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계적으로 말라리아는 가장 위험한 전염병으로 꼽힌다.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중동 등에서 매년 60만 명 이상의 말라리아 사망자가 나온다.
말라리아는 모기에 물려 말라리아 원충이 감염되는 일종의 기생충병이다.
병원체인 말라리아 원충은 단세포 진핵생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전혀 다르다.
말라리아 원충은 5종이 알려졌으나, 가장 위험한 건 ‘열대열 원충’, 약칭 Pf(Plasmodium falciparum)다.
국내엔 ‘삼일열 원충'(P. vivax) 한 종만 발견되는데 기본적인 치료제가 잘 들어 사망하는 경우는 드물다.
가장 환자가 많이 나오는 아프리카 동남부 같은 곳에서 말라리아는 거의 풍토병이 됐다.
그런데 말라리아 감염이 일상화된 이 지역 주민들도 새로운 변이 원충이 나타나면 다시 감염된다.
이른바 ‘교차 면역'(cross-immunity)이 거의 작동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지를 독일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면역 기억’에 관여하는 ‘보조 T세포’가 말라리아 원충에 대해선 폭넓게 면역 반응을 유도하지 못했다.
독일 암 연구 센터(DKFZ)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0일(현지 시간) 저널 ‘사이언스 면역학'(Science Immunology)에 논문으로 실렸다.
사멸한 Pf 종충(種蟲 ㆍsporozoite)으로 실험 백신을 만들어 투여하면 모기에 물렸을 때 이 종충이 감염하는 걸 억제하는 면역 반응이 생긴다.
DKFZ 연구팀은 말라리아 백신의 어떤 단백질 시퀀스(protein sequence)에 보조 T세포(helper T cell)가 반응하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백신은 CSP라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게 디자인됐다.
말라리아 원충은 종충 단계에서 인간에게 감염된다. 이 종충의 표면에 나타나는 단백질 중 가장 많은 게 CSP다.
말라리아 백신을 개량하려면 면역 반응으로 어떤 방어 항체가 생기는지 먼저 알아야 한다.
그런데 항체는 여포성(follicular) 보조 T세포에 의존해 생성된다.
B세포가 형질세포(항체 생성 세포)나 기억 B세포로 변하려면 이 보조 T세포의 도움이 꼭 필요하다.
연구팀은 백신에 들어 있던 죽은 Pf 종충을 분리해 자원자에게 주입했다. 자원자는 말라리아에 걸린 적이 없는 유럽인 혈통으로 선별했다.
그런 다음 몸 안에 유도된 ‘Pf 식별’ 여포성 보조 T세포를 단세포 수준에서 분석했다.
여기서 놀랄 만한 결과가 나왔다.
보조 T세포의 수용체가 표적으로 삼는 건 주로 CSP 단백질의 아미노산 두 개(311번, 333번)였다.
또 서로 다른 T세포 클론(clone) 간에는 ‘교차 반응성'(cross-reactivity)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헤다 바르데만 면역학 부교수는 “보조 T세포 수용체는 원래 백신에 존재했던 CSP의 항원결정기하고 정확히 결합했다”라면서 “어떤 경우엔 단 하나의 아미노산만 빗나가도 결합을 허용하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열대열 원충의 경우 CSP 단백질의 두 아미노산 영역에서 높은 수준의 ‘연쇄 다형성'(sequence polymorphism)이 생긴다는 걸 시사한다.
보조 T세포의 수용체가 말라리아 원충의 항원결정기와 결합할 때 보이는 이런 엄격성이 자연 감염에 따른 면역력 생성을 막는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말라리아 감염에 항상 노출돼 있는데도 아프리카 주민한테 면역력이 생기지 않고, 백신을 맞아도 효과가 오래가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것이다.
(14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유방암은 흔한 암 유형 가운데 하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는 사람이 약 230만 명에 달한다. 유방암도 초기에 찾아내면 대체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다른 부위로 전이된 상태에서 발견되면 훨씬 더 치료하기 어렵다. 암의 전이는, 원발 암에서 떨어져 나온 '순환 종양 세포' 클러스터(CTCs)가 혈류를 타고 다른 기관으로 이동해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화성 탐사 후발주자인 중국이 미국보다 2년 앞서 화성 암석시료를 지구로 가져올 것이라고 중국 우주탐사 관계자가 밝혔다. UPI 통신과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의 화성탐사 미션 '톈원(天問)1'을 설계한 쑨쯔어저우 연구원은 지난 20일 난징대학 개교 120주년 세미나에 참석해 우주선 두 대를 활용해 화성 암석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는 '톈원3호' 계획을 공개했다.
정부가 주류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미래혁신기술 15개를 도출했다. 선정된 기술은 완전자율 비행체·주행차, 맞춤형 백신, 수소에너지, 초개인화된 인공지능(AI), 생체칩, 복합재난 대응시스템, 양자암호통신기술 등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3일 제40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안 등을 심의·보고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팀이 100㎚(나노미터) 두께 단일 소자에서 인간 뇌의 뉴런과 시냅스를 동시에 모사하는 뉴로모픽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뉴런은 신경계를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세포이고, 시냅스는 뉴런 간 접합 부위를 뜻한다. 1천억개 뉴런과 100조개 시냅스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인간 뇌는 그 기능과 구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외부 환경에 따라서 유연하게 변한다.
올해 하반기부터 자율주행차 실증 구간이 기존 7개 지구에서 14개 지구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를 통해 서울 강남과 청계천, 강원도 강릉 등 7개 신규지구 선정과 광주광역시 등 기존 3개 지구 확장에 대한 평가를 마쳤다면서 24일에 시범운행지구를 확정·고시를 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숨소리 빼곤 다 거짓말'이라는 비유적 표현이 있는데, 인간이 내쉬는 날숨도 개인마다 달라 지문이나 홍채 등처럼 생체인증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규슈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재료화학공학연구소 과학자들이 도쿄대학과 함께 날숨에 섞여 있는 화합물을 분석해 개인을 식별, 인증할 수 있는 인공코 시스템을 개발한 결과를 과학 저널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Chemical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연조직 육종(soft-tissue sarcoma)은 근육, 결합조직, 지방, 혈관, 신경, 힘줄, 관절 활막(joint lining) 등에 생기는 암이다. 신체 부위별로 보면 팔다리, 복강 후벽, 내장, 체강, 두경부 순으로 자주 발생한다. 희소 암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미국의 경우 한 해 5천 명 넘는 환자가 연조직 육종으로 사망한다. 특히 활막 육종은 폐로 많이 전이해 예후가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