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인류가 약 4만 5000년 전에 유라시아 대초원(steppe)을 가로질러 이동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물이 몽골에서 발견됐다. 이 같은 연대는 고고학자들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약 1만 년 빠른 것이다.
캘리포니아 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데이비스 캠퍼스의 니콜라스 즈윈스(Nicolas Zwyns) 인류학 부교수는 “현대 인류가 현대 인류의 신비로운 사촌인 데니소바인(Denisovan)과 이곳에서 처음 마주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즈윈스 교수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시베리아와 몽골 북부 사이의 한가이(Hangai)산맥의 톨보르(Tolbor)강 주변에 있는 톨보르-16 유적지에서 발굴 작업을 주도했다.
발굴팀이 찾은 수천 점의 구석기 유물 중 사람의 흔적을 보여준 것은 826점이었다. 길고 규칙적인 칼날을 가진 세련된 유물들이다. 즈윈스 교수는 “이 도구들은 시베리아와 중국 북서부 유적지에서 발견된 도구들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시베리아 구석기 유물 보다 더 세련돼
즈윈스 교수는 “이런 유물들이 시베리아에도 존재했지만, 시베리아 유물이 이곳에서 발견된 것만큼 표준화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복잡하면서도 체계적인 방식으로 제작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는 공통의 기술적,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살았다는 표식이라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러한 유물은 ‘후기 구석기 초기’(Initial Upper Palaeolithic, IUP)에서 나타난다. 이 때문에 연구팀은 이번 유물이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이 남긴 것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즈윈스 교수는 “현장에서 사람의 유골을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우리가 분석한 연대는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연대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선택지를 신중하게 검토한 결과 이러한 기술의 변화는 이 지역에 호모 사피엔스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고 말했다.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한 논문에서 연구팀은 퇴적물 분석과 동물 뼈에 대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에 따라 이 유물의 생성 연대를 4만 5000년 전으로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몽골에서 발견된 인간 두개골 화석보다 약 1만 년 빠르며, 현대 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난 지 약 1만 5000 년이 지난 시점이다.
이 같은 연대는 호모 사피엔스와 데니소바인 사이에 발생한 가장 이른 만남에 대한 유전자 데이터에서 얻은 나이 추정치와 일치한다.
즈윈스는 “아직 어디서 만남이 이뤄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나중에 호모 사피엔스가 높은 티베트 고원의 저산소증에서 살아남는 데 도움이 될 유전자를 데니소바인들이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구석기 유물에 묻어있는 잔디나 유기물질 같은 토양 물질은 이 지역이 일정 기간 동안 기후가 따뜻하고 습해지면서 동물과 인간에게 살기 좋은 조건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예비 분석 결과 말이나 들소, 또는 중간 크기인 야생 양, 염소가 홍적세(Pleistocene)에 대초원, 숲, 툰드라(tundra) 등을 자주 드나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몽골에 거주한 구석기 사람들이 말, 양, 염소 등을 잡아먹은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유물은 후기 홍적세 시대에 유라시아의 대초원에서 적어도 두 방향으로 사람들이 흩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네안데르탈인과 현대 인류는 동쪽 방향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했는데, 이곳은 수수께끼의 데니소바인이 간헐적으로 점령한 지역이었다.
데니소바인은 남 시베리아 근처인 알타이 산맥(Altai Mountains) 근처에서 네안데르탈인과 피를 섞었지만 언제 어디에서 호모 사피엔스를 만났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383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 소모량과 맞먹고,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학습 서버 한 대의 전력소모량이 알파고의 10배를 넘는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초저전력·고성능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인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소자) 기술 혁명이 필요한 이유다.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드론은 저렴한 가격과 기동성으로 소방·정찰·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운용 주체·의도를 숨길 수 있어 군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 테러리스트들도 쓰는 도구가 되고 있다.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국가 중요 시설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안티드론 기술 평가장이 되고 있다.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인 침팬지도 10대 때는 사춘기 청소년처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보이지만 인내심은 오히려 10대 청소년보다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 미시간대 알렉산드라 로사티 교수팀이 콩고공화국 보호구역에서 태어난 야생 침팬지 40마리를 대상으로 충동성과 위험 감수 경향, 인내심 등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경고가 뜨고 가스 밸브가 자동으로 잠긴다면 훨씬 안전할 수 있다. 기상청은 '지능형 사물인터넷'(사물지능융합기술·AIoT) 기술을 활용한 지진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차세대 지진재난문자 서비스 연동방안 연구'를 올해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