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을 날아다니는 파리가 음식물이나 과일에 앉아있으면 대충 쫓아버린 뒤 씻는 둥 마는 둥 하고 별 생각 없이 먹거나 파는 수가 많다. 그러나 파리는 생각보다 질병을 옮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제 협동 연구팀이 세계 3개 대륙에서 채집한 116종의 검정파리와 집파리에 붙어있는 미생물군을 분석한 결과 파리들이 어떤 경우에는 인간에게 해로운 수백가지 다른 종의 세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레포츠’(Scientific Reports) 24일자에 보고됐다.
과학자들은 파리가 인간과 가까이에서 살기 때문에 질병을 옮기고 퍼뜨린다고 오랫동안 의심해 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에벌리 과학대가 주도한 이 연구는 실제로 그에 대한 더 많은 증거와 함께 위협의 범위에 대한 통찰도 함께 제시했다.
이 대학 바이오테크놀러지 및 생화학 · 분자생물학과 도널드 브라이언트(Donald Bryant)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공중보건 관리자들이 간과한 병원체 전염 메커니즘을 드러내 주는 한편 전염병 발발 상황에서 파리가 병원체의 급속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파리 몸체에 붙어있는 박테리아 세포와 입자들을 조사했다. 사진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검정 파리의 머리 부분. CREDIT: Ana Junqueira and Stephan Schuster
파리 다리가 세균 주 매개 역할
펜실베이니아대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교수로 재직하다 현재 싱가포르 난양 과학기술대 교수로 있는 스티븐 셔스터(Stephan Schuster) 교수에 따르면,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다리와 날개를 포함해 각개 파리의 몸체 부위에 있는 미생물군의 구성 내용을 조사할 수 있었다. 셔스터 교수는 몸체 부위 가운데 다리들이 미생물 유기체들을 한 물체의 표면에서 다른 물체 표면으로 옮기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셔스터 교수는 “다리와 날개는 파리 몸체에서 가장 높은 미생물군 다양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박테리아가 파리를 공중화물기로 활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연구 결과를 보면 파리가 날아가 앉은 새로운 물체 표면이 박테리아 성장에 도움을 준다면, 파리가 남기는 수백개의 흔적들은 수많은 미생물 군락을 남기게 된다”고 설명했다.
썩은 고기를 찾아다니는 검정파리와 집파리는 새끼인 구더기 양육을 위해 배설물과 부패한 유기체를 활용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물질에 자주 노출된다. 파리는 이로 인해 배설물과 부패한 유기체로부터 인간과 동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들을 묻혀서 나르게 되는 것.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도 지녀
이번 연구에서는 검정파리와 집파리가 이들 새끼인 구더기가 자라는 숙주 관련 미생물 및 서식환경에서 얻는 미생물 혼합체를 50% 이상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놀랍게도 시골 외양간에서 채집한 파리가 도시환경에서 채집한 파리보다 병원체를 적게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브라질에서 수집한 파리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을 가지고 있는 사례를 15건 이상 발견했다. 이 균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사람의 위장 등에서 많이 발견되는 세균으로 궤양을 일으키고 암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기도 하다. 셔스터 교수는 파리가 지금까지 이 균을 옮기는 매개체로 전혀 간주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결국 더 많은 사람들이 있을 때 파리가 질병을 옮길 수 있는 가능성은 그만큼 더 높아질 수 있다.
브라이언트 교수는 “앞으로 소풍 가서 파리가 접근할 수 있도록 꺼내 놓은 음식을 먹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라며, “도심 공원 같은 도시 환경이 아닌 숲에서 소풍을 즐기는 것이 더 낫다”고 조언했다.
파리 몸체에 돋아 있는 수많은 털이 세균을 묻혀 이리저리 옮기게 된다. 사진은 흔히 볼 수 있는 집파리. CREDIT: Ana Junqueira and Stephan Schuster
곤충 매개체의 미생물 DNA 구성을 밝힌 첫 사례
이전 싱가폴 환경 생명과학 공학 센터(SCELSE) 박사후 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현재 브리질 리우 데 자네이루 연방대 유전학 및 유전체학 교수인 아나 카롤리나 준케이라(Ana Carolina Junqueira) 박사는 이번 연구는 새로운 유전체 및 전산학 방법들을 사용해 파리가 가지고 있는 미생물 군집을 전례 없이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준케이라 교수는 “이번 연구는 편향성이 없는 방법을 사용해 곤충 매개체의 전체 미생물 DNA 구성내용을 기술한 첫 사례”라며, “검정 파리와 집파리는 전세계에서 기계적으로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임에도 이들의 전반적인 미생물 전파 능력에 대해 현대 분자 기술과 깊이 있는 DNA 시퀀싱기술을 이용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한번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파리가 모든 점에서 해로운 것만은 아니다. 연구팀은 파리를 인간 사회를 위한 도우미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면 질병의 조기경보시스템 역할을 할 수 있는 ‘살아있는 드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
셔스터 교수는 “한 예로 파리가 아니면 표본을 수집하기가 어려운 환경의 미생물 구성 내용을 파리를 이용해 확보할 수 있다”며, “실제로 파리를 자율적인 생체공학 드론으로 삼아 매우 작은 공간이나 틈새로 들어가도록 풀어놓고 이들을 다시 포획해 파리가 가져온 생체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472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