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경제 보고서 비와 눈의 형태로 땅 위에 떨어진 물 가운데 강이나, 바다, 또는 땅 속으로 스며드는 물의 양은 약 40% 정도에 불과하다. 나머지 60%는 다시 증발해 자신의 고향인 대기 속으로 되돌아간다.
지구상에 남아 있는 물 가운데 약 70%는 농업용수로 사용된다. 약 20%는 산업용수로 사용되고 나머지 10%가 일반 소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지금 이 물순환 시스템이 사고를 일으키고 있다.
지구상에서 10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맑은 물을 마시지 못해 고통을 겪고 있다. 26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물 부족으로 인해 공중위생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일부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 등에서 매년 1천400만 명에 달하는 어린이들이 맑은 물을 먹지 못하고, 씻지 못하는 환경 속에서 죽음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저소득층일수록 더 심각한 물 부족 사태
그러나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 191개 국가가 합의한 UN의 사업, ‘새천년 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는 자금 문제로 인해 목표 자체가 실종위기에 직면한 상태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 ‘녹색경제를 향하여: 지속가능한 발전과 빈곤퇴치를 위한 경로(Towards a Green Economy: Pathways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overty Eradication)’에서 분석한 지금의 현실이다.
UNEP는 이 상황을 방치할 경우 심각한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번 돈을 물 구입에 지출하거나, 여인과 어린아이들을 동원해 먼 곳으로부터 물을 길어 와야하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UNEP에 따르면 특히 가난한 사람들이 더 큰 고통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물 부족은 이들로부터 생업에 종사해야 할 시간을 빼앗고 이전보다 더 가난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 부족으로 인한 위생 문제도 크게 우려되는 부분이다. 불결함으로 인해 각종 질병이 번지면서 많은 국가들이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실제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3개국에서 공중위생 문제로 지출하고 있는 비용이 약 90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GDP(국내총생산)의 2%에 달하는 규모다.
UNEP는 이런 고통을 막기 위해 녹색경제 차원에서 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무엇보다 필요한 일은 지구상에서 더 많은 물을 확보하는 일이다. 비와 눈으로 땅 위에 떨어지는 물은 약 40%가 강과 바다, 지층 등으로 스며 들어가고, 나머지 60%는 대기 속으로 증발한다.
세계는 지금 40% 더 많은 물 요구
더 많은 물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지구상에 더 많은 습지를 확보해야 하고, 물을 보존하면서 농작물을 경작하는 방식의 관개농업 등을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 지역에서 많은 물을 확보할 경우 또 다른 지역에서의 물 빈곤 문제를 유발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 정부나 지역정부 차원의 협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금 가뭄으로 인해 많은 어린이들이 죽어가고 있는데, 이는 지구상에 적절한 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자바섬 북서쪽에 있는 서자카르타 시의 경우, 주민 가운데 37%가 심각한 물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가난한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 가난한 사람들이 물을 사다 쓰고 있다. 더구나 먼 곳으로부터 물을 실어오기 위해 매번 비싼 수송비를 부담해야 한다. 서자카르타 시의 시민들이 가난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문제는 이와 비슷한 일들이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지만 세계 각국은 여전히 물 문제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더 많은 물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세계 각국은 향후 20년 동안 지금보다 40% 증가한 물 공급량을 요구하고 있다.
UNEP는 댐 건설, 바닷물 담수화와 같은 종래 방식으로 늘어난 물 수요량의 40% 정도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나머지 60%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물과 관련된 사회기반 시설, 또는 수자원 정책의 큰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관리 시스템에 녹색경제 시스템 적용
최근 작성한 미래 시나리오를 보면 물과 관련된 생태계 투자가 적절히 이루어질 경우 오는 2015년에 가서 글로벌 차원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UNEP는 그렇게 될 경우 농업은 물론 바이오연료, 기타 산업 생산에 있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 부족을 해결한 가장 유명한 사례로 프놈펜 수도국(Phnom Phnh Water Supply Authority)이 꼽힌다. 1993년까지 수십 년에 걸친 내전으로 프놈펜의 물공급 시스템은 형편없었다. 그런데 2009년까지 물 생태계에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관리기법을 도입함으로써 최근 물 문제를 말끔히 해결하고 있다.
스톡홀름 국제물연구소(SIWI)는 물소비와 환경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물관리에 기여한 공로로 2010년 프놈펜 수도국에 스톡홀름 물 산업상(Stockholm Industry Water Award)을 수여했다.
UNEP는 지금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하면서도 민감한 과제는 저소득층의 가정들이 겪고 있는 물 부족난을 꼽았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 정부, 기업, 단체들이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39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고온형 세라믹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니켈(Ni)의 양을 20분의 1로 줄이면서 안정성은 5배 이상, 발전 성능은 1.5배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화재 위험이 없는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주목받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 장치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세포 미세 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물질을 개발해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손상 경로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려는 기업들이 솔루션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AI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에서 전기차 급속 충전 실증에 착수했다.
정부가 신산업진출 목적으로 사업재편을 승인받은 중소·중견기업 중 10여개사를 선정해 올해 총 10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광주시, 경기도, 부산시가 참여하는 인공지능(AI)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사업이 닻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