찻잎에서 추출한 나노입자가 폐암세포를 80%까지 파괴하며 폐암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스완지대와 인도 연구팀은 양자점(quantum dots)이라 불리는 나노입자의 새로운 생산 방법을 시험하면서 이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이 입자들은 10나노미터 이하의 작은 입자로, 인체 머리카락은 직경이 4만 나노미터 정도 된다.
나노입자는 이미 의료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양자점은 최근 들어서야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분야 연구자들은 컴퓨터 및 태양전지로부터 종양 영상제작과 암 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점의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상치 못한 성공”
양자점은 화학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독성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완지 주도 연구팀은 이런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독성이 없는 식물 기반의 양자점 대체 생산방법을 모색해 오다 이번에 찻입 추출물을 활용하게 됐다.
찻잎은 폴리페놀과 아미노산, 비타민 및 산화방지제를 비롯한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팀은 찻잎 추출물을 황산카드뮴(CdSO4) 및 황화나트륨(Na2S)과 섞어 혼합 용액을 만들고 이 용액에서 양자점이 형성되도록 인큐베이팅 과정을 거쳤다. 그런 다음, 만들어진 양자점을 폐암 세포에 적용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했다.
나노과학 전문지 ‘응용 나노 재료’(Applied Nano Materials) 지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스완지대와 인도 두 대학 연구팀의 합동연구로 이루어졌다.
“’양자점 공장’ 만들고 싶어”
이번 연구를 이끈 스완지대의 수다가르 피차이무투(Sudhagar Pitchaimuthu) 박사는 “우리 연구는 찻잎이 화학물질로 양자점을 만드는데 대한 비독성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이전의 증거를 확인해 주었다”며, “그런데 놀랍게도 우리의 기대를 넘어 양자점들이 폐암 세포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억제했다”고 밝혔다.
피차이무투 박사에 따르면, 찻잎 추출물 유래 황산카드뮴 양자점은 기존의 황산카드뮴 나노입자들에 비해 암세포의 생체영상에서 뛰어난 형광방출 현상을 나타냈다. 그는 “이런 점에 비추어 이 양자점은 새로운 암 치료법을 개발할 때 매우 유망한 방법으로 꼽힐 수 있으며, 다른 응용분야, 예를 들면 극장이나 선크림 등에 사용되는 항균 페인트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을 바탕으로 협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다음 단계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이다. 암세포 이미징에서 찻잎 추출물의 역할 그리고 양자점과 암세포 간의 인터페이스 조사 등이 그것이다.
피차이무투 박사는 “양자점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모두 탐색해 볼 수 있는 ‘양자점 공장’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866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