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푸는 과학 궁금증] 동위원소 방사성 붕괴 이용한 연대 측정법
멸종된 생물의 화석 등과 같이 아주 오래된 생물의 잔재를 발견했을 때 과학자들은 그 화석의 나이를 알아내기 위해 노력한다. 과학이 발달하기 전에는 그 잔재가 발견된 바위의 지층이나 주변의 물체를 분석하여 나이를 알아내려 했지만 이 방법은 매우 부정확했다. 하지만 지금은 동위원소 방사성 붕괴를 이용한 방법으로 오래된 생물 잔재의 정확한 나이를 손쉽게 알아내고 있다.
동위원소 방사성 붕괴를 이용한 연대 측정법의 원리
동위원소 방사성 붕괴를 이용한 연대 측정법을 이해하려면 먼저 동위원소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물질의 기본 단위인 원자 중심에는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진 원자핵이 있다. 이 원자핵에 들어 있는 양성자 수에 따라 원자의 성질, 즉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인 원소의 종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탄소 원자핵에 있는 양성자 수는 6개이고 산소 원자핵에 있는 양성자 수는 8개이다. 그런데 같은 원소라고 하더라도 원자핵에 있는 중성자 수가 달라 구조가 불안정한 것들이 있는데, 이것을 동위원소라고 한다.
또한 이 불안정한 원자핵 중에서 스스로 방사선을 방출하고 안정한 상태의 다른 종류의 원자핵으로 변하는 경우를 방사성 붕괴라고 한다.
탄소의 경우, 원자핵에 양성자 6개와 중성자 6개가 있는 ‘탄소12’가 안정된 원자이고, 탄소의 동위원소로 원자핵에 양성자 6개와 중성자 8개가 있는 ‘탄소14’도 존재한다.
탄소14는 불안정한 원자이기 때문에 방사성 붕괴를 일으켜 질소14가 된다.
그런데 방사성 동위원소 집단이 방사성 붕괴를 일으켜 그 원자 개수가 절반으로 감소할 때까지의 기간을 ‘반감기’라고 부른다. 탄소14의 반감기는 약 5730년이다. 어떤 물질 속에 들어 있는 탄소14의 원자 개수는 5730년이 지나면 그 절반으로 줄고, 다시 5730년이 지나면 또 절반으로 줄어 처음 원자 개수의 4분의 1이 된다.
따라서 어떤 화석에 있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원래 양을 알고 그것이 현재 몇 %까지 감소했는지 안다면 그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화석이 만들어진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고고학에서 많이 쓰이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연구에 의하면, 지구 대기에서 탄소14의 생성 비율과 방사성 붕괴 비율이 같아 대기 중에 존재하는 탄소12 원자와 탄소14 원자의 구성 비율은 일정하다고 한다. 우주 공간에서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온 우주선과 대기 중의 분자가 충돌하면서 방출된 중성자들이 질소14와 충돌하여 끊임없이 탄소14를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 대기는 대략 탄소12 원자 1조 개에 탄소14 원자 1개의 구성 비율을 유지한다. 이러한 탄소12 원자와 탄소14 원자의 비율은 생물체 내에서도 일정하다. 모든 생물은 탄소로 이루어져 있고 대기에서 탄소를 공급받아 탄소를 끊임없이 교체하기 때문이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탄소를 공급받아 자신의 몸을 구성하므로 탄소12와 탄소14의 비율을 그대로 유지하고, 식물의 몸을 흡수하여 탄소를 공급받는 동물과 그 동물을 먹는 동물도 결국 같은 비율이 유지한다.
그런데 생물이 죽으면 더 이상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지도 배출하지도 않는다. 그러면 시간이 지나면서 생물 내 탄소12와 탄소14의 비율에 변화가 생긴다. 불안정한 동위원소인 탄소14가 방사성 붕괴를 일으켜 질소14로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물 유해나 화석의 탄소12와 탄소14 비율을 측정하여 대기 중의 그 비율과 비교하면 탄소14가 어느 정도 감소했는지 알 수 있고, 그 결과와 탄소14의 반감기를 이용하면 그 생물이 죽은 연대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은 고고학에서 나무나 씨앗, 동물 잔재의 나이를 측정할 때 널리 쓰이고 있다.
