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는 생전에 인류의 행동이 지구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경고를 해왔다. 그는 “인류가 지금처럼 지구를 다룬다면 지구는 재앙을 맞을 것이다. 인류가 생존하려면 앞으로 100년 안에 우주로 이주해야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인류는 지구를 후손들이 살아갈 수 있는 생의 터전으로 만들어야 한다. 지구를 지속가능하게 하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국립생태원의 초대 원장이자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인 최재천 교수는 지난 23일 서울 강남구 양재동 K호텔 서울에서 열린 세계과학한림원서울포럼에서 지속가능한 지구를 유지할 방법을 제시했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을 주제로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가 23일 서울 강남구 K호텔에서 열린 ‘세계과학한림원서울포럼 2018’에서 강연하고 있다. ⓒ 김은영/ ScienceTimes
아낌없이 주던 자연 사라지고 있어, 인류가 변화해야
과거 자연은 인류에게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같았다. 하지만 이제 자연에게 이런 여력이 남아있지 않다. 과실을 내어주고 통나무를 내어주고 이제는 밑동만 동그라니 남은 늙은 나무와 같다.
최재천 교수는 자연을 인간에게 모든 것을 내어주던 ‘아낌없는 나무(셸 실버스타인 원작)’라고 비유했다. 그는 “21세기 들어 지구의 생태계는 점점 더 황폐지고 있다”며 “이제 자연은 아낌없이 줄 수 없다. 줄 수 있는 능력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인류가 자연을 도와줘야한다”며 “인류가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 생존을 위해서라도 인류는 더 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인류가 살아갈 지구를 위해서는 인류가 일대의 ‘전환’을 만들어야한다고 방법을 제시했다.
최재천 교수는 인간이 인간중심의 사고를 벗어나 세상의 생명체를 사랑하고 존중할 때 지구도 지속가능한 환경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김은영/ ScienceTimes
그가 말하는 ‘전환’이란 ‘생태적 전환(Eco logical Turn)’을 뜻한다. UN이 지정해서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하고 있는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와도 일맥상통한다.
그는 생태적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인류의 존재 자체가 없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 교수는 특히 인간이 자연에 새로운 ‘신종’을 만드는 작업에 대해 경계했다.
그는 GMO 등 유전자 조작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인류의 식생활 개선을 위해 만들어낸 유전자재조합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은 아직도 국제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 교수에 따르면 자연 생태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식품을 만들어내면서 식품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슈퍼 잡초와 생물 다양성을 파괴한다는 연구결과까지 나와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 교수는 “자연생태계에서 만들어진 생명이 아닌, 인간이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신종’은 자연 생태계에 어떻게 작용할지 모른다”며 이런 것들을 개발하는데 있어 신중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생물다양성’ 보호는 관심과 사랑에서부터 시작
최 교수가 강조하는 ‘생태적 전환’이라는 의미 안에는 ‘생물의 다양성을 보호해야한다’는 인류의 당면 과제가 숨어있다. 그는 “생태적 전환을 위해 인류가 노력함으로서 생물다양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생물 다양성이란 ‘생물학적인 다양성(Biological Diversity)’을 뜻한다. 생물 다양성에는 생태계 다양성, 종 다양성, 유전자 다양성이 모두 포함된다.
UN(국제연합)은 5월 22일을 ‘세계 생물 다양성의 날’로 지정해 매년 미래 세대를 위해 생물 다양성을 지키고 인간의 책임을 성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https://www.cbd.int/2011-2020/
지구에는 각각 기후에 맞는 독특하고 다양한 생태계가 존재한다. 하나의 생태계에도 다양한 종이 공존하며, 하나의 종이라도 그 속에는 다양한 대립 유전자가 있어 개체마다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최 교수는 현재의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협하는 요소를 두 가지 꼽았다. 하나는 ‘기후변화’, 또 다른 하나는 ‘생물다양성의 상실’이었다.
기후변화는 대부분의 경우 대중들에게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이미 사람들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생물 다양성 상실은 오랫동안 문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에 대한 위험성을 쉽게 인지하지 못했다. 생물 다양성이 파괴되는 것은 쉽게 목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우리는 이제 기후변화와 마찬가지로 우리 주변의 동물과 식물이 멸종하는 현상에 대해서도 심각성을 깨달아야 할 시점이 왔다”고 강조했다.
생물 다양성을 확보 및 보호하는 일은 지구 생태계를 지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지구는 인류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이 살아가는 터전을 ‘개발’이라는 명목 하에 서서히 ‘파괴’시키고 있다.
인류의 삶은 앞으로 스티븐 호킹 박사의 말처럼 100년 안에 끝이 날 수도 있다. 인류가 ‘제6의 멸종’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면 지구의 다른 생명체들에게는 호재가 된다. 그만큼 지구에 가장 해를 끼치는 생명체가 인류라는 뜻이다.
최 교수는 인류가 동식물과 ‘공생의 지혜’를 배우지 못한다면 인류의 종말은 더욱 빨리 다가올 것이라고 꼬집었다. ‘공생의 지혜’를 배운다는 것은 세상의 모든 생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는 뜻이다.
최 교수는 “일단 사랑하게 되면 그를 해치는 일이란 생각조차 할 수 없다”고 말하며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란 플라스틱 쓰레기나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등 우리의 삶이 조금 더 불편해지는 것에서 부터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달라”고 호소하며 강연을 마쳤다.
(560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