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폭염, 극심한 가뭄, 따뜻한 겨울, 파괴적인 홍수 등 극한의 기상현상이 지구 상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2일(현지 시각) ‘2021년 기후 현황 잠정보고서(State of the Climate in 2021)’를 발표하고 이어지는 기상이변이 지구기후의 새로운 기준인 ‘뉴 노멀(New Normal)’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부터 지금까지 20년간 평균 기온은 산업혁명 이전 수준보다 1℃를 넘어섰으며, 지난 7년은 기록상 가장 따뜻한 7년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COP26이 시작된 가운데 발표된 이번 보고서는 2021년 첫 9개월 동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세계기상기구는 ‘2021 기후 현황 잠정보고서’를 통해 최근 수년간 기상이변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으며, 폭염‧가뭄‧홍수 등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극한의 기상현상이 뉴 노멀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WMO
최근 수년간 기온‧온실가스 등 사상 최고치 갱신
WMO는 이 보고서가 “우리의 눈앞에서 지구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최신 과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작성됐다.”고 밝혔다. 깊은 바다에서 산꼭대기까지, 빠른 속도로 녹는 빙하에서 끝없이 이어질 것 같은 극한 기상 현상에 이르기까지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기상이변이 전 세계의 생태계와 공동체를 황폐화시키고 있다는 것.
WMO의 페트리 탈라스(Petteri Taalas) 사무총장은 2일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그린란드 빙상 정상에 기록상 처음으로 눈이 아닌 비가 내렸으며, 캐나다 빙하는 급속하게 녹고 있는 가운데 2021년 들어 전 세계 해수면 높이가 최고치를 넘어섰다.”고 말했다.
그는 또 “또 캐나다와 미국 인접 지역의 폭염으로 인해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의 한 마을은 기온이 거의 50°C까지, 캘리포니아 데스 밸리(Death Valley)의 기온은 54.4°C 치솟았으며, 지중해의 많은 지역에서 기록적인 고온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극한의 더위는 산불과 화재를 동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850년 이후 2021년까지 전 지구 평균 기온을 비교한 그래프. 2002년부터 지금까지 20년간 1850~1900년 평균보다 약 1.09°C 상승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WMO
피해도 막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과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몇 시간 사이에 몇 달 동안 내릴 비가 내렸고, 이 때문에 많은 사상자와 수십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으며, 아열대 남아메리카에서는 2년 연속 가뭄이 발생해 거대한 강 유역의 흐름이 감소하고 농업을 비롯하여, 운송 및 에너지 생산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말했다.
오존 연구의 권위자인 탈라스 사무총장은 “(이처럼 기상이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극단적인 기상현상이 지구의 새로운 규범이 되고 있으며, 그 결과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의 발자국을 가지고 있다’는 과학적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탈라스 교수는 “지금과 같은 속도로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할 경우 파리기후협정의 최종 목표인 산업화 이전인 1750년 대비 1.5°C를 넘어서는 1.5~2°C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극한의 날씨, 빙하 퇴각 및 해빙, 해수면 상승, 해양 온난화 및 산성화, 극한 기상이변을 예고하는 것”이라며, “COP26은 인류의 삶을 정상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는지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기회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해양 산성도 2만 600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온실가스 농도는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산화탄소 수준은 413.2 ppm(parts per million), 메탄은 1889 ppb(parts per billion), 아산화질소는 333.2 ppb로 산업화 이전인 1750년 대비 각각 149%, 262%, 123%를 기록했다.
온실가스 농도는 2021년 들어서도 계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WMO는 “기록적인 대기 온실가스 농도로 인해 축적된 열량이 팽창하면서 현재와 미래 기후 전반에 이미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2021년 1~9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 전 세계 평균 기온은 1850~1900년 평균보다 약 1.09°C 높았다고 밝혔다. 또한, 기온상승이 이어진 지난 7년은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후 가장 따뜻한 7년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구 시스템에 축적된 열은 약 90%가 해양에 저장되고 있다. 그 결과 수심 2,000m 이상의 상층부 수온은 2019년에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모든 데이터들은 지난 20년 동안 해양 온난화가 가속화됐다는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
이로 인해 올해 들어 대부분의 바다가 ‘강력한(strong’ 해양 열파에 직면하고 있는데 특히 북극의 랍테브 해(Laptev Sea)와 보퍼트 해(Beaufort Sea)는 2021년 1월부터 4월까지 ‘심각한(extreme)’ 해양 폭염 현상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해양은 대기에서 배출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23%를 흡수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산소화가 더욱 극심해지고 있다. 산성화를 나타내는 대양 표면의 수소이온농도(pH)는 지난 4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감소했는데 지금은 2만 600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과학자들은 최근의 pH 변화 속도는 전례가 없었다고 말하고 있다. 해수면 상승은 육지와 해양의 얼음(빙하)이 녹은 결과다.
