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Yann Arthus Bertrand, 1946~)은 국제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프랑스의 사진작가이자 언론인이며, 행동주의 환경운동가로서 30대 초반 케냐의 마사이 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부터 열기구를 타고 하늘 높이 올라가 아름다운 ‘자연주의 사진’을 촬영하기 시작했다
그는 항공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묶어 ‘Earth from Above’, ‘Man and Sea: Planet Ocean’, ‘Human: A Portrait of Our World’, ‘6 Billion Others: Portraits of Humanity from Around the World’, ‘Earth from Space’ 등 60여 권의 사진집을 출간했으며, 1991년 세계 최초의 항공 사진 전문 언론사 알티튜트 에이전시(Altitude Agency)와 사진 도서관을 파리에 설립했다.
Human Ⓒ Yann Arthus Bertrand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이 베텐코트 슐러 재단(Bettencourt Schueller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아 2015년 제작한 ‘Human’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대서사시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그는 영화 제작을 위해 3년 동안 60개국을 돌아다니며 지구 곳곳의 대자연과 2000여 명 이상의 각 나라 사람들을 인터뷰 촬영하여 영화를 만들었으며, 유엔 창설 70주년을 맞이하여 유엔 총회장에서 상영되었다.
‘Human’의 영상 속에서 펼쳐지는 인간과 자연의 모습은 눈을 뗄 수 없도록 정교하고 압도적이며, 얼굴 클로즈-업 장면에서는 인간의 ‘존엄’이 느껴지고, 높은 항공에서 초고속으로 촬영한 공중신은 ‘아름다운 그림’이다.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은 “지구는 인류가 잠시 빌려 쓰는 집(house)이 아니라, 66억 인류와 모든 동식물들이 함께 사는 가정(home)이다”라고 말했다.
영화 ‘Human’은 극장판, TV판, 인터넷 버전, 에피소드 버전 등이 있는데, 1시간 23분 길이의 ‘Human’은 고해상도 영상으로 유튜브에 공개되어 있으며, 무려 3시간 11분 길이의 감독판 버전에는 제노사이드(Genocide, 집단학살), 가난, 전쟁, 동성애, 여성차별 등에 대한 인터뷰이(interviewee)의 내레이션이 포함되어 있다. ‘Human’의 영화 음악은 이스라엘 출신의 작곡가 아르망 아마르(Armand Amar)가 맡았으며 장중하고 동양적인 신비로운 선율이 영화 전반에 흐른다. <관련 동영상> <관련 동영상>
Human Ⓒ Yann Arthus Bertrand
‘Home’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이 2009년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로서, 헬리콥터 하단에 장착하는 특수한 시네플렉스 항공 카메라 시스템(Cineflex Aerial Camera Systems)을 사용하여 18개월 동안 50여 개 나라에서 500시간 분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작되었다. 항공에서 촬영한 ‘Home’의 영상은 지구상의 생명의 다양성과 인류의 공존과 위협을 보여준다. ‘Home’은 DBIFF(Dawn Breaker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극장과 TV 그리고 유튜브에 공개되었다. <관련 동영상>
Home Ⓒ Yann Arthus Bertrand
행동주의 환경운동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의 ‘Earth From Above’는 유엔과 유네스코의 지원을 받아 장기적으로 진행한 ‘The Earth From Above, Wild Animals, Horses, and 365 Days’ 프로젝트의 영상 결과물로서 사진집은 21개국 언어로 번역 출간되었으며, 파리 뤽상부르 공원(Jardin du Luxemburg)에서 전시회를 개최했다. 다큐멘터리 영화 버전 ‘Earth From Above’는 2004년 제작되었으며, TV판은 프랑스 국영 TV(France Televisions)를 통해 4부작 시리즈로 만들어졌다. <관련 동영상>
Earth From Above Ⓒ Yann Arthus Bertrand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의 사진은 미적(美的) 의미와 정치적 의미가 함께 은유·함축 되어 있다. 그의 사진에 포착된 거대한 자연은 단지 ‘풍경’이 아니라 ‘관계’에 대한 것이다. 그는 영국 왕립사진협회(The Royal Photographic Society)에서 사진, 과학, 미술 또는 그 응용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사람들에게 수여하는 상을 받았으며, 영국 왕립지리학회에서 수여하는 체리 키튼 메달(Cherry Kearton Medal)과 미국 NOBA(National Outdoor Book Award) 상을 수상했다.
그는 “사진가는 항상 모든 것을 프레임 안에 넣으면 어떻게 보일 것인지에 대하여 생각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사진을 찍는 사람이 사물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 마음이다”라고 하였다.
인간과 지구의 관계와 만남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사진과 다큐멘터리 영화를 통해 제시하고 있는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은 지금도 카메라를 들고 전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다음 세대에게 남기기 위한 사진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180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