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명저 읽기] 과학명저 읽기 32
데이바 소벨의 <경도 이야기>는 1995년 출간되어 국내에서도 여러 차례 번역이 되어 나온 책이다. 이 책은 해외 여러 나라에서 베스트셀러에 올라 영국에서는 TV 시리즈로까지 만들어졌고 1997년에는 ‘영국 올해의 책(British Book of the Year)’에 선정되기도 했다.
저자인 데이바 소벨은 이 책으로 일약 스타 작가의 반열에 올랐고 2000년에는 갈릴레오의 딸 마리아 첼레스테가 남긴 편지를 기초로 <갈릴레오의 딸>을 써서 다시 한번 그 입지를 굳혔다. 이후 소벨은 <행성이야기>(2005), <코페르니쿠스의 연구실>(2011) 등을 펴내며 꾸준히 작품을 내고 있다. 이런 대중과학서의 성공으로 그는 미국 지질학회의 펠로우로 뽑혔으며, 자신의 이름을 딴 소행성(30935 데이바소벨)을 얻는 명예를 누리기도 했다.
과학명저 읽기의 후보로 소벨의 <경도 이야기>를 올려놓고 한동안 고민을 했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인 것은 분명하지만 ‘명저’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을까? 몇 십 년이 흐른 뒤에도 가치가 있는 책으로 남아 있을 수 있을까 의구심이 남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당대에 많은 사람들이 읽었다면 거기에는 그 시대 그 사람들의 생각을 반영하는 무언가가 들어 있을 것이기에 책 자체로서가 아니더라도 역사적인 가치는 남을 것이라 믿는다.
소벨의 <경도 이야기>는 해상에서 정밀하게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해상 시계를 발명한 18세기 영국의 존 해리슨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당대의 가장 중요한 과학적 문제를 푼 외로운 천재에 관한 진실’이라는 책의 부제는 이 책의 방향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다.
소개 도서: 데이바 소벨 저, 김진준 옮김, <경도이야기: 인류 최초로 바다의 시공간을 밝혀낸 도전의 역사>, 웅진지식하우스, 2012 |
(199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