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동물이 사람에게 영감을 준다고 말했다.
실제로 많은 과학자들이 동물의 모습을 모방해 기계나 기구를 제작해왔다. 그리고 지금 꿀벌의 날개를 모방해 비행이 가능한 초소형 날개를 제작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26일 ‘하버드 공대(Harvard John A. Paulson Schoo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연구팀은 종이 클립의 절반에 불과하면서 장기간 비행이 가능한 초소형 비행체를 완성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네이처’ 지에 발표했다.
하버드 공대에서 개발한 ‘엑스-윙 스타파이터’. 259mg의 무게로 장거리 비행에 성공해 향후 초소형 로못비행체 개발의 초석을 놓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seas.harvard.edu
스타워즈 ‘엑스-윙 스타파이터’ 참조
논문에 따르면 이 로봇은 2013년 하버드대 로버트 우드(Robert Wood) 교수팀이 개발한 무게 로봇을 업그레이드 한 것이다.
우드 교수팀이 선보인 파리 모습의 로봇은 무게 80mg으로 초당 120회의 날갯짓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로봇에 탑재할 초소형 배터리가 없어 몸체에 전선을 연결해 전기를 공급했다. 그 결과 비행 거리가 약 10cm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번에 선보인 로봇의 무게는 259mg, 각 날개의 길이는 3.5cm에 달한다. 이전보다 몸체가 커졌지만 태양전지를 부착하고 있으며, 2개의 기본 날개 외에 2개의 보조 날개가 달려 있어 기류 상의 방해가 없는 한 무한정 장거리 비행이 가능하다.
기능을 첨가하면서 명칭도 과거 ‘로보비(RoboBee)’에서 ‘로보비 엑스-윙(RoboBee X-Wing)’으로 개명했다.
연구를 이끈 노아 자페리스(Noah T. Jafferis) 박사는 “이전의 로보비의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장착한 초소형 태양전지의 무게는 10mg에 불과하며, 밝은 태양 아래서 120mw(milliwatt)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태양전지가 지속적으로 가동하기 위해 매우 밝은 할로겐 라이트로 태양빛을 대체하고 있는 중이다.
보조 날개에 대한 아이디어는 영화 ‘스타 워즈(Star Wars)’에 나오는 ‘엑스-윙 스타파이터(X-Wing starfighter)’를 모방했다. 기존 로보비에 엑스-윙(X-Wing)을 추가한 것은 ’엑스-윙 스타파이터‘를 모방한 것이다.
로보비를 선보인 우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수십 년 동안의 노력으로 오랜 비행이 가능한 초소형 비행체를 완성할 수 있었다.”며,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더 작으면서 더 강력하고 지속적인 비행 능력을 지닌 초소형 비행체를 개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논문은 26일자 ‘네이처’ 지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Untethered flight of an insect-sized flapping-wing microscale aerial vehicle’이다.
“초소형 비행체 개발 분기점 넘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공기보다 무거운 비행체는 많은 에너지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운 데다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고 말했다.
더구나 5cm 이하 곤충 크기의 초소형 비행체인 경우 상업적으로 배터리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데다 배터리를 제작하기 위해 정교한 기술이 요구돼 에너지 공급 문제를 해결하는 데 더 큰 곤란을 겪어왔다고 털어놓았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을 통해 실험을 진행해왔다고 밝혔다.
강화 알루미늄을 소재로 만든 압전기(alumina-reinforced piezoelectric actuators) 2대와 4개의 날개를 장착한 259mg의 비행체를 제작했다는 것. 이 로봇은 2개의 날개를 지닌 비행체와 비교해 30%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수차례의 실험을 통해 110~120mw의 전력으로 꿀벌 크기의 로봇이 비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초소형 로봇 개발은 1970년대 미국 정보기관에서 시작됐다.
당시에는 전쟁 포로 구출을 돕거나 전자 교란 업무를 맡기려고 했으나, 기술 부족으로 실제 제작할 수는 없었다. 이후 1980년대 후반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을 이용해 마이크로 로봇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1993년 엡손에서 만들어 판매한 초소형 자율 주행 로봇 ‘므슈’는 1㎤밖에 안 되는 몸에 98개의 부품을 담고 있었다.
비행 로봇 역시 꾸준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미국, 중국 간의 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돼왔는데 이번에 하버드대에서 장거리 실험에 성공하면서 개발 경쟁에 새 국면을 맞게 됐다.
(596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2024년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 프로젝트 탈퇴를 선언한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건설할 우주정거장의 실물 모형을 공개했다고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모스크바 외곽에서 열린 한 군사 산업 전시회에서 새로운 우주정거장 모형을 선보였다. 러시아 국영매체는 이 모형을 '로스'(Ross)라고 불렀다. 새로운 우주정거장은 2단계로 발사될 예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남극 앞바다의 기후 변화가 태평양 수온과 열대 지역 비구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했다. 16일 UNIST에 따르면 도시환경공학과 강사라 교수 연구팀은 기후 모델(Climate Mode) 실험으로 남극 앞바다의 냉각이 적도 태평양의 수온을 낮춘다는 내용을 입증했다. 특히 남극 앞바다의 온도와 열대강우(비구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밝혔다. 남극 앞바다가 차가워지면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고, 그 영향으로 열대강우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기온이 같아도 습도가 높으면 더 덥고 불쾌하게 느껴지는데, 상대습도를 반영해 산정하는 체감온도인 '열파 지수'(HI)가 최근 잦아진 극단적인 기온에서 실제 인체가 느끼는 온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국립기상청(NWS)을 비롯한 많은 나라가 열파 지수를 토대로 여름철 위험 경보를 발령하는데 인체가 느끼는 온도와 많게는 20℉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제시됐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기후학자 데이비드 롬프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NWS가 이용해온 기존 열파 지수의 한계를 보완한 연구 결과를 학술지 '환경연구 회보'(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발표했다.
음식물에 들어 있는 글루코스(포도당)는 우리 몸이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쓰인다. 암세포도 자기 복제를 하는 데 엄청난 양의 포도당이 필요하다. 종양이 성장하려면 암세포의 복제에 필요한 여러 가지 합성 작용이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암세포가 포도당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암세포가 흡수한 포도당에서 가능한 한 많은 에너지를 뽑아내지 않고 대부분 폐기물로 반출한다고 여겼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배중면·이강택 교수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이찬우 박사 공동 연구팀이 상용 디젤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개질(Reforming) 촉매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디젤은 수소 저장 밀도가 높고 운반·저장이 쉬워, 개질을 통한 수소 공급 장치를 트럭 보조전원장치 등 모바일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지속돼왔다. 연구팀은 촉매 입자 내부의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으로 올라오는 용출 현상을 통해 합금 나노입자를 형성해 촉매 성능을 향상하도록 촉매를 설계했다.
광도(밝기)가 급격히 떨어졌던 오리온자리의 가장 밝은 α별인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가 별의 표면인 광구(光球)의 일부가 대형 폭발로 날아가는 '표면질량분출'(SME)을 겪고 서서히 회복 중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베텔게우스의 SME는 태양의 바깥 대기에서 플라스마를 대량 방출하는 '코로나질량분출'(CME)의 약 4천억 배에 달하는 관측 사상 전례가 없는 것으로 제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 연구팀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체료제인 '로미타피드'가 항암 효과까지 있음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공지능에 기반한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을 이용해 이런 성과를 냈다. 기존 약물의 새로운 적응증을 찾는 약물 재창출은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지만, 모든 약물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어려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