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도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연합뉴스
우리 땅의 백과사전인 ‘한국지질도’ 개정판이 24년 만에 발간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995년 3차 개정판 이후 24년 만에 100만분의 1 축척의 한국지질도 개정판(2019)을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지질도는 땅의 겉면에 드러난 암석 분포·지질구조·지층 상태 등을 지형도 위에 색채·기호·모양·선 등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국토개발·환경·자원·재해·관광·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최근에는 터널·도로·항만 등 교통시설과 전기·통신, 원자력발전소 부지 선정 등 국가 기간산업의 기본 자료로 활용된다.
국내에서 지질도를 제작하는 곳은 지질연이 유일하다.
1956년 대한민국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100만분의 1 축척 지질도인 대한지질도(등록문화재 제604호)를 시작으로 1981년, 1995년에 이어 이번에 네 번째로 제작했다.
이번 지질도에는 최신 지화학 분석과 연대측정 기법 등을 활용해 분류된 지층과 암석에 대한 신규 정보를 추가하고, 북한지역 지층도 재분류해 반영했다.
영문판을 함께 제작하고 설명서를 첨부해 활용도를 높였다.
5만분의 1 축척 지질도도 우리나라 전역을 359개 구역으로 나눠 1924년부터 현재까지 조사·발간하고 있다.
올해 기준 국내 전체 면적의 95%가 발간됐으며 2025년 100% 완료될 예정이다.
연구책임자인 기원서 박사는 “지질도는 과거 지층이 어느 곳에서 형성되고 어떤 변화 과정을 겪었는지 알려준다”며 “한반도 지질뿐만 아니라 동북아 지각 진화사 연구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27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