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물리학상은 지난 120년 동안 단지 4명의 여성 수상자만을 배출했다. 올해 블랙홀을 증명해낸 공로를 인정받아 공동 수상한 앤드리아 게즈(Andrea Ghez)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 교수까지 포함한 숫자다.
이쯤 되면 초대 여성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마리 퀴리(Marie Curie, 1867~1934)가 남긴 공로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볼 만하다. 마리 퀴리는 1903년 여성 최초 물리학상 수상자일 뿐 아니라 1911년 최초로 여성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이게 끝이 아니다. 그의 남편과 딸, 사위까지 모두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노벨 과학상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다. 이들의 중심에는 마리 퀴리가 있었다.
전무후무한 노벨상 수상자, 마리 퀴리
폴란드 출신의 과학자 마리 퀴리(Marie Curie)는 박사 학위 주제를 찾던 중 프랑스 물리학자 앙투안 앙리 베크렐(Antoine Henri Becquerel, 1852~1908)의 우라늄의 성질에 대한 논문에 매료되어 연구를 시작했다.
앙리 베크렐은 우라늄이 외부의 작용 없이 광선을 발한다고 기록했으나 그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증명하지 못했다. 하지만 마리 퀴리는 앙리 베크렐의 연구를 더욱 심층적으로 파고들기 시작했고 이후 마리 퀴리의 연구에 대한 열정은 그녀의 남편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는 연구 동지이자 인생의 동반자로서 함께 하며 일생을 라듐연구에 바쳤다. (사진= 왼쪽부터 베크렐, 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 © Nobel Foundation archive
남편 피에르는 마리의 연구에 함께 참여하게 되었고, 퀴리 부부는 1897년도에 ‘토륨도 우라늄과 같은 방식으로 방사능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이들은 ‘역청 우라늄광에 함유되어 있는 새로운 방사 물질에 대해서’라는 보고서를 1898년 7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소식지에 공표하는 성과를 거둔다.
이들은 역청 우라늄광 안에는 폴로늄 외에도 또 다른 요소가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리고 1898년 12월 두 번째 논문에서 이 물질을 ‘라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1902년에는 0.1g의 염화라듐을 추출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1903년 라듐과 폴로늄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앙리 베크렐, 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에게 노벨 물리학상이 공동 수상됐지만 후 당시 학계와 여론은 매우 좋지 않았다. 마리의 수상이 남편 덕이라는 부정적인 의견 때문이었다.
하지만 마리 퀴리는 이러한 불리한 여건에 굴하지 않고 연구에 연구를 거듭했다. 남편 피에르 퀴리 또한 부인 마리 퀴리의 연구 공적을 높게 평가하고 노벨상의 공로가 마리 퀴리 덕분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남편 피에르 퀴리(Pierre Curie, 1859~1906)가 노벨상 수상 후 마차 사고로 사망하고 나서도 연구는 중단 없이 계속됐다. 그 결과 1911년 마리 퀴리는 노벨 화학상까지 거머쥐게 된다.
여성이 과학계에서 인정받기 어려운 척박한 현실 속에서 당당하게 두 아이를 잘 키운 마리 퀴리. 첫째 딸 이렌이 퀴리부부의 연구를 이어가며 결국 노벨상을 대를 이어 수상하게 된다. © Nobel Foundation archive
남편, 부인, 딸, 사위들까지… 노벨상 수상
마리 퀴리에 뒤를 이은 이들은 딸과 사위다. 퀴리의 딸 이렌 졸리오 퀴리(Irène Joliot-Curie, 1897~1956)는 남편 프레데릭 졸리오(Frédéric Joliot-Curie, 1900~1958)와 함께 방사성 물질 연구로 193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남편과 부인, 딸과 사위까지 노벨 과학상을 수상했으니 역사상 최고의 노벨 과학상 명문가라 하겠다. 훗날 둘째 딸인 이브 퀴리(Ève Curie)의 남편 헨리 라부이스(Henry R. Labouisse)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해 퀴리가는 역사상 최대 노벨 수상자를 배출한 가문이 됐다.
이렌은 어릴 때부터 마리 퀴리와 함께 했다. 마리 퀴리가 1914년 전쟁 중 트럭에 X-레이 시설을 탑재한 이동식 방사선 검사반을 만들어 군인들의 부상을 치료하는 여정에도 동행했다. 퀴리의 X-레이 기계는 부상자들의 총알과 포탄이 어디에 박혔는지 찾아낼 수 있어 수많은 생명을 구하는데 큰 도움을 줬다.
이렌은 이런 어머니를 보고 배우며 라듐 연구에도 동참한다. 그는 마리의 지도 아래 폴로늄의 알파선을 연구하며 박사 학위를 받는다. 이렌의 동반자가 된 프레데릭 졸리오는 마리 퀴리의 제자이자 이렌의 연구소 동료였다. 마리 퀴리가 방사선으로 인해 시력을 잃고 건강이 안 좋아지자 이들 부부는 마리 퀴리의 뒤를 이어 라듐 연구에 몰두한다.
1934년 이렌과 프레데릭은 인공 방사능을 발견했고 이들은 그 업적으로 인정받아 이듬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다. 하지만 마리 퀴리는 방사능 연구 후유증으로 인해 66세의 나이에 백혈병으로 생을 마감하고, 이후 1956년 이렌도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들이 끔찍한 방사능 후유증을 겪고 끝내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까지 연구한 라듐과 폴로늄으로 인해 인류는 방사선, 화학 분야, 핵에너지 사용과 관계된 다양한 응용 및 방사선 원소를 이용한 치료는 물론 원자력 에너지로 편안한 현대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됐다. 모두 마리 퀴리가 척박한 현실 속에서 싹 틔운 소중한 과학의 결실인 셈이다.
(459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팀이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스핀 구름'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나타나는 현상을 처음 규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임현식 동국대학교 교수 공동연구팀이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스핀 구름이 응축하는 현상을 통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를 만드는 것을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고령층은 물론 중장년층에까지 널리 퍼지고 있는 대표적 희소 난치질환인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림프암의 치료 후보물질을 찾아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조희영·임희종 박사 공동 연구팀이 면역체계 오작동으로 염증이 유발되고 정상조직이 공격당하는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연구를 통해 신약 물질인 'KIC-0101'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담수화 공정 후 폐기되는 농축수에서 담수와 고순도 리튬을 얻을 수 있는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투석 방식의 담수화 시스템은 높은 전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 '증산발전 소자'를 만들었다. 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이 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돼 빠져나가는 '증산작용' 원리에서 착안한 이 소자는 한 번만 물을 주입하면 공기 중 수분을 자동으로 흡수해 자가 발전하게 된다.
인공조명에 따른 빛 공해로 밤하늘이 밝아지면서 인간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지구과학연구소(GFZ)의 크리스토퍼 키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각지의 시민 과학자들이 제출한 별 관측 자료를 통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고있다는 점을 밝혀낸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밖에 안 되는 약 2억5천만년 전 꽃가루 화석에서 자외선 차단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 확인됐다. 이는 식물이 유해한 자외선(UV-B)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페름기 말 대멸종 때 유해 자외선이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