1990년대 초부터 고정밀 고도계 위성으로 측정한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 폭은 1993년에서 2002년 사이에 연간 2.1mm, 2013년에서 2021년 사이에 연간 4.4mm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북미 빙하의 질량 손실은 지난 20년 동안 가속화돼 2015~2019년 기간 동안 2000~2004년 대비 약 2배를 넘어서고 있다. 이로 인해 2021년 북미 서부 기온이 유난히 따뜻해지고 건조한 여름이 이어지면서 산악 빙하가 더 빨리 녹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환경 변화로 인해 인류가 큰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가뭄이 극심한 에티오피아, 남수단, 예멘 및 마다가스카르 등에서 기아 등으로 인해 죽음에 직면한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UN에서는 식량계획에 따라 2021년 전 세계 기아 인구가 전체의 9%(약 7억 1000만 명)로 감소할 것을 예상했으나 2021년 10월 현재 그 수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더구나 2020~2021년 라니냐로 인해 극단적인 기상이변이 예고되고 있다.
보고서를 접한 안토니오 구테흐스(Anto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은 “과학자들은 사실에 있어 명확하다.”며, “우리의 미래를 지키고 인류를 구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COP26을 통해 지금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606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44억년 전 초기 지구에서 생명체 재료가 되는 탄화수소, 알데히드, 알코올 등 유기 분자들이 철이 풍부한 운석이나 화산재 입자들이 촉진하는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진이 안정적이고 부작용이 적으면서 수술 후 전이·재발을 막을 새로운 형태의 암 치료 백신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한국연구재단은 울산대 진준오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서 얻은 표면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한 지질 나노입자(AiLNP)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복통, 설사, 직장 출혈, 철 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등 4가지 징후 또는 증상이 50세 이전에 나타나는 조기 발생(early-onset) 대장암의 경고 신호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화학 섬유에서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 오염에 경각심을 갖고 생분해가 가능한 옷을 찾는 착한 소비가 생기고 있지만 생분해를 내세우며 개발된 섬유도 실제 환경에서는 제대로 썩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인 화성 탐사를 앞두고 이것이 실제 가능한지 관심이 높은 가운데 쥐 머리에 초음파를 쏴 동면 상태를 안전하게 반복 유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WUSL) 홍 천 교수팀은 26일 과학저널 '네이처 신진대사'(Nature Metabolism)에서 초음파 펄스를 생쥐와 쥐의 뇌 특정 부위에 쏴 동면 상태를 안전하게 가역적으로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방법은 머리 위에 초음파 방출기를 장착하는 비침습적 방식으로 초음파를 쏴 뇌의 신경 세포를 일시적으로 활성화해 체온을 낮추고 신진대사를 늦출 수 있다며 향후 의학이나 장거리 우주 비행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플라보놀 성분을 함유한 사과와 블랙베리 등을 섭취하는 것이 노인의 '노쇠' 발현 가능성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쇠(frailty)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능이 필연적으로 떨어지는 노화(aging)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일상에 지장을 줄 만큼 나이에 비해 신체기능이 심각하게 약해져 낙상과 골절 등을 초래할 위험이 높고 장애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 하버드의대 계열 임상 연구소인 '힌다·아서 마커스 노화연구소' 등에 따르면 플라보노이드의 하위그룹인 '플라보놀' 섭취와 노쇠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미국 임상영양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발표했다.
북극해 식물플랑크톤이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예상치보다 최대 3배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극지연구소가 24일 밝혔다. 포항공과대학교 국종성 교수 연구팀, 극지연구소 양은진 박사,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임형규 박사 등으로 구성된 국제공동연구팀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탐사를 포함한 다양한 북극해 현장 탐사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활용해 북극해 식물플랑크톤의 농도 예측기법을 개발했다. 이를 적용한 결과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2100년 식물플랑크톤의 농도는 기존 IPCC 5차, 6차 보고서의 예측과 비교할 때 감소 폭이 최대 3배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