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26일 온라인 영상회의로 제1회 과학문화 혁신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문화 다양성 시대의 과학문화 콘텐츠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과학문화 전문가, 과학문화 활동 협‧단체, 미디어 콘텐츠 기업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약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과학문화 정책‧사업의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과학기술문화 협력망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병민 건국대 교수는 ‘문화 콘텐츠 현황 및 공공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코로나 이후 시대 문화 콘텐츠의 정의, 콘텐츠 산업의 동향 변화, 삶과 문화의 변화에 따른 공공콘텐츠의 가치를 제안할 예정이다.
문경수 과학탐험가는 ‘방송시장에서의 과학콘텐츠 동향’이라는 주제로, 최신 과학문화 관련 방송 동향, 지역 중심의 우수 과학문화 방송 사례, 향후 방송계 변화에 대응하는 과학문화 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안할 예정이다.
김남식 사무국장은 ‘민간 관점의 과학문화 동향’이라는 주제로, 민간 주도의 과학문화산업 실태, 과학문화 수요자 분석, 비대면 사회에 필요한 과학문화 콘텐츠를 제안할 예정이다.
전문가 발제 후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국민의 높아진 문화 수준과 새로운 미디어 활용에 적합한 과학문화 콘텐츠의 방향 등에 대해 폭 넓은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며, 지역, 민간, 과학기술계 등이 협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강상욱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과학문화는 사회와 기술의 변화속도에 맞춰 역동적으로 변화해 나가야하므로, 현장과의 긴밀한 소통이 중요하다”라고 하며, 포럼을 통해 도출된 정책 제언이나 아이디어를 종합하여 과학문화 신규 정책‧사업으로 기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과학문화 혁신포럼은 매달 개최할 예정으로 공상과학(SF), 과학문화 전문인력,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활동, 지역 과학문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과학문화의 방향을 현장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7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