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의 고유한 냄새를 포착하여 암을 진단한다? 최근 인공지능과 딥러닝 기술로 인간의 후각 세포 작동 방식과 유사한 구조의 ‘전자 코(Electronic nose)’에 대한 연구가 유의미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달 5일에 열린 2021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에서는 전자 코가 혈액샘플에서 췌장암 및 난소암 세포를 95%의 정확도로 구별해 낸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전자 코의 정확도가 이같이 높아짐에 따라 머지않은 미래에 다양한 질병 진단과 초기 치료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근 ‘전자 코’가 질병 진단에 활용되면서 의료인공지능 기술이 급속히 발달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전자 코(Electronic nose)로 VOS를 식별하다
존슨(Charlie Johnson) 교수와 펜실베니아 의과대학 연구진은 일명 ‘전자 코’가 세포에서 방출되는 VOC의 구성을 감지하고, 그 중 난소암과 췌장암의 VOC를 식별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먼저 VOC에 초민감한 스크리닝 테스트를 만든 후, 암을 표적하는 DNA 증기 나노센서(DNA-NT sensor array)가 난소암과 췌장암 혈장 샘플에서 나오는 VOC 패턴과 대조군 샘플에서 나오는 VOC 패턴을 95% 가량의 정확도로 구별한 것이다.
찰리 존슨(Charlie Johnson) 교수, 펜실베니아 대학교 나노 바이오 인터페이스 센터 디렉터 ⒸIEEE TV
알려진 바대로 모든 세포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Vapor Organic Compounds)을 방출한다. 따라서 암세포와 관련이 있는 VOC와 건강한 세포의 VOC는 다르다는 것이 연구진의 주장이다.
이를 뒷받침하고자 연구진은 난소암 환자의 세포 조직과 혈장에서 방출된 VOC가 양성 종양 및 대조군 샘플에서 방출된 VOC와 구별된다는 예비연구를 진행했다.
그리고 ‘전자 코’를 통해 각각 난소암 환자 20명, 양성 난소 종양 20명, 암이 전혀 없는 대조군 20명과 췌장암 13명, 양성 췌장 질환자 10명, 췌장 질환이 없는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VOC 식별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전자 코’가 20분 이내에 암세포와 관련이 있는 패턴과 건강한 혈액의 패턴을 식별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난소암의 경우 95%의 정확도를, 췌장암은 90%의 정확도를 기록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존슨 박사는 “전자 코 연구는 초기 단계이지만, 종양의 초기 단계와 진행 단계에서 모두 식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임상 환경에 맞게 개발된다면 표준 혈액 체취만으로 암을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환경, 의료 분야에서 주목받는 전자 코(Electronic nose)
‘전자 코(Electronic nose)’는 사람의 냄새 인식 과정을 재현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Vapor Organic Compounds)을 측정·분별하고, 데이터화하는 기술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다수의 화합물로 구성된 어떤 냄새의 패턴을 인식하고, 그 물질의 성분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이미 1950년경부터 진행돼 온 기계후각기관에 대한 연구가 1987년에 이르러 Gardner에 의해 ‘전자 코’라고 명명되기 시작했으니 그리 짧은 이력은 아니다.
전자 코’는 사람의 냄새 인식 과정을 재현하여 VOC를 측정·분별하고, 데이터화하는 기술이다. Ⓒnanoscent.wordpress
하지만 최근 들어 전자 코 관련 기술들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냄새를 수용하는 센서의 감도가 상당한 수준으로 높아졌다는 것. 그리고 인공지능과 딥러닝을 기반으로 디지털화·패턴화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했기 때문이다.
2020년에 발행된 전자 코 글로벌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전자 코 글로벌 시장의 규모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26년까지 해마다 10.3%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환경 악취 모니터링과 진단 의학 분야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올해 2월에 존슨 교수는 “질병의 고유한 냄새 프로필을 기반으로 코로나19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코’ 개발에 힘쓰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어 암뿐만 아니라 코로나19까지, 질병 예측과 진단에 ‘전자 코’의 활약을 기대하게 한다.
(657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38)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