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애니메이션은 매우 다양한 소재와 촬영 기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영화이다. 이 가운데 픽실레이션(Pixilation) 기법은 사람의 움직임 자체를 기록하는 일반 영화(Live action film)와 달리 사람이나 사물의 정지 동작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분절적으로 연결하여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동작과 독특한 움직임을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픽실레이션 애니메이션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노먼 맥라렌(Norman McLaren)의 ‘Neighbors(1952)’, 렌 얀슨(Len Janson)의 ‘Stop Look and Listen(1967)’, 라울 세르베(Raoul Servais)의 ‘Harpya(1979)’, 얀 쿠넹(Jan Kounen)의 ‘Gisele Kerozene(1990)’, 얀 슈반크마이에르(Jan Svankmajer)의 ‘Food(1992)’, Paul B. Cummings의 ‘Tony vs Paul(2007)’, 오렌 라비(Oren Lavie)의 ‘Her Morning Elegance(2010), PES의 ‘Fresh Guacamole(2012)’ 등이 있다. <관련동영상1> <관련동영상2>
Luminaris 포스터 Ⓒ JPZtudio
아르헨티나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인형제작자인 후안 파블로 자라멜라(Juan Pablo Zaramella, 1972~)가 2011년 제작한 ‘루미나리스(Luminaris)’는 픽실레이션 기법 특유의 독특한 움직임과 상상력 넘치는 영상을 보여준 6분 분량의 단편 SF 판타지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루미나리스’는 유리구슬을 풍선껌처럼 입으로 불어서 전구를 만드는 공장을 다니는 남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남자는 전구를 만들고, 여자는 전구에 불이 켜지는지 확인하는 일을 한다. 남자는 공장에서 몰래 빼돌려 숨겨온 유리구슬로 뭔가를 만들 계획을 갖고 있지만, 상사에게 들켜 공장에서 쫓겨난다. 그런데 함께 일하던 여자가 남자의 설계도를 발견하고, 남자가 만들려고 했던 것을 이룰 수 있도록 많은 유리구슬을 가져온다. 그리고 마침내 하늘을 나는 커다란 전구 열기구를 만드는데 성공하고, 남녀는 이를 타고 함께 밤하늘로 날아오른다. <관련동영상 3>
Luminaris Ⓒ JPZtudio
특히 ‘루미나리스’는 빛과 그림자에 의해 통제당하는 사람들의 행동과 거리 모습을 절묘하게 결합하여 연출하였고, 이러한 초현실주의적인 공간 표현을 위해 2년 6개월이 넘는 제작 기간이 소요되었다. 주인공 남자 역할은 구스타보 코르닐리언(Gustavo Cornillon)이 맡았고, 여자 역할은 마리아 알체(Maria Alche)가 연기하였으며, 배경음악은 오스마르 마데르나(Osmar Maderna)의 1948년 탱고 연주곡 ‘Lluvia de Estrellas’가 사용되었다.
Luminaris Ⓒ JPZtudio
‘루미나리스’는 2018년 기준으로 프랑스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우드스탁 영화제, 브라질 국제 영화제, 스페인 유럽 영화제, 이탈리아 레지오 영화제, 중국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폴란드 국제 영화제, 독일 국제 단편영화제, 페루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불가리아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그리스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등에서 324개의 각종 상을 수상하였고, 기네스 세계기록 단편영화 부문 최다 수상 애니메이션으로 기록되어 있다.
연기자의 대사 없이 생략과 과장된 정지 동작 연출만으로 새로운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루미나리스’에서 가장 상상력 넘치는 명장면으로 꼽히는 마지막 장면에서 남녀는 규격화된 일상에서 벗어나, 전구로 만들어진 열기구를 타고 도시의 밤하늘을 날아간다.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1939)’의 키스신을 연상시키는 이 장면은 소시민의 자유에 대한 열망과 유쾌한 일탈을 잘 보여준다.
Luminaris Ⓒ JPZtudio
후안 파블로 자라멜라 감독은 이 밖에도 ‘At the Opera’, ‘Lapsus’, ‘Onion’, ‘Journey to Mars’, ‘The Challenge to Death’, ‘The Glove’, ‘Hotcorn’ 등 10편의 독립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을 만들었고, 2009년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에 초대되어 특별 상영회와 픽실레이션 워크숍이 개최된 바 있다.
또한 그는 스톱모션 클레이 인형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면서 TV 시리즈 ‘The Tiniest Man in the World’와 ‘The way things are’를 제작하였고, ‘Creation’, ‘F&F Kids’, ‘Plan Rombo’, ‘Pepitos’, ‘Espacios INCAA’ 등과 같은 상업 광고 애니메이션도 다수 제작하였다. 그는 현재 프랑스 Annecy MIFA 2020 Ciclic Prize 수상작인 장편 애니메이션 ‘CODA’를 준비하고 있다. <관련 동영상 4>
(83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가장 입자가 작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에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무르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따르면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생체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 동안 장기별 이동 경로와 세포 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동시에 찾아낼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 번에 15∼20개 단백질 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피카소(PICASSO) 기술은 동시 탐지 기술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 마커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빨리 탐지한다.
2차 발사일이 잠정적으로 6월 15일로 잡혀 있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완벽 성공'에 재도전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등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이번 주에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누리호의 발사일과 시간을 확정한다. 기상 변수 등을 고려해 발사일 전후 약 1주가 예비발사 기간으로 함께 지정될 예정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3일 우리나라 주요 산림 수종 14개의 무게를 쉽게 측정할 '입목중량표'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입목중량표는 나무의 키와 가슴높이의 굵기만 알면 누구나 쉽게 무게를 알 수 있도록 표로 제시한 것으로, 부피 단위인 재적표와 함께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산림 경영기준표다.
양자암호 상용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인 'TF QKD'의 실험 검증에 한국 연구진이 세계에서 두번째로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2일 한상욱 양자정보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작년 겨울 'TF(Twin-field) 양자키 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달 초 양자정보학 분야의 온라인 오픈액세스 저널인 'npj Quantum Information'에 게재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석으로 방사성 물질인 세슘을 분리하는 '자성 분리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오염 토양 정화 방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세슘은 지름 0.002㎜ 이하의 미세한 흙입자(점토)와 강하게 결합하는데, 점토는 표면이 음전하를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