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산업계 동향] 세계 신산업창조 현장(186)
여성 창업이 늘고 있다. 최근 아메리칸 엑스프레스가 주최한 오픈(OPEN) 포럼에서 발표한 조사보고서를 인용, 여성이 창업 증가율이 국가 평균치를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내에서 여성을 통해 하루 평균 약 1,200개의 신규 창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지난해 740개에 비해 61.6%가 늘어난 것이다. 특히 디자인, 크라우드펀딩 분야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크라우드펀딩의 경우 여성 창업가들이 시장을 주도할 정도다.
주목받고 있는 여성 창업가들도 다수 등장하고 있다. 미국의 창업전문지 앙트레프레너(Entrepreneur) 지에 따르면 그중에서도 15명의 여성 창업인 들은 과감한 결단과 탁월한 능력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여성만을 위한 창업 컨설팅… IGC
애들레이드 랑카스터(Adelaide Lancaster)와 에이미 애브람스(Amy Abrams)는 여성 창업을 돕는 기업 IGC(In Good Company)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기업 컨설팅 경험이 있는 두 여성은 많은 여성 창업인 들이 겪고 있는 고민을 알고 있었다.
최근 여성 창업인들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디자인, 크라우드펀딩 등 산업 분야에서는 여성들이 특히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여성창업 컨설팅 업체인 IGC(In Good Company)의 워크숍. ⓒhttp://ingoodcompany.com/
2010년 IGC를 설립하고 여성 창업인 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공간을 통해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처음 창업한 여성들을 위해 사무실 등 업무 공간을 빌려주었다.
창업을 한 여성들을 위해서는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넘기 위한 여러 가지 컨설팅 과정을 도입했다. 이런 소식이 알려지면서 창업을 꿈꾸는 많은 여성들이 IGC를 찾아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지금 IGC는 여성 창업의 메카가 됐다.
안젤리아 트리니다드(Angelia Trinidad)는 스타트업 ‘패션 플래너(Passion Planner)’의 공동 설립자이면서 CEO다. 그녀는 2012년 캘리포니아 대학 LA캠퍼스에서 시각 및 공연 예술(visual and performing art)을 전공했다.
놀라운 것은 그녀가 자신의 재능을 남을 돕는데 사용했다는 것이다. 2013년 스타트업 ‘패션 플래너’를 설립한 후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킥 스타터(Kick Starter)’를 통해 투자금을 모으기 시작했다. 그리고 켐페인 20일 만에 2000명이 넘는 투자자를 확보했다.
그녀가 창업한 ‘패션 플래너’에서는 실생활에 필요한 디자인을 다양하게 조언하고 있다. 책장과 실내 인테리어, 정원 벤치, 도서편집, 식탁, 재활용품 활용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디자인을 지혜롭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조언하고 있다.
청각 장애인을 위한 헤드폰 ‘리슨’ 개발
패션니스트인 앰버 벤츠(Amber Venz)는 스타트업 ‘리워드스타일(rewardStyle)과 ’라이크투노우잇(LikeToKnow.It.)의 공동 창업자다. 그녀가 처음 사업을 시작한 것은 2010년이다. 블로그 ‘VENZedits’를 통해 자신의 패션 의류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여기서 확신을 얻었다. ‘리워드스타일’과 ‘라이크투노잇’을 연이어 설립했다. 지난해 말 인스타그램 쇼퍼블(Instagram Shoppable) 페이지를 통해 판매를 시작했는데 불과 일주일 만에 5000여 명의 고객을 확보했다.
브리짓 힐튼(Bridget Hilton)은 스타트업 ‘LSTN’의 창업자다. 그녀는 2012년 음악계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곳에서 그녀는 청력이 약해진 많은 사람들이 좋은 음악을 듣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수가 전 세계적으로 3억6000만명에 달했다.
이런 생각이 리슨(LSTN) 헤드폰을 개발하게 된 계기가 됐다. 스타트업 ‘LSTN’에서는 지난해 말까지 미국, 페루, 우간다, 케냐 등의 지역에서 청력이 약한 1만9000명에게 리슨 헤드폰을 무상 기증했다.
한사람이 헤드폰 하나를 구매할 때마다 (스타키 재단을 통해) 한 사람의 청력을 찾을 수 있도록 하자는 기부 프로그램에 따른 것이다. ‘LSTN’에서는 올해 들어서도 더 많은 기부 활동을 벌일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에리카 니콜(Erica Nicole)은 젊은 층 자영업자들을 위한 잡지 ‘YFS 매가진’의 창업자이면서 CEO다. 그녀는 사회경험이 부족한 젊은 자영업자들의 고민을 잘 알고 있었다. 그녀와 그의 팀은 ‘YFS 매가진’을 창간하고 창업 및 소기업 뉴스를 보도하기 시작했다.
이 잡지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기업가정신을 가진 젊은 사업가들에게 가능한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일이다. 이 잡지는 최근 젊은 층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더욱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구독자가 늘어나면서 올해 들어서는 더욱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계속)
(863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38)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