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호주 에너지시장기구(AEMO)는 남부에 위치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전체 세대의 전력량 수요 중 52%를 신재생에너지가 공급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최근 들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호주의 에너지 전환은 전 세계 에너지 전문가들을 놀라게 할 만큼 빠른 속도로 추진되고 있다.
호주의 에너지 전환을 이끌고 있는 일등공신은 단연 태양광이다. 호주는 주택의 지붕형(루프탑) 태양광 보급률이 세계 1위다. 전체 보급률이 24%로서, 호주 전역의 5가구 중 1가구에 해당하는 200만 주택에 설치되어 있다. 올해에만 총 1.9GW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면서 매년 새로운 기록을 경신 중이다.
호주의 주택용 태양광 패널 보급이 증가한 가장 큰 이유는 주정부에서 다양한 보조금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호주 정부는 SRES(Small-scale Renewable Energy Scheme)라는 소규모 발전 정책을 통해 개인 및 소규모 사업체에서 가정용 태양광 패널, 태양광 온수 시스템 등을 설치하는 비용을 지원한다.
또한 태양광 시스템의 용량도 확대돼 2009년에는 1.34kW에 불과했으나 2018년에는 평균 7.13kW의 시스템이 설치됐다. 특히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경우 연간 태양광 패널 설치가 2017년 4만 3113건에서 2018년에는 5만 8324건으로 증가해 호주에서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최근에는 시드니에 위치한 호주 최대 물류 단지인 ‘무어뱅크 물류단지’의 건물 지붕에 태양광 모듈이 설치됐다. 약 7500장의 모듈이 설치돼 이 건물은 연간 약 4800MWh의 전기 에너지를 스스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한편 유지 비용 문제로 인해 노화된 석탄 화력발전소의 폐쇄가 이어지고 있는데, 이를 대체하기 위해 호주의 많은 기업들은 대형 태양광 발전에 투자하고 있다. 이런 요인으로 인해 호주는 탄소배출권 수입국에서 순수 수출국으로 변신하고 있다. AEMO는 호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 역대 최저 수준
호주 신재생에너지협회(CEC)에 의하면 현재 87개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거나 자금 투입이 완료된 상황이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는 지난해 10월에 완공된 네오엔(Neoen) 사의 150MW급 태양광 발전소다. 뉴사우스웨일스주에 위치한 이 발전소에는 호주 최대 규모인 56만 7827개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었다.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테슬라는 2017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에 100MW급의 세계 최대 리튬 이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완공했다. 이 같은 대형 신재생에너지 건설 프로젝트는 약 1만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만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높은 기여를 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율을 높이기 위해 호주 정부가 2018년부터 시행 중인 대규모 발전 목표(Large-scale Renewable Energy Target)는 2020년까지 3만 3000GWh를 달성하는 것이다. 지난해에 이미 총 발전량이 2만 2000GWh에 이르렀으며, 올해는 3만GWh를 달성할 전망이다.
태양광 에너지 발전을 통해 연평균 540호주달러의 전기 요금을 절약한 것으로 조사되면서 각 가정에서는 지붕형 태양광에 적극 투자하는 추세다. 호주 정부에서는 태양광 시스템을 통해 가구당 연간 890호주달러의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다며 설치를 장려하고 있다.
2024년까지 태양광 설비용량 2.5배 증가
이 같은 지붕형 태양광 시스템 덕분에 호주의 전력 피크 시간대도 완전히 변경되었다. 예전의 전력 피크 시간대는 늦은 오후였는데, 태양광이 활성화된 이후 해가 지고 난 후의 저녁 시간대로 바뀐 것. 또한 전력 최소 수요 시간대도 예전의 심야에서 요즘은 낮 시간대로 변경됐다.
호주의 지붕형 태양광 시스템 보급 증가 추세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전망과도 일치한다. IEA는 현재 2500GW인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이 2024년까지 1200GW 가량 증가해 총 3700GW에 이를 것이라고 발표했다. 증가분인 1200GW는 현재 미국의 총 발전능력과 거의 같다.
그런데 IEA는 증가분인 1200GW 중 57%인 697GW는 태양광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24년까지 태양광 설비용량이 2.5배나 증가한다는 의미다. 또한 IEA는 그동안 태양광 시장이 대규모 발전소 위주로 성장세를 이어온 것과는 달리 앞으로는 주택 및 상업용 건물 등의 ‘분산형 태양광’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분산형 태양광이란 발전소에서 생산된 태양광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수요지 인근에 위치한 소규모 발전설비로 전력을 공급받는 형태를 의미한다. IEA는 2024년까지 증가하는 697GW의 태양광 설비용량 중 거의 절반을 분산형 태양광 시설이 차지할 것으로 추정했다.
(617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