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새로운 기술과 예술적 · 공간적 디자인의 융합을 추구
독일 뮌헨의 올림피아드파크(Olympiapark) 근처에 위치한 BMW 뮤지엄은 1972년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 Games) 직후에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건축가인 칼 스완저(Karl Schwanzer, 1918~1975) 교수의 ‘둥근 건물의 내부 구조는 밀폐된 공간에 있는 도로의 연속’이라는 디자인 개념을 기반으로 1973년 건축 개관한 대표적인 자동차 전문 박물관이다.
BMW Headquarters & museum Ⓒ BMW
칼 스완저는 오스트리아 비엔나 공과대학(Technical University of Vienna), 비엔나 응용예술 대학교(University of Applied Arts Vienna), 헝가리 부다페스트 기술 대학교(Budapest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conomics) 등에서 교수를 지냈다. BMW 뮤지엄과 함께 그가 디자인한 100m 높이의 BMW 본사 건물(BMW Headquarters)은 자동차 엔진의 4개의 실린더와 타이어 모양에서 착안한 대형 건축물이다.
BMW 뮤지엄은 독일의 건축집단 아틀리에 브뤼크너(Atelier Bruckner)와 미디어 아트 그룹 ‘ART+COM 스튜디오’가 디자인을 맡아 2004년부터 4년 동안 재건축 공사를 하였고, 2008년 120개의 전시물과 25개의 전시장이 있는 5,000 평방미터 규모로 새롭게 재개관하였다. 아틀리에 브뤼크너는 한국의 ‘Hyundai Future Mobility’ 전시장을 디자인하기도 했다.
The Shapes of Things to Come Ⓒ ART+COM Studios
‘ART+COM 스튜디오’는 새로운 기술과 예술적 · 공간적 디자인의 융합을 추구하는 혁신적인 미디어 아트 그룹으로 안드레아스 윅(Andreas Wiek)과 요아힘 사우터(Joachim Sauter)를 중심으로 미디어 아티스트, IT 개발자, 과학자, 엔지니어 등이 참여하여 1988년 설립되었다. ‘ART+COM 스튜디오’의 디자인 책임자인 요아힘 사우터는 베를린 예술대학(Berlin University of the Arts)과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미디어 디자인 전공 교수를 역임했다.
특히 재개관한 BMW 뮤지엄은 ‘ART+COM 스튜디오’가 중앙 홀에 제작 설치한 키네틱 아트 ‘The Shapes of Things to Come’으로 커다란 주목을 받으며 뮌헨을 대표하는 건축적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The Shapes of Things to Come’은 강철 와이어에 매달린 714개의 금속 볼이 7분 길이의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반복하는 작품으로, 기하학적인 운동과 자동차 모양의 운동을 결합하여 공간 속에서 보여준다. <관련동영상>
Kinetic Rain Ⓒ ART+COM Studios
‘ART+COM 스튜디오’에서 2012년 제작한 ‘Kinetic Rain’은 싱가포르 창이(Changi) 국제공항 중앙 에스컬레이터 위에 설치된 75제곱미터 면적에 높이 7.3 미터 크기의 키네틱 설치미술 작품으로, 기계적 요소와 전자적 요소를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정교하게 결합하였으며, 미러링(mirroring) 효과와 시각적 상호반응을 극대화하였다.
‘Kinetic Rain’은 구리 도금 경량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빗방울 모양의 608개 금속 볼의 15분 길이 애니메이션 시퀀스 운동을 보여주며, ‘Kinetic Rain’에서 정밀한 기하학적 상하 운동을 하는 금속 볼은 펄스(pulse) 입력 신호에 따라 일정한 각도 단위로 정확하게 반복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에 의해 제어된다. <관련동영상>
Symphonie Cinetique – The Poetry of Motion Ⓒ MADE & ART+COM Studios
‘ART+COM 스튜디오’의 2013년 작품 ‘Symphonie Cinetique – The Poetry of Motion’은 음악과 기계적인 운동, 그리고 시적(詩的) 시너지가 융합된 독특한 키네틱 아트 작품으로, 아이슬란드 뮤지션 올라퍼 아르날즈(Olafur Arnalds)와 ‘ART+COM’의 미디어 아티스트 요아힘 사우터의 콜라보레이션 작업으로 탄생했다. 이 작품은 빛과 반사, 사운드, 움직임 등 세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관련동영상>
지난 5년여 동안 ‘ART+COM’에서 개발한 키네틱 설치미술의 원형을 한데 모은 이 작품에는 디자이너 유시 엔제스레바(Jussi Angesleva)와 허먼 클로크너(Herrmann Klockner), 뮤지션 빅토르 오리 아나슨(Viktor Orri Arnason)과 닐스 프람(Nils Frahm) 등도 함께 참여했으며, 베를린에 위치한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 플랫폼인 ‘MADE’의 학제간(interdisciplinary)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MADE’의 목표는 다양한 예술 장르가 한데 모여 새로운 창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988년 설립 이후 ‘ART+COM’은 뉴욕 ADC(Art Directors Club), Clio Awards, D&AD(Design and Art Direction), Red Dot Design Award, iF Industrie Forum Design 등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Neo-Natur(2019)’, ‘Petalclouds(2018)’, ‘Vanity Bench(2018)’, ‘Chronos XXI(2017), ‘Pendulum Casa V(2015)’, ‘Manta Rhei(2012)’, ‘Anamorphic Mirror(2011), ‘Resonance – Reflective Kinematronic III(2010)’ 등의 공공장소 전시형 키네틱 조각을 제작하여 세계 각국 주요 도시에 설치했다.
(98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