훨씬 더 오랜 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칼륨아르곤법
탄소14는 반감기가 짧아 6만 년이 지나면 측정하기 힘들 정도의 양만 남는다. 따라서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대 범위는 오차까지 생각해서 5만 년 이내이다. 결
국 공룡 화석과 같이 측정 범위가 5만 년이 넘는 경우에는 반감기가 긴 다른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해야 한다. 그래서 개발된 방법이 칼륨과 아르곤을 이용한 ‘칼륨아르곤법’이다. 칼륨에는 칼륨40이라는 방사성 동위원소가 있는데, 칼륨40의 12%가 방사성 붕괴를 일으켜 아르곤40으로 변한다. 반감기가 약 12억 5000만 년이기 때문에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보다 훨씬 더 긴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칼륨아르곤법은 암석이 땅속에서 녹은 상태에 있다가 지표로 나와 식어 굳어질 때의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지표로 나온 암석이 식어 굳어지기 전까지는 암석과 대기 사이에서 기체인 아르곤이 출입할 수 있으므로 암석 속의 아르곤 동위원소의 비율은 대기와 같다.
그런데 암석이 식어 굳은 후에는 아르곤이나 칼륨이 출입할 수 없다. 따라서 암석이 굳은 후 시간이 지나면 암석 속의 칼륨40이 방사성 붕괴를 일으켜 아르곤40으로 변하므로 암석 속의 아르곤40의 비율이 대기보다 늘어날 것이다. 이 비율을 측정하고 칼륨40의 반감기를 이용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암석이 형성된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우라늄 동위원소인 우라늄238과 우라늄235의 방사성 붕괴를 이용한 연대 측정법이 있는데, 우리늄238의 반감기는 약 44억 6800만 년이기 때문에 지구가 탄생했던 시기의 연대까지 측정할 수 있다.
(1593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8∼22일 '2022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린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페스티벌 어스(Festival Earth)'로,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을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주제전시와 과학강연, 과학기술 성과전시 등으로 구성됐다. 19일 오후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이 반도체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장(腸)에 사는 세균은 종종 장의 벽(gut barrier)을 넘어서 다른 기관을 침범하기도 한다. 이런 장 세균이 면역계를 자극하면 해당 기관에 심한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염증 질환에서 이런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장의 미생물 총에서 어떤 세균이 이런 행동을 하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이런 세균을 정확히 확인해 제거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시더스-시나이(Cedars-Sinai) 메디컬 센터 과학자들이 획기적인 항체 반응 검사법을 개발했다.
눌어붙지 않는 프라이팬이나 일회용 컵의 방수코팅제 등으로 일상 용품 속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불화화합물'(PFAS)은 환경과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돼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로 불린다. 초고온에서 소각해도 연기에 섞여 대기로 유출되고 물로도 희석이 안 되는 데다 땅에 묻어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침출되는 등 뾰족한 처리 방법 없이 심각한 건강상의 위협을 제기해왔는데, 이를 저비용으로 쉽게 분해하는 방법이 개발돼 주목을 받고있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 중 태양계를 벗어나 가장 멀리, 가장 오래 비행 중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1, 2호가 이달 말과 내달 초 각각 우주탐사 만 45년을 넘어선다. 보이저호 '쌍둥이' 중 1977년 8월 20일에 먼저 발사된 보이저2호는 목성, 토성에 이어 천왕성과 해왕성까지 근접 탐사한 뒤 현재 지구에서 약 195억㎞ 떨어진 곳에서 시속 5만5천㎞로 비행하고 있다. 보이저1호는 시스템상의 문제로 보이저2호가 출발하고 보름여 뒤인 9월 5일 발사됐지만 더 빠른 궤도를 채택해 목성과 토성을 탐사한 뒤 현재 약 234억8천만㎞ 밖에서 시속 6만1천㎞로 성간우주를 헤쳐가고 있다.
서아프리카 연안에서 약 6천600만 년 전 공룡시대를 마감한 때와 비슷한 시점에 형성된 소행성 충돌구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지구과학 부교수 우이스딘 니컬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서아프리카 연안의 탄성파 자료에서 약 8.5㎞에 달하는 소행성 충돌구를 찾아낸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백악기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남미 대륙판이 분리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탄성파 반사 속도로 지질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우연히 충돌구를 확인했다.
2024년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 프로젝트 탈퇴를 선언한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건설할 우주정거장의 실물 모형을 공개했다고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모스크바 외곽에서 열린 한 군사 산업 전시회에서 새로운 우주정거장 모형을 선보였다. 러시아 국영매체는 이 모형을 '로스'(Ross)라고 불렀다. 새로운 우주정거장은 2단계로 발사될 예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남극 앞바다의 기후 변화가 태평양 수온과 열대 지역 비구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했다. 16일 UNIST에 따르면 도시환경공학과 강사라 교수 연구팀은 기후 모델(Climate Mode) 실험으로 남극 앞바다의 냉각이 적도 태평양의 수온을 낮춘다는 내용을 입증했다. 특히 남극 앞바다의 온도와 열대강우(비구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밝혔다. 남극 앞바다가 차가워지면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고, 그 영향으로 열대강우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