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에서 암석이 고온으로 가열돼 녹아 있는 것을 마그마(magma)라고 한다.
화산이 폭발할 때 시뻘겋게 빛나는 용암이 흘러내리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지구 내부에 엄청난 양의 마그마가 들어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나 지구 형성 초기에는 지금처럼 마그마가 지구 내부에 모여 있지 않았다. 당시 지구 전체가 액체 상태였으며, 지구 표면에는 1100℃ 이상의 용암이 바닷물처럼 부유하고 있었다는 것.
지구 생성 초기 ‘마그마의 바다’ 중심부에서 산소가 대량 유출되면서 지금의 지구핵, 맨틀, 대기권을 형성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구 초기 역사를 쓰는데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NASA
금속 철로부터 산소 대량 분출
과학자들은 약 45억 년 전 지구가 만들어질 당시 뜨거웠던 지구의 상태를 ‘마그마의 바다( magma oceans)’라 부른다.
고온에 무거운 물질은 안쪽으로 가라앉고, 가벼운 물질은 위로 떠오르면서 끊임없이 흘러 마치 바다와 같은 장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또한 그 바닷속에는 지금의 마그마보다 훨씬 더 많은 산소가 들어 있어 지금처럼 수많은 생물이 숨을 쉬며 생존할 수 있는 자연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판단이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구 생성의 역사를 새로 써나가고 있다.
4일 ‘사이언스 뉴스’에 따르면 연구를 진행한 곳은 독일 바이로이트대학 바이에른 지질학 연구소(Bayerisches Geoinstitut)다.
연구진은 논문을 통해 “현재 지구를 덮고 있는 맨틀(mantle) 속에서는 다양한 물질들의 산화와 환원이 이어지는 레독스(redox)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데 지구 생성 초기 ‘마그마의 바다’ 속에서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레독스란 산소와 결합하는 산화(oxidation)와 산소와 분리되는 환원(reduction), 두 단어를 합성한 말이다.
지금의 대기권이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맨틀(mantle) 속 마그마의 레독스 상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지구 생성 초기 ‘마그마의 바다’ 역시 마그마의 레독스 상태에 있었으며, 산소를 비롯한 다양한 가스를 대량 분출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산소의 대량 분출로 지금의 지구핵, 맨틀, 그리고 대기권이 형성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지구 맨틀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화학 작용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해왔지만 뚜렷한 연구 결과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바이로이트대학 연구 결과를 통해 지구 핵과 마그마에 포함돼 있는 물질의 화학반응 결과가 밝혀졌고, 이를 통해 지구 생성 초기 ‘마그마의 바다’ 속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근거 있는 추정이 가능해졌다.
산소 유출로 지구핵, 맨틀, 대기권 형성
논문은 대기 형성뿐만 아니라 지구 형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지구 역사 초기 이 미완성형 행성은 외부로부터 날라온 미행성체들과 끊임없이 충돌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강한 충격으로 온도가 높아져 지구 내부 암석들이 녹기 시작했고 거대한 ‘마그마의 바다’를 형성했다.
연구팀은 이 바다가 산소를 다량 포함한 금속철(metalic iron)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성분이 다양한 철로 분리됐으며, 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제1철(ferrous ion)이 지구 중심부에 내려앉아 철 핵(iron core)을 형성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반면 산소가 추가된 산화제2철(Fe3+) 등은 외부로 솟아올라 맨틀을 비롯 지구 대기권을 형성했다고 결론지었다.
연구 결과는 8월 30일 ‘사이언스’ 지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Deep magma ocean formation set the oxidation state of Earth’s mantle’이다.
연구팀은 지구 생성 초기 역사를 재현하기 위해 금속철(metalic iron) 성분에 대한 고강도의 실험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특히 관심을 기울인 것은 마그마 깊은 곳에 다량 포함돼 있는 금속철이다. 이 성분은 운석에서 다량 발견되고 있는데 원시태양계 안에서 응축·집적·용융·재결정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치는 과정 그 중간단계에 있는 물질을 말한다.
산소가 다량 함유돼 있는 황산제2철에 강한 압력을 가한 결과 금속철이 추가된 황산제3철로 변화하는 결과를 얻었다. 반대로 압력을 줄여 금속철을 제거했을 때 황산제3철이 황산제2철로 변화했다.
연구팀은 이 실험 결과를 토대로 지구 형성 초기 ‘마그마의 바다’로부터 황산제3철이 분리되면서 아래쪽 지구 중심부에 철 핵이 형성됐으며, 철 핵이 형성되는 이 분리 과정에서 산소 등 가스가 다량 분출돼 철 핵 위쪽에 있는 맨틀의 산화 과정을 증가시켰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지구 외부로 산소를 포함한 가스를 대량 분출하면서 지금의 산성화된 대기를 형성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2128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