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과천과학관은 허블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발사 30주년을 맞아 천체사진 전시와 강연, 관측회 등 다양한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1990년 4월 24일 발사된 허블우주망원경은 2.4m 광학망원경을 탑재하고 지구 저궤도에서 30년간 우주를 관측, 우주를 향한 인류의 창문 역할을 하고 있다. 30주년 행사는 발사일에 맞춰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연기됐다.
사진영상전에서는 허블우주망원경이 매년 발사 기념일에 맞춰 공개해온 주요 천체사진 중 일부와 ‘허블울트라딥필드'(Hubble Ultra Deep Field) 등 15점을 전시한다. 또 유럽우주국(ESA)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작한 30주년 기념 특별영상도 상영된다.
7월 25일에는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된다.
낮 시간대에는 천체투영관 교육실에서 허블우주망원경 모형 만들기 체험프로그램이 열린다. 저녁에는 NASA 연구원 출신인 김석환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의 특강과 여름철 대표 천체를 관측하는 공개관측행사가 마련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과천과학관 누리집(http://www.sciencecent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17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