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창업교육 현장] 세계 창업교육 현장 (29)
뱁슨 컬리지(Babson College)는 미국 매서추세츠 주 보스톤 인근에 소재한 사립대학이다. 미국에서 저명한 명문 대학 중의 하나다.
이 학교가 강조하고 있는 것이 창업 교육이다. 지난 2012년 유에스 월드 & 리포트 지가, MBA 부문 최고의 우수대학으로 선정할 정도로 차별화된 창업 교육을 선보이고 있다. 교육 대상도 다양하다. 컬리지 학생들 외에 교원 대상의 창업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에 따르면 뱁슨 칼리지의 창업 교육은 크게 4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구체적으로 ▲Price-Babson ▲Module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Global Symposia ▲See Asia 등을 말한다.
뱁슨 칼리지 만의 독특한 창업교육 진행
‘프라이스 뱁슨(Price-Babson)’은 198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뱁슨 칼리지의 대표적인 창업 교육 프로그램이다. 지난 30년 간 3200명의 창업 교육자들, 750개의 교육관련 정부 기관에서 온 창업가들, 68개국에서 온 사람들이 이 프로그램을 수료했다.
매년 겨울과 봄에 강좌를 개설하고 있는데 참가비는 1인당 3150달러(한화 약 330만원)이다. 여기에는 숙식, 프로그램 자료, 이브닝 리셉션 등의 참가비용이 포함돼 있다. 등록은 선착순이며 60명의 인원 제한이 있다.
교육 참가자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ET&A(Entrepreneurial Thought and Action)’라고 불리는 뱁슨 칼리지만의 창업교육을 받으며, 관련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최신 이론과 접근법을 교육받으면서 동시에 교육받은 내용을 실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교육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이론‧학술적인 부분을 맡고 있는 사람과 실무 부문을 맡고 있는 사람이 반드시 팀을 이루어야 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다. 이론과 실습이 병행돼야 좋은 창업 교육을 할 수 있다는 뱁슨 칼리지의 교육 철학이기도 하다.
커리큘럼을 크게 ‘콘텐트 토픽스(Content Topics)’와 ‘프로세스 토픽스(Process Topics)’로 나누어 진다.
‘콘텐트 토픽스’에는 창업가적 생각과 실천(Entrepreneurial Thought and Action), 창업 정신의 교육 생태계(Entrepreneurship Education Ecosystems), 아이디어 생성(Idea Generation), 디자인 발상(Design Thinking) 등이 포함돼 있다.
‘프로세스 토픽스’에는 경험과 행동 기반 교육법(Experiential and Action Learning Pedagogies), 기업가적으로 가르치기(Teaching Entrepreneurial), 사레 기반 교육(Case Method Teaching), 교실 내 도전 관리(Managing Classroom Challengers), 커리큘럼과 코스 디자인(Curriculum and Course Design) 등으로 구성돼 있다.
세계인을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커리큘럼
‘씨 아시아(See Asia)’ 프로그램은 ‘프라이스 뱁슨’에서 파생돼 나온 프로그램이다. 아시아권 대학에서 기업가정신을 교육하고 있는 교수와 교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프라이스 뱁슨’과 마찬가지로 ‘ET&A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교육 역시 같은 장소인 ‘프라이스 뱁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컨퍼런스 센터에서 함께 진행한다. 그러나 교육 기간은 ‘프라이스 뱁슨’보다 두 배 이상 길고, 참가 비용 역시 9800달러(한화 약 1000만원)으로 늘어난다,
모든 강의를 영어로 하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고급 영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참가자들이 소속 기관으로부터 반드시 참가비와 여비를 지원받아야 한다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다.
뱁슨 대학에서는 창업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할 자격 요건을 갖춘 사람들을 추천하고, 선발한다. 참가자의 학문적 성취도, 교육 참가자의 다양성 등을 고려해 교육 현장에서 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인원을 선발한다.
커리큘럼 중 ‘콘텐트 토픽스’를 보면 ET&A 방식의 철학(The Philosophy of Entrepreneurial Thought and Action), 학술적 기업가 생태계의 구성 요소(Components of an academic entrepreneurial acosystem), 디자인 발상(Design Thinking) 등으로 구성돼 있다.
‘프로세스 토픽스’에는 경험과 행동 기반 교육법(Experiential and Action Learning Pedagogies), 기업가적으로 가르치기(Teaching Entrepreneurially), 기업가정신 교육 방법론(Teaching entrepreneurship as a method), 기업가적 사고방식 개발(Develping an entrepreneurial mindset among students) 등으로 구성돼 있다.
1999년 학부생을 대상으로 시작한 뱁슨 칼리지의 창업 교육은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 있는 우수 커리큘럼이다. 지금까지 수천 개의 벤처 기업을 창업할 정도로 높은 파급력을 지니고 있다. 창업을 하려면 뱁슨 대학으로 가라고 할 만큼 시류에 맞는 창업교육이 이어지고 있다.
(1593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빛 없이도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새로운 광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신형준 교수 연구팀은 기존 이산화 티타늄 광촉매 위에 탄소나노소재를 증착시킨 형태로 광촉매를 설계해 햇빛이 없을 때도 유기 오염물질 제거·살균 효과가 있는 광촉매를 개발했다. 광촉매가 물을 분해해 만드는 수산화 라디칼은 미세플라스틱, 폐염료 등 유기 오염물질 분해와 살균 효과가 있어 폐수 처리나 공기 정화 기수에 사용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5일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2차 발사일을 6월 15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기상 등에 따른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예비일을 내달 16∼23일로 설정했다. 정확한 발사시각은 발사 당일에 2차례 열릴 발사관리위원회에서 확정되며, 시간대는 지난 1차 발사(2021년 10월 21일 오후 5시)와 비슷하게 오후 3∼5시 사이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가장 입자가 작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에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무르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따르면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생체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 동안 장기별 이동 경로와 세포 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동시에 찾아낼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 번에 15∼20개 단백질 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피카소(PICASSO) 기술은 동시 탐지 기술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 마커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빨리 탐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