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이슬람교(Islam)는 7세기 초 무함마드(Muhammad, 570~632)가 창시한 종교로 그리스도교, 불교와 함께 세계 3대 종교 중 하나로서 이슬람은 ‘복종, 순종’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슬람 제국은 7세기부터 13세기까지 이슬람교도들이 세운 세계사에서 가장 거대했던 제국을 총칭한다.
고대 그리스 헬레니즘(Hellenism) 시대의 학문과 과학기술은 이슬람 제국에서 새롭게 계승되어 비약적인 도약기를 맞이했다.
특히 아바스 왕조(Abbasids, 750~1258) 알 마문(Al Mamun, 786~833) 시대에 바그다드에는 전문 학술기관인 ‘지혜의 전당(House of wisdom)’이 세워져 고대의 학술 서적을 아랍어로 번역하였고, 과학기술과 자동기계 오토마타 연구와 제작에서 탁월한 성과들이 이루어졌다.
9세기 아바스 왕조시대에 과학자·수학자·천문학자·기계장치 제작자로 활동한 바누 무사(Banu Musa) 삼형제는 이슬람 제국의 오토마타 제작 기술 발전의 기초를 놓았다. 알 마문은 바누 무사 삼형제를 적극 후원하면서, ‘지혜의 전당’에서 과학 연구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바누 무사 삼형제는 자동조절 램프·자동 분수·자동기계 음악장치 등과 같은 기계장치 200여 점을 고안하고 발명했으며, ‘독창적 장치의 책(Book of Ingenious Devices)’, ‘평면과 구면 측량의 지식서(Kitab Marifat Masahat Al-Ashkal)’, ‘The Tricks Book’ 등을 저술하여 오토마타 연구와 제작을 본격적인 궤도에 올려놓는데 커다란 기여를 했다.
알 자자리(Al Jazari, 1136~1206)는 12세기 이슬람 제국 시대에 기계공학·수학·발명가·예술가로 활동한 최고의 과학자이다. 알 자자리는 저서 ‘독창적인 기계장치의 지식에 대한 책(The Book of Knowledge of Ingenious Mechanical Devices)’을 통해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캠과 크랭크 등과 같은 대표적인 기계장치가 포함된 180여 종의 다양한 기계장치와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를 고안하고 제작 방법을 소개하였다.
오늘날 기계공학의 초석을 닦은 알 자자리의 오토마타 설계도 가운데 ‘코끼리 시계(Elephant Clock)’는 그의 가장 유명한 오토마타 발명품으로 샤르자 이슬람 문명 박물관, 두바이 Ibn Battuta 쇼핑몰 등에 재현품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12세기 이슬람 시대의 과학기술과 예술이 집약되어 있는 알 자자리의 오토마타 설계도는 그 이전의 오토마타와 확연히 구분되는 지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기계장치의 기능성과 실용성 뿐만 아니라, 마치 한 폭의 미술 작품처럼 뛰어난 예술성과 미적(美的) 조형성을 갖추고 있었다는 지점이다.
이슬람 제국 시대의 오토마타 설계도와 제작 기술은 후대에 동서양의 과학기술과 예술의 융합 및 발전에 다양한 영향을 주었다. 16세기 유럽에서 기계공학적 상상력을 섬세한 미술 작품으로 담아낸 자크 베송(Jacques Besson), 비토리오 종카(Vittorio Zonca), 장 에라르(Jean Errard), 아고스티노 라멜리(Agostino Ramelli) 등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알 자자리의 오토마타는 기계장치의 운동이 구체적인 형상을 갖춘 인형 조형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현대 오토마타의 예술적·기술적 전형(典型)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오토마타의 형식은 폴 스푸너(Paul Spooner), 키드 뉴스테드(Keith Newstead), 탐 해니(Tom Haney), 카를로스 자파타(Carlos Zapata), 카주 하다라(Kazu Harada), 매트 스미스(Matt Smith) 등과 같은 현대 오토마타 예술가에게 이어지고 있다.
(171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패턴의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봉훈 교수,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증 기술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수십억 개 나노 패턴을 저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거미가 사람처럼 한밤중에 이른바 '렘수면' 상태의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돼 서구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9일 AP 통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독일 콘스탄츠대에서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다니엘라 뢰슬러는 한밤중 줄에 매달린 작은 깡충거미의 행동을 카메라로 살펴본 결과 마치 렘수면 상태에 빠진 것처럼 다리를 씰룩거리고 눈을 깜빡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연말을 목표로 하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10일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항천공정 판공실은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두 번째 실험실 모듈 '멍톈'(夢天)을 최근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각종 테스트 작업 등을 거친 뒤 오는 10월 발사해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하면 'T'자형 우주정거장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30년 전인 1992년 8월 11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1호'가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는 소식을 알리며 이렇게 말했다. 질량 48.6㎏의 아주 작은 위성인데다가 제작도 해외 대학(영국 서리대)과 함께 했지만, 우리별 1호의 개발과 발사는 우주과학기술 불모지였던 한국이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한국은 우리별 1호가 우주로 올라가면서 세계에서 22번째로 국적 위성을 보유한 국가가 됐고,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위성개발 능력을 확보해 오늘날 자력으로 위성을 제작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고분자 시뮬레이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재업 교수 연구팀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던 계산을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는 'AI 고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공개했다. 옷감이나 플라스틱 등 우리 일상에는 고분자로 만든 재료가 많고, 특히 나노 기술은 고분자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