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20세기 문화 변혁의 가장 결정적인 동인은 과학기술의 진보와 확장으로, 인류의 삶에서 커다란 변화를 이끌어냈다. 또한 과학기술은 예술 분야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치면서 새로운 형식과 조형요소를 탄생시켰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조형예술 분야에서의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초반 러시아 출생의 조각가 나움 가보(Naum Gabo, 1890~1977)는 ‘키네틱 조각(Kinetic sculpture)’이라는 이름으로 이전까지 조각 예술에서 잘 사용하지 않던 투명한 플라스틱, 나일론, 유리, 금속판 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한 다수의 추상조각 작품을 발표했다. 특히 나움 가보가 제작한 조각 작품들은 기존의 3차원적 조형물에 ‘시간’과 ‘운동’이라는 개념을 부여한 새로운 과학예술적 시도였다.
1910년 독일 뮌헨대학으로 유학을 간 후 의학과 자연과학, 기계공학을 공부한 나움 가보는 러시아 구축주의(혹은 구성주의)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그의 형 안토인 페브스너(Antoine Pevsner, 1886~1962)와 함께 순수 형식으로서의 미술을 추구한 ‘사실주의 선언(The Realistic Manifesto, 1920)’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문에서 ‘사실주의’란 사물의 외형을 재현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현실의 절대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을 추구한다는 뜻으로, “공간과 시간은 삶이 구현되는 유일한 형식이고, 따라서 미술도 이러한 형식에 의해 구축되어야 한다.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공간과 시간의 형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우리의 회화와 조각의 목표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헝가리 태생의 라슬로 모홀리 나기(Laszlo Moholy Nagy, 1895~1946)는 과학기술과 미술 간의 밀접한 통합을 통해 예술의 지평을 넓히고 순수 조형성을 추구하였으며, 회화·조각·사진·영화·건축·디자인 등 다양한 시각예술 분야 전반에서 활동하며 ‘총체적 예술’을 추구하였다.
특히 라슬로 모홀리 나기는 20세기 초반부터 나움 가보,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1887~1968),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 1898~1976) 등에 의해 시도되기 시작한 일련의 움직이는 조각을 ‘키네틱 아트(Kinetic Art)’라고 불렀다.
라슬로 모홀리 나기는 원래 법률가가 되려고 하였으나, 1918년 무렵 미술가로 전업하였으며, 구성주의와 말레비치(Kasimir Malevich, 1878~1935)의 절대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라슬로 모홀리 나기는 평면·입체·기하학·역학·광학·기계학 등을 깊이 있게 탐구하였으며, 화가 혹은 조각가와 같은 기존의 전통적 개념으로 분류되지 않는, 시각예술의 모든 장르에서 창조적 가능성을 제시한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였다.
라슬로 모홀리 나기의 주요 키네틱 조각 및 추상조각 작품으로는 ‘빛-공간 변조기(Light Space Modulator, 1922~1930)’, ‘Plexiglas’, ‘Light Prop for an Electric Stage’, ‘Photogram’, ‘Revolving bars’, ‘Great machine of emotion’, ‘Space modulator with evidence’ 등이 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회화, 사진, 영화(Painting, Photography, Film, 1925)’, ‘새로운 시각: 재료에서 건축까지(The New Vision: from Material to Architecture, 1929)’, ‘움직임에서의 시각(Vision in Motion, 1947)’ 등이 있으며, 헝가리 부다페스트에는 그의 이름을 딴 모홀리 나기 예술 디자인 대학교(Moholy Nagy University of Art and Design)가 운영되고 있다.
과학과 예술이 만난 움직이는 조각 ‘키네틱 아트’는 21세기에 들어서 데이빗 로이(David C. Roy), 조지 리키(George Ricky), 줄러 코시체(Gyula Kosice), 유세비오 셈페레(Eusebio Sempere), 팀 프렌시스(Tim Prentice), 린 에머리(Lin Emery), 존 벅(John Buck), 테오 얀센(Theo Jansen) 등과 같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다시 새롭게 변화하면서 꾸준히 확장되고 있다.
(235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패턴의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봉훈 교수,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증 기술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수십억 개 나노 패턴을 저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거미가 사람처럼 한밤중에 이른바 '렘수면' 상태의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돼 서구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9일 AP 통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독일 콘스탄츠대에서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다니엘라 뢰슬러는 한밤중 줄에 매달린 작은 깡충거미의 행동을 카메라로 살펴본 결과 마치 렘수면 상태에 빠진 것처럼 다리를 씰룩거리고 눈을 깜빡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연말을 목표로 하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10일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항천공정 판공실은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두 번째 실험실 모듈 '멍톈'(夢天)을 최근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각종 테스트 작업 등을 거친 뒤 오는 10월 발사해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하면 'T'자형 우주정거장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30년 전인 1992년 8월 11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1호'가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는 소식을 알리며 이렇게 말했다. 질량 48.6㎏의 아주 작은 위성인데다가 제작도 해외 대학(영국 서리대)과 함께 했지만, 우리별 1호의 개발과 발사는 우주과학기술 불모지였던 한국이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한국은 우리별 1호가 우주로 올라가면서 세계에서 22번째로 국적 위성을 보유한 국가가 됐고,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위성개발 능력을 확보해 오늘날 자력으로 위성을 제작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고분자 시뮬레이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재업 교수 연구팀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던 계산을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는 'AI 고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공개했다. 옷감이나 플라스틱 등 우리 일상에는 고분자로 만든 재료가 많고, 특히 나노 기술은 고분자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