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과천과학관은 허블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발사 30주년을 맞아 천체사진 전시와 강연, 관측회 등 다양한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1990년 4월 24일 발사된 허블우주망원경은 2.4m 광학망원경을 탑재하고 지구 저궤도에서 30년간 우주를 관측, 우주를 향한 인류의 창문 역할을 하고 있다. 30주년 행사는 발사일에 맞춰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연기됐다.
사진영상전에서는 허블우주망원경이 매년 발사 기념일에 맞춰 공개해온 주요 천체사진 중 일부와 ‘허블울트라딥필드'(Hubble Ultra Deep Field) 등 15점을 전시한다. 또 유럽우주국(ESA)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작한 30주년 기념 특별영상도 상영된다.
7월 25일에는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된다.
낮 시간대에는 천체투영관 교육실에서 허블우주망원경 모형 만들기 체험프로그램이 열린다. 저녁에는 NASA 연구원 출신인 김석환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의 특강과 여름철 대표 천체를 관측하는 공개관측행사가 마련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과천과학관 누리집(http://www.sciencecent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17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정부는 10월 누리호 발사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
정부가 연구개발(R&D) 사업이 끝난 뒤에도 연구진의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연감을 제작하고 성과 추적조사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중견연구·신진연구·생애첫연구·재도약연구 등에 2천647개 과제를 새로 선정, 3월부터 연구할 수 있게 3천657억원을 지원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주차 로봇'에 대한 실증이 시작된다.
스마트 교차로·사물인터넷 서비스망·공유와이파이 플랫폼 구축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함께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와 산업 간 융합을 통해 개발된 혁신 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D·N·A 대중소 파트너십 동반진출' 사업을 시작한다.
광주 자치구 보건소에 인공지능(AI) 의료 시스템이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