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미래를 넘나드는 시간 여행은 공상과학소설(SF)이나 영화의 단골 소재다.
시간을 여행하고 싶은 인류의 꿈이 H. G. 웰즈의 소설 ‘타임머신’, 영화 ‘백 투더 퓨처’와 같은 다양한 이야기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런데 인류는 이처럼 불가능한 꿈을 언제부터 지니고 있었을까?
미국 조지아텍에서 SF를 연구해오던 리바 야스젝(Lisa Yaszek) 교수는 3일 ‘라이브 사이언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고대 인도에서 이미 2400년 전에 과거와 미래를 넘나드는 시간 여행에 대한 기록을 남겨놓았다고 전했다.
2400년 전 인도 서사시에서 시간 여행 기록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된 ‘마하바라타(Mahābhārata)’는 친척이었던 카우라바 집안과 판다바 집안 사이에 벌어진 권력 쟁탈전을 통해 많은 전설과 교훈적인 내용을 전해주고 있다.
다양한 기록 가운데 카쿠드미(Kajudmi) 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는 그의 아름답고 뛰어난 딸 레바티(Revati)의 신랑으로 어떤 남자를 선택해야 할지 물어보기 위해 힌두교 최고의 신 브라마(Brahma)를 찾아간다.
딸과 함께 브라마를 만났을 때 그 신은 노래를 듣고 있었다. 두 사람은 브라마가 노래를 다 들을 때까지 20분을 기다려야 했다.
그리고 브라마 신이 두 사람을 만났을 때 놀라운 이야기를 전해준다. 신들이 살고 있는 하늘(heaven)의 시간과 인간이 살고 있는 땅(earth)의 시간이 매우 다르다는 것. 신의 세계에서 20분의 시간은 인간 세상에서 1억 1600만 년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브라마 신의 설명은 오랜 시간이 지나 두 사람을 알고 있었던 사람들은 물론 딸 레바티를 연모했던 남자들도 모두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야기를 들은 두 사람은 절망에 빠지게 된다.
어쩔 수 없이 두 사람은 신의 세계에 정착한다. 그리고 상황이 역전된다. 갈 곳이 없어진 딸 레바티는 또 다른 신인 발라라마(Balarama)와 결혼해 행복하게 산다는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이야기다.
야스젝 교수는 이 이야기 속에 과학이 들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교수가 말하는 과학이란 상대성원리에 의한 ‘시간 지연(time dilation)’을 말한다.
‘시간 팽창’이라고도 번역되는 이 시간의 원리는 두 사건 사이의 시간 간격이 관찰자의 운동 그리고 받는 중력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현상을 말한다. 관찰자의 운동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특수상대론적 현상이고, 중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일반상대론적 현상이다.
SF에서 보면 우주여행을 하고 온 사람이 지구에 있던 사람보다 나이를 덜먹는 일이 벌어지는데 물론 광속에 가까운 속도를 내기 힘들기 때문에 실현이 어려운 일이지만 빛의 세계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검증을 마친 상태다.
21세기 SF에서 시간 여행은 중요한 소재
야스젝 교수는 서사시 ‘마하바라타’ 이후에도 유사한 시간 여행 이야기들이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원전 1세기부터 중동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기적을 행하는 유대인(Jewish miracle worker)’이 있다. 이 사람이 다년생 상록수인 카로브 나무(carob tree) 아래서 잠을 잤는데 깨어났을 때는 70년이 지난 후였다.
기원후 8세기 일본에서는 우라시마 타로(Urashima Tarō)란 이름의 어부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해저 왕궁을 방문하게 돼 그곳에서 한 공주와 사랑에 빠지는데 그가 현실을 깨닫고 다시 물 위로 올라왔을 때는 이미 100년이 지난 후였다.
1700~1800년대에는 잠을 통해 시간 여행을 하는 이야기들이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시대였다. 미국의 소설가 워싱턴 어빙이 1819년 발표한 ‘립 반 윙클(Rip Van Winkle)’이 대표적인 사례다.
립 반 윙클이 숲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 낯선 사람들과 술을 나눠 마시고 잠이 들었는데, 잠을 깬 후 집에 돌아왔더니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했고 아내는 이미 죽었으며 자식들은 어른이 되어 있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공상과학 소설은 1895년 H. G. 웰즈의 ‘타임머신’이다. 소설에서는 시간의 영역을 늘리고 줄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 등장한다.
야스젝 교수는 “꿈이나 충격이 아니라 실제로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최초의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전에 볼 수 있는 파격적인 내용이 담겨 있는 만큼 이후의 시간 여행 SF물은 웰즈의 이야기를 따라가고 있다.
지금도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BBC의 TV 드라마 ‘닥터 후(Doctor Who)’ 역시 웰즈 스타일의 시간여행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야스젝 교수는 “최근 시간 여행은 소설은 물론 희극 영화 ‘엑설런트 어드벤쳐 (Bill and Ted’s Excellent Adventure Trailer)’, 닌텐도의 게임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에 이르기까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소재가 됐다.”고 말했다.
이처럼 다양한 곳에서 시간 여행을 소재를 활용하고 있는데 대해 야스젝 교수는 “현실에서 벗어나 보다 더 유연성 있고 독특한 세계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21세기를 맞아 각종 SF성 창작물에 시간 여행이 더 중요한 소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90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 소모량과 맞먹고,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학습 서버 한 대의 전력소모량이 알파고의 10배를 넘는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초저전력·고성능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인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소자) 기술 혁명이 필요한 이유다.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드론은 저렴한 가격과 기동성으로 소방·정찰·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운용 주체·의도를 숨길 수 있어 군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 테러리스트들도 쓰는 도구가 되고 있다.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국가 중요 시설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안티드론 기술 평가장이 되고 있다.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인 침팬지도 10대 때는 사춘기 청소년처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보이지만 인내심은 오히려 10대 청소년보다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 미시간대 알렉산드라 로사티 교수팀이 콩고공화국 보호구역에서 태어난 야생 침팬지 40마리를 대상으로 충동성과 위험 감수 경향, 인내심 등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경고가 뜨고 가스 밸브가 자동으로 잠긴다면 훨씬 안전할 수 있다. 기상청은 '지능형 사물인터넷'(사물지능융합기술·AIoT) 기술을 활용한 지진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차세대 지진재난문자 서비스 연동방안 연구'를 올해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