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학)도감] 급성 통증에는 쿨파스를, 만성 통증 및 국소 진통에는 핫파스를
파스는 삠, 타박상, 근육통, 관절통, 골절통, 요통, 어깨결림, 신경통 등에 쓰이는 소염·진통제다. 방법에 따라 피부에 붙이는 경고제, 피부에 뿌리는 에어로솔제, 피부에 직접 바르는 액제 총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피부에 사용하는 외용제로,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에 다양한 방법으로 처치함으로써 그 부위의 고통을 경감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쿨?, 핫? 어떤 파스를 사용해야 할까?
우리는 다양한 증상에 따라 파스를 사용하곤 한다. 이때, 쿨파스를 사용하느냐, 핫파스를 사용하느냐에는 차이가 있다. 먼저 쿨파스는 ‘멘톨’이나 ‘캄파’ 성분이 함유돼 피부를 냉각시켜 통증을 완화하고, 핫파스는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성분이 함유돼 통증 부위를 따뜻하게 해주고 혈액순환을 도와준다. 두 종류 모두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나, 지속적인 사용은 지양한다.
쿨파스는 급성 통증인 갑작스러운 타박상, 삐끗한 관절 등 고통이 심할 때의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 멘톨 성분은 페퍼민트 또는 기타 민트 오일에서 분리할 수 있는 알코올로, 냉찜질할 수 있어 진통 작용이 효과적이다. 또한, 쿨링 효과로 관절이나 통증 부위의 열을 식혀 혈관을 수축하기에 지혈을 도와주기도 한다. 특히 심하지 않은 타박상이나 멍들고 가벼운 염좌, 붓기가 있을 때 사용하면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핫파스는 만성 통증이나 국소 진통을 동반하는 가벼운 관절염이나 신경통에 도움이 된다. 핫파스를 구성하는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성분은 온기를 발생시켜 혈관을 확장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끔 해 진통 효과가 높다. 하지만, 부기가 심하고 관절에 염증이 있는 경우 증상을 악화할 수 있다. 또한, 타박상 초기에 핫파스 사용 시 손상 부위의 모세혈관이 확장돼 부종과 출혈을 일으킬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파스는 일시적인 통증을 잡을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증상에 맞게 의료진과 상의 후 파스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파스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손상된 피부나 피부질환 부위에는 부치지 말 것, 동일한 부위에 반복해서 사용하지 말 것, 눈이나 코 등의 점막에 닿지 않게 할 것, 파스 제거 시 피부가 손상되지 않게 주의할 것 등이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파스의 성분, 효과, 제형에 따라 알맞게 사용해야
– 제품(성분)
파스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제제, 살리실산 함유 제제, 한방 섬유 함유 제제’ 총 3가지 성분으로 구분된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염증, 발열, 통증 감각을 매개하는 화학전달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이 생성되는 데 필요한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저해해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이 억제되며 염증과 통증을 가라앉힌다. 제품으로는 트라스트패취(피록시캄), 케토톱 플라스타 및 케펜텍 플라스타(케토프로펜), 페노크린 첩부제(플루르비프로펜), 레녹스 카타플라스마(록소프로펜), 신신 디펜쿨 플라스타(디클로페낙), 류파프 카타플라스마(펠비낙), 인타신 첩부제(인도메타신)가 있다.
살리실산은 피부 3~4mm 깊이로 흡수돼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자극 효과가 있어 반대자극제의 역할을 한다. 반대자극제는 아픈 부위를 자극해 통증으로 인한 아픔을 줄여주는 것을 말한다. 제품으로는 살리실산과 그 외의 성분이 함유된 아렉스, 제놀쿨 카타플라스마, 미니온 플라스타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방 성분으로는 치자와 황백이 가장 중요 성분으로 꼽힌다.
모두 혈열을 완화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나 만성적인 통증에 효과가 좋다. 제품으로는 황백과 치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의고 카타플라스마와 위령선, 목별자, 피마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맨담네오한방첩부제가 있다.
(150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12일 국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협력단이 발표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 포착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도 참여해온 EHT 프로젝트를 통해 거둔 획기적인 성과다. 블랙홀이라고 하면 대부분 영어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해 '검은 구멍'을 떠올리지만 블랙홀은 빛조차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으로 파괴되는 병이다. 이렇게 베타세포가 손상되면 인슐린 부족으로 혈당치가 급격히 치솟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1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아프리카나 중동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북위 37.7도인 우리나라 파주시에도 사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경기 파주시에서 관찰되기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
북한은 평양 강동군 구석기 동굴에서 2만여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연구팀은 최근 강동군 임경노동자구 구석기 동굴을 탐사하던 중 2층 문화층에서 인류 화석 7점, 짐승 뼈 화석 9종에 300여점, 포분화석 274개를 발굴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들과 학부생들이 질병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1일 서울대는 의과대학 한범·정기훈 교수팀이 세포 분류를 선행하지 않고 신약개발 타깃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마르코폴로'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한 OLED 비파괴 검사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OLED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결함을 확인하고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