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들의 오디세이] 태양과 관련된 이름 기원 찾기
이제 한 풀 꺾이긴 했지만, 올 여름 폭염은 무서운 기세를 보였다.
더위에 관한 갖은 기록들이 죄다 갈아치워졌다. 온열 질환자의 수도 16일 기준 4천301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48명에 이른다.
온열 질환들 중 가장 치명적인 것은 열사병(heat stroke)이다. 환자는 의식이 없고, 체온은 40도를 넘지만 땀은 흘리지 않는다. 초응급 상황이다.
‘stroke’이라는 병명은 일격을 당해 쓰러지듯 갑자기 닥치는 병을 말한다.
stroke 뇌졸중(腦卒中)
heat stroke 열사병(熱射病)
열사병 중 해의 직사광선을 맞아 생기는 것이 일사병(日射病; sun stroke, heliosis)이다. 병명인 ‘heliosis’는 태양의 신 헬리오스(Helios)의 이름에서 왔다.
일사병; 헬리오시스 heliosis ← 태양의 신 헬리오스 Helios
헬리오스는 크레타의 왕 미노스의 아내 파시파에의 친정 아버지이다. 그리스 신화의 이런저런 이야기에서 카메오처럼 잠깐씩 등장하지만 정작 헬리오스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번 원고에서는 ‘해’를 상징하는 헬리오스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가 잘 아는 그리스 신화의 12 올륌포스 신들이 세상을 호령하기 이전에는 크로노스(Chronos)를 위시한 티탄(Titan) 12신들이 세상을 다스렸다.
그 중에 빛의 신 휘페리온(Hyperion)은 슬하에 헬리오스(Helios), 셀레네(Selene), 에오스(Eos)를 두었다. 빛의 신의 자녀답게 각각은 해, 달, 새벽의 신이 되었다. 로마 신화에서는 솔(Sol), 루나(Luna), 오로라(Aurora)가 그 일을 맡았다.
휘페리온 ← hyper- (높은) + on(존재); 높은 존재
하이페리온(hyperion) 위성; 1847년에 발견된 토성의 제7 위성이다. 감자 모양이고 한반도 크기다. 하이페리온은 휘페리온의 영어식 발음.
참고로 휘페리온의 이름에서 나온 hyper- 은 ‘높은(高)’ 것을 의미하게 된다.
hypertension 고혈압
hyperbaric 고압
hyperthermia 고온
hyperacute 아주 급성인
hyperactivity 과잉행동
하늘에 두 개의 태양이 있을 수는 없는 법. 티탄 신들과 올륌포스 신들은 세상의 지배권을 두고 건곤일척의 전쟁을 벌였다.
그 결과 티탄 신들이 지고, 올림포스 신들의 세상이 되었다.
이후 헬리오스와 셀레네는 자신의 자리를 제우스의 아들과 딸인 아폴론(Apollon)과 아르테미스(Aretemis)에게 빼앗겼다. 로마신화에서는 아폴로(Apollo)와 디아나(Diana)가 그 일을 맡았다.
세대 교체
헬리오스/솔 (helios/Sol) → 아폴론/아폴로(Apollon/Apollo)
셀레네/루나(Selene/Luna) → 아르테미스/디아나(Artemis/Diana)
그래도 헬리오스의 이름은 길이 남아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다. 앞 글자인 helio-은 나중에 해(日)를 뜻하게 된다.
heliocentrics 해를 중심으로 우주가 돈다는 학설; 지동설.
geocentrics 지구를 중심으로 우주가 돈다는 학설; 천동설.
heliotaxis 태양을 따라가는 성질. 주일성(走日性), 향일성(向日性)
helianthus 해+꽃 = sun + flower; 해바라기의 학명
1868년 개기일식을 관찰하던 프랑스 천문학자 얀센(Pierre Jules César Janssen)과 영국 과학자 로키어(Sir Joseph Norman Lockyer)는 태양 코로나(corona)의 노란색 스펙트럼을 분석하다가 지구에는 없고 태양에만 있는 새로운 원소를 발견했다.
그들은 새 원소의 이름을 태양의 신 헬리오스의 이름을 따 헬륨(helium)으로 지었다. 하지만 25년 후 이 원소는 지구에서도 발견되었다.
helium; 헬륨 ← Helios(해의 신) + ium(금속)
지구에서는 귀한 원소이지만 우주공간에서는 수소 다음으로 많은 물질이 헬륨이다.
헬륨은 수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만들어지므로 핵 융합 에너지를 만드는 태양에는 아주 풍부해 개기 일식 때 관측된 것이다. 지구에서 헬륨은 로켓의 추진체, 냉각제, 열기구, 잠수 호흡장치, 지구연대측정학 등에 쓰인다.
의료계에서도 헬륨은 아주 중요하다. 자기공명장치(MRI)에 쓰이기 때문이다. 자석을 이용해 인체를 들여다보는 영상 장비인 MRI는 자석의 초전도성을 유지하는 냉매로 헬륨을 쓴다.
한편 그리스인들의 헬리오스는 로마인들에겐 솔(Sol)이다. 때문에 태양과 관련된 많은 단어에서 ‘Sol’을 찾아볼 수 있다.
따지고 보면, 헬륨과 파라솔은 완전히 다른 존재지만 언어적 기원만은 같은 셈이다.
solar calendar 양력
solar system 태양계
parasol 파라솔; 햇빛을 피한다
solarium 일광욕실
(246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