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완의 새로운 과학] 김제완의 새로운 과학(12)
별도 사람처럼 태어나고 또 나이가 들면 죽게 됩니다. 인생은 100세 정도이지만 별의 생애는 아주 짧으면 몇 백만 년 그러나 보통은 몇 십억 년 정도는 됩니다.
우주 탄생 후 약 200만년에서 1억년 사이에 태어난 태초의 별들은 짧게는 백 만년 길어야 천만년 정도 밖에 못살았으며, 그 크기는 태양의 200만 배도 넘는 말 그대로 눈부시게 찬란한 태초의 별들이었습니다.
우주탄생 후 138억년이 지난 지금의 별들은 훨씬 더 긴 생명을 누리고 있습니다. 별들이 죽을 때 그 모습은 대충 네 종류로 분류됩니다.첫째, 태양이 죽으면 백색왜성(White Dwarf)이란 작고 밝은 별이 됩니다. 백색왜성이란 원자와 원가가 서로 닿는 정도로 압축된 별입니다. 그 큰 태양이 죽으면 지구 정도 크기의 백색왜성이 되지만 꽤 밝아서 몇 광년 떨어져 있는 백색왜성인 시리우스처럼 육안으로 보일 정도입니다.
둘째, 태양 정도의 별이 죽어서 백색왜성이 되었다가 그 가까운 주위에 별이 있을 때 이들로부터 질량을 끌어당겨 태양의 무게의 1.44배 정도가 되었을 때 원자와 원자가 닿아서 전자들의 압력으로 버티던 백색왜성이 붕괴하여 원자핵이 서로 닿을 정도로 압축된 중성자별이 되면서 죽어가는 Type Ⅰa 초신성(Supernova)의 경우입니다.
셋째, 무거운 별이 그 외각의 질량을 날려버리다가 초신성이 되는 Type Ⅰb/Ⅰc 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 두 경우를 통틀어서 Type Ⅰ 초신성이라고도 합니다.
마지막 넷째로는 태양보다 10배 또는 그 이상 무거운 덩치가 큰 별이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그대로 무너져서 죽어가는 경우입니다. 이를 Type Ⅱ 초신성이라고도 합니다. 소립자 물리를 전공한 제가 이런 초신성과 인연을 갖게 된 것은 1987년 2월 23일에 터진 초신성“SN 1987 A”에 대해서 논문을 쓸 기회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해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스”는 2월 마지막 주간지를 “400년만의 크리스마스”라는 제목으로 “SN 1987 A”가 터지는 장면을 표지로 내세웠습니다.
당시 저는 존스홉킨스 대학교에 객원 교수로 방문하고 있었는데 그 유명한 “허블”의 조수를 경험한“앨런 샌디지(Alan Sandage)가 같은 물리천문학과에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SN 1987 A”에서 방출된 “중성미자”라는 소립자와 “마조론”이란 미지의 소립자와의 결합상수에 대한 논문을 쓰는 기회가 있어서 초신성과 인연을 맺게 된 것입니다.
워낙 초신성에 대한 지식이 빈약했기 때문에 도서관에 가서 문헌을 찾는 중에 “역사적인 초신성(Historical Supernova)”라는 단행본이 눈에 띄어 그 책 속에서 처음으로 “1604 초신성 (1604 Supernova)”을 접하게 된 것이고, 그 광도 곡선(light curve)은 [그림 3]과 같습니다.이 광도 곡선은 서양의 그 유명한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가 관측한 재료와 우리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중국인 학자가 인용한 것이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선조)에 나오는 기록은 서운관(조선조의 천문관측기관)의 일관(日官)들이 기록한 것입니다.
케플러만의 기록 [그림 4]로 분리하면, 두 가지 사실이 들어납니다. 왕조실록만의 기록으로도 1604년 초신성은 Type Ⅰ 인 것이 명백하지만 케플러의 기록만으로써는 Type Ⅰ인지 Type Ⅱ 인지 구별할 만큼 충분한 기록이 못됩니다. 왕조실록의 기록이 과학적으로 결적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다시 강조합니다.
(456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