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칼럼

현대 뉴미디어 아티스트 ‘모리스 베나윤’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모리스 베나윤(Maurice Benayoun, 1957~)은 컴퓨터 그래픽, 비디오 아트, VR, 인터넷 아트, 3D 프린팅, 뇌파 예술, 증감 현실, 인터랙티브 아트, 설치미술 등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통해 시각예술 창작 활동을 하고 있는 현대 뉴미디어 아트를 대표하는 작가 가운데 한 명이다.

알제리 출신의 모리스 베나윤은 프랑스 판테온 소르본 대학교(Pantheon Sorbonne University)에서 순수미술을 전공하고, 졸업 후 다시 예술과학을 공부하면서 컴퓨터 그래픽과 비디오 설치미술로 작품 영역을 새롭게 확장했다.

The Quarxs Ⓒ Maurice Benayoun

모리스 베나윤이 감독을 맡고, 프랑스 TV 방송사 카날 플러스(Canal+)가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제작한 컴퓨터 애니메이션 단편 시리즈 ‘더 쿽스(The Quarxs)’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3D 그래픽 기술과 고해상도 영상 HDTV(High Definition TV) 포맷으로 만들어졌다.

‘더 쿽스’의 미술과 디자인 작업에는 단편 애니메이션 ‘Chromophobia’, ‘Pegasus’, ‘Harpya’ 등을 만든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감독 라울 세르베(Raoul Servais)의 장편 애니메이션 ‘탁산드리아(Taxandria)’의 프로덕션 디자인을 맡았고, 그래픽 노블 ‘The Obscure Cities’를 그린 벨기에 만화가 프랑수아 슈이텐(Francois Schuiten)이 참가했다. ‘더 쿽스’는 SIGGRAPH, Imagina, Ars Electronica 등 26곳의 국제 행사에 수상했고, 세계 15개국 이상에서 방송되었다.

World Skin Ⓒ Maurice Benayoun

모리스 베나윤의 ‘World Skin(1997)’은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개최되는 아르스 일렉트로니카(Ars Electronica) 인터랙티브 아트 부문에서 골든 니카(Golden Nica)상을 수상한 VR(Virtual Reality) 영상 작품이다.

‘World Skin’의 관람자는 VR 헤드셋을 쓰고 전쟁으로 파괴된 건물, 무장한 군인과 군대, 탱크와 대포, 부상자들이 쓰러져 있는 가상의 공간을 여행한다. 그리고 관람자에게 보이는 어떤 장면이나 사물에 셔터를 누르면 그 이미지가 프린터로 출력된다. ‘World Skin’은 가상 현실 영상을 통해 전쟁의 비극에 대한 시각적 체험을 제공하는 메타포(metaphor)이다.

Cosmopolis  Ⓒ Maurice Benayoun

모리스 베나윤의 또 다른 작품 ‘코스모폴리스(Cosmopolis)’는 상해 과학기술 뮤지엄(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충칭 삼협 뮤지엄(ChongQing Three Gorges Museum) 등에서 전시한 인터랙티브 설치미술 작품으로, 관객은 VR 망원경을 통해 세계 각국 주요 도시의 전경을 360도 파노라마(Panorama) 영상으로 관찰하며, 세계 도시화와 관련된 주요 이슈를 시각적으로 경험한다.

Colors Tunnel Ⓒ Maurice Benayoun

‘컬러 터널(Colors Tunnel)’은 2016년 제작한 그의 인터랙티브 설치미술 작품으로, 가상 현실과 인터넷을 통해 프랑스 파리 퐁피두 센터와 캐나다 몬트리올 현대미술관을 연결했다. ‘컬러 터널’은 인터넷을 통한 국가 간의 정보 교환과 소통의 예술적 방법을 제시한다.

모리스 베나윤은 이 밖에도 주식시장 데이터를 이용해 사람들의 감정을 표현한 ‘감정 예보(Emotion Forecast)’, 인터넷 아트 ‘Occupy Wall Screens’ 등을 만들었으며, 그의 뇌파 예술 ‘Brain Factory Prototype’, 팬옵티콘(Panopticon) 관찰 설치미술 ‘Watch Out!’, 블록체인(Block chain) 기반 3D 프로젝트 ‘Value of Values’ 등은 한국에서도 전시되었다.

각종 뉴미디어를 넘나들며 과학과 예술, 그리고 인간 간의 상호작용성을 탐구하고 있는 모리스 베나윤은 파리 8대학(University of Paris 8) 교수를 역임했고, 새로운 형태의 예술에서 대한 연구기관 CITU 연구센터(Creation Interactive Transguliniaire Universitaire)의 공동 설립자로 참여했다.

그는 2012년부터 홍콩 시티대학 창조미디어학부(The School of Creative Media of City University of Hong Kong)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후학을 양성하면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1589)

태그(Tag)

전체 댓글 (1)

  • 박한얼 2020년 8월 3일12:02 오전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예술가가 있었네요. 컴퓨터 그래픽, 비디오 아트, VR, 인터넷 아트, 3D 프린팅, 뇌파 예술, 증감 현실, 인터랙티브 아트, 설치미술 등 흥미로운 예술입니다.

과학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