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 노벨상을 수상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nman)처럼 대중들로부터 관심을 불러일으킨 과학자를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그는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Feynman Lectures on Physics)’ 등 대중이 쉽게 읽을 수 있는 물리학 저서를 여러 권 저술했다.
그는 또 세간의 시선을 아랑곳하지 않는 기행으로 유명하다. 봉고 연주자로서 그의 행적과 함께 그의 흥미로운 발언과 행적들은 어렵다고 인식돼온 과학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데 크게 기여했다. 아인슈타인 이후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100년 전인 1918년 5월11일, 미국 뉴욕에 살았던 한 유태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회고록에 따르면 아버지 멜빌 파인만은 ‘사실보다 무언가 찾아내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어머니는 ‘권위에 굴복하지 말고 의심할 것’을 가르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생전에 물리학을 강의 중인 리처드 파인만. 1918년 5월11일 출생해 아인슈타인과 함께 가장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과학자로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줄을 잇고 있다. ⓒrichardfeynman.com
물리학없이 이해할 수 있는 물질세계는 없어
유태인 특유의 창의적 교육방식 결과인지는 몰라도 그의 수많은 발언과 행적들은 기행이라 불릴 만큼 새롭고 신선감이 있었다. 1088년 2월15일 그가 사망한 직후 파인만과 관련된 기사, 대담, 그리고 다양한 기록들이 책과 전집으로 출간될 정도였다.
12일 ‘사이언스 뉴스’에 따르면 그의 강연과 책자들, 그리고 다양한 충고와 견해들은 근본적인 차원의 자연(nature)과 과학(science), 그리고 삶(life), 사회(society) 등을 위한 지혜, 통찰력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받은 책자가 2015년 프린스턴 대학에 의해 출판된 ‘쿼터블 파인만(Quotable Feynman)’이란 책이다. ‘무척 재미가 있어서 인용할만한 파인만의 어록’ 정도로 해석하면 될 것 같다.
그의 딸 미셸(Michelle)에 의해 편집된 이 책에는 그의 생전에 이루어진 광범위한 활동 분야에서 매우 주목을 받은 발언과 기록들이 다수 기록돼 있다. 이외에도 파인만과 관련된 수많은 책들이 다양한 형식으로 출간돼 대중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사이언스 뉴스’에서는 이 기록들을 종합 분석해 ‘10대 명언(Top 10 Feynman Quotes)’을 추려냈다. 그 중 이런 내용이 있다.
파인만이 이런 질문을 한 적이 있다. “어떤 재앙으로 인해 과학적 지식이 다 소멸됐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느냐는 것이다.
그러면 과학자들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들이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일정한 거리에서 서로를 끌어당기고 새로운 물질을 창출해내는 ‘원자가설(atomic hypothesis)’서부터 다시 과학을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과학자로서 그의 통찰력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는 “물리학 법칙에 의해 움직이고 원자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지 않으면 인간 삶에 있어 이해할 수 있는 물질세계는 하나도 없다.”는 발언을 자주 해왔다.
입증되지 않은 상상력에 대해 강한 거부감
그의 저서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역시 서두서부터 원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누가 이런 관점을 갖고 있지 않고 있다면 그 사람은 자신의 주장을 펴나갈 수 있는 ‘새로운 세계(Westworld)’를 개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인만은 항상 절차를 강조했다. “성공적인 기술이 만들어지기 위해 홍보(public relation)를 넘어서는 절차(procedure)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 실제로 이런 소신은 1986년 우주선 챌린지호 폭발 직후 NASA가 사태를 수습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는 자신에 대해 항상 불만족하고 있었다. 자신이 주변에서 보고 또한 알고 있는 사실을 비행접시에 대한 보고서에 비유했다. “우주를 통찰할 수 있는 ‘외계 지성체(extra-terrestrial intelligence)’가 아닌 비지성체(terrestrial intelligence)의 연구 결과”라는 것.
이런 발언을 통해 지구인으로서의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우주 전체를 볼 수 있는 지성체로의 도약을 항상 기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철저한 실증주의자였다. 그는 물리학 법칙을 토의하는 자리에서 비행접시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밝힌 바 있다.
비행접시와 관련, “미확인 비행체가 발견되고 있지만, 비행접시가 존재하는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사람의 과도한 상상력, 혹은 상상에 대한 정교하고 지나친 집착이 만들어낸 가상물체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
파인만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그 어떤 것도 진실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어떤 친구가 새로운 것을 생각해내었다 할지라도 대부분 오류로 판명되고 있다.”며, 물리학의 기본 원칙을 넘어설 수 있는 입증되지 않은 상상력을 극히 경계하고 있었다.
그는 자연이 아직 알지 못하는 정교한 질서에 의해 움직이고 있으며, 이를 밝혀내는 것이 과학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런 과학적 진리가 일부 권위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결정되는데 대해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특히 과학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는 철학적 성향에 의해 과학적 사실들이 무시당하는데 대해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1959년 12월 미국 물리학회에서 ‘바닥에는 여지가 많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라는 제목으로 강연한 바 있다.
파인만은 이 자리에서 분자의 세계가 특정 임무를 수행하는 아주 작은 구조물을 세울 수 있는 건물 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분자 크기의 기계 개발을 제안했다. 그리고 22년 후인 고성능 원자현미경(STM)이 발명되면서부터 나노기술이 새로운 과학으로 자리잡았다.
세계가 파인만을 주목하고 있는 것은 이처럼 미래를 내다보는 통찰력이 그의 행적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파인만 탄생 100주년을 맞아 국내에서도 다양한 행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올 한 해는 파인만의 해가 될 전망이다.
(944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패턴의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봉훈 교수,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증 기술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수십억 개 나노 패턴을 저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거미가 사람처럼 한밤중에 이른바 '렘수면' 상태의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돼 서구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9일 AP 통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독일 콘스탄츠대에서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다니엘라 뢰슬러는 한밤중 줄에 매달린 작은 깡충거미의 행동을 카메라로 살펴본 결과 마치 렘수면 상태에 빠진 것처럼 다리를 씰룩거리고 눈을 깜빡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연말을 목표로 하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10일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항천공정 판공실은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두 번째 실험실 모듈 '멍톈'(夢天)을 최근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각종 테스트 작업 등을 거친 뒤 오는 10월 발사해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하면 'T'자형 우주정거장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30년 전인 1992년 8월 11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1호'가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는 소식을 알리며 이렇게 말했다. 질량 48.6㎏의 아주 작은 위성인데다가 제작도 해외 대학(영국 서리대)과 함께 했지만, 우리별 1호의 개발과 발사는 우주과학기술 불모지였던 한국이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한국은 우리별 1호가 우주로 올라가면서 세계에서 22번째로 국적 위성을 보유한 국가가 됐고,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위성개발 능력을 확보해 오늘날 자력으로 위성을 제작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고분자 시뮬레이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재업 교수 연구팀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던 계산을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는 'AI 고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공개했다. 옷감이나 플라스틱 등 우리 일상에는 고분자로 만든 재료가 많고, 특히 나노 기술은 고분자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