토리(Color STORY), 뉴욕 스토리(New York STORY), 웰니스 스토리(Wellness STORY) 등 다양한 주제의 매장을 선보이고 있다. 그리고 지금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스타트업이 됐다.
‘스토리’가 주목받고 있는 것은 매장에 스토리텔링을 접목했다는데 있다. 스토리텔링 매장을 통해 브랜드 이야기들을 생생하게 전달하면서 ‘스토리’는 지난해 세계적인 패션 단체 FGI(Fashion Group International)로부터 라이징 스타(Rising Star) 상을 받았다.
캐롤라인 푸(Caroline Pugh)은 가상 대학캠퍼스 ‘버츄얼U(VirtualU)’의 공동 창업자이면서 COO 일을 맡고 있다. 기업 내에서 사업을 총괄하면서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최고운영책임자를 말한다.
그녀는 미국 버지니아 주에서 기업가정신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홍보대사이기도 하다. 주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창업센터 이름을 ‘캐롤린 푸(Carolyn Pugh)’라고 부를 정도다. 기업 경영은 물론 창업 홍보대사로서 그녀 활약이 기대되고 있다.
테오도라 쿠알리아스(Theodora Koullias)는 패션테크 브랜드인 ‘존 루(Jon Lou)’의 창업자다. 2011년부터 첨단 기술을 활용해 파격적인 패션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314 핸드백’이 대표적인 사례다. USB 사용이 가능하고, 어두운 곳에서는 불이 켜지는 기능을 갖고 있다.
‘존 루’에서는 계속해서 첨단 기술을 접목된 웨어러블 패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가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혁신 제품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2015년 들어 많은 사람들이 ‘존 루’를 주목하고 있는 이유다.
2014년은 모바일 메신저 왓츠 앱(What’s APP)‘이라고 한다. 2015년은 ’라인 유로-아메리카(Line Euro-Americas)‘의 여성 CEO인 지니 한(Jeanie Han)의 해가 될 수도 있다. 이 메신저 앱은 2014년말 현재 약 5억6000만 명이 회원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라인’을 사용하고 있는 국가는 230개국에 달한다. 기능도 계속 추가되고 있다. 그룹 메시징에서 유머 기능에서부터 카메라, 게임 기능에 이르기까지 회원 수를 늘리는 기술을 계속 선보이고 있다.
미국의 창업전문지 앙트레프레너(Entrepreneur) 지에서는 이밖에 ‘founder of Big T NYC’의 창업자 테레사 크리어(Theresa Krier), ‘슬리핑 베비(Sleeping Baby)’의 공동 창업자 스테파니 파커(Stephanie Parker) 등을 ‘2015년 주목받는 여성 창업인’으로 선정했다. (끝)
(631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