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푸는 과학 궁금증] 인간 게놈 분석이란 무엇인가?
모든 사람들은 얼굴 생김새, 체격, 성격, 운동 능력, 지능 등에서 조금씩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이것은 사람마다 타고난 설계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 설계도는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유전 정보로 만들어지는데, 이 유전 정보를 해석하는 일을 인간 게놈 분석이라고 한다.
유전 정보는 DNA에 새겨져 있다
사람 세포의 핵에는 23쌍의 염색체가 들어있다. 염색체는 실 같이 생긴 물질이 촘촘하게 뭉친 실타래와 같다. 이 실 같이 생긴 물질이 바로 DNA이다. 핵 안에서 염색체를 꺼내 DNA를 실처럼 풀어보면 그 길이가 얼마나 될까? 사람의 경우 하나의 세포핵 안에 있는 DNA를 모두 연결하면 그 전체 길이가 약 2m나 된다고 한다. 2m나 되는 DNA가 그 길이의 1000만 분의 1에서 10만 분의 1에 불과한 핵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DNA가 분자 크기 정도로 가늘기 때문이다.
DNA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마치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사다리 모양이다. 이 사다리의 난간은 디옥시리보오스라는 당과 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다리의 계단은 염기로 구성되어 있다. 계단 하나하나는 2개의 염기가 결합된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염기는 모두 4종으로 A(아데닌), C(시토신), G(구아닌), T(티민)이다. 이 4가지 염기가 어떤 순서로 배열되어 있느냐가 바로 유전 정보이다. 몸의 어느 세포에서 DNA를 뽑아 분석하든지 같은 사람이면 DNA 염기순서가 똑같다.
DNA의 유전 정보를 복사한 가닥이 핵 밖으로 나와 유전 정보를 전달하고, 이 유전 정보에 따라 아미노산들이 다양한 순서로 결합하여 단백질들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들이 생물체의 모양을 만들고 기능을 조절한다.
DNA 구조는 마치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사다리 모양이다.ⓒ윤상석
인간의 게놈 분석
게놈(genome)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를 합쳐 만든 말로 하나의 세포에 들어 있는 DNA의 염기 배열 전체를 뜻한다. 인간의 게놈은 약 30억 개나 되는 염기쌍으로 이루어졌다. 참고로 생쥐는 염기쌍이 33억 개이고, 메뚜기의 염기쌍은 50억 개다. 식물의 경우는 이보다 훨씬 많아서 꽃을 피우는 식물의 경우는 대개 염기쌍이 1000억 개가 넘는다.
인간의 게놈인 약 30억 개의 정보는 어느 정도의 양일까? 염기쌍을 한 개의 문자라고 한다면, A4용지 1장당 1000문자를 채운다고 가정했을 때 A4용지가 300m나 쌓이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이렇게 많은 정보를 다 알아내는 일은 엄청난 시간과 인력이 들어가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1990년부터 시작된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의해 과학자들은 13년간 약 3조 5000억 원의 비용을 들여 2003년에 인간 게놈 정보를 모두 알아냈다.
인간의 게놈인 약 30억 개의 정보를 다 알아내기 위해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어갔다. ⓒ윤상석
인간 게놈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
인간 게놈 전부가 유전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DNA의 염기 배열 전체에서 유전 정보가 위치한 부위가 따로 있는데, 이 부위를 유전자라고 한다. 30억 개의 문자 배열 여기저기에는 수천~수만 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진 유전자들이 흩어져 있다. 인간 게놈에 있는 유전자 수는 약 2만~2만 5000개인데, 인간 DNA의 전체 염기 배열 중에서 실제 유전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2%에 불과하다. 유전자가 없는 나머지 98% DNA의 역할에 대해 과학자들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간 게놈의 약 80%나 되는 영역이 유전자의 정보를 읽어내는 일과 관련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인간 한 사람 한 사람의 게놈은 거의 같지만 개인마다 0.1~0.4%의 차이가 있다. 유전자의 유무가 아니라 유전자 하나하나의 근소한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이 차이 때문에 사람마다 얼굴 생김새나 체격 등에서 다른 개성을 갖는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다양한 사람의 게놈을 연구하여 어느 유전자가 어떤 신체 특징과 관계가 있는지 밝혀내고 있다. 또한 성격이나 능력과 관련된 유전자도 밝혀내고 있는데, 미국에서는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성격이나 능력을 판정해 주는 검사 서비스를 해 주는 곳도 있다. 그리고 유전자 분석을 통해 일부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고, 개인별로 일어날 수 있는 약의 부작용도 미리 알아낼 수도 있다. 앞으로 유전자 분석 기술이 계속 발달하면 가까운 미래에는 한 방울의 혈액만으로도 그 혈액 주인의 체격과 얼굴 생김새, 머리카락 굵기 등을 알아낼지도 모른다.
인간 한 사람 한 사람의 게놈은 거의 같지만 개인마다 0.1~0.4%의 차이가 있다.ⓒ윤상석
(1630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성인 암 생존자는 심부전,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심장-종양 실장 로베르타 플로리도 교수 연구팀이 1987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동맥경화 위험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참가자 1만2천414명(평균연령 54세)의 2020년까지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9일 보도했다.
오늘은 국제 소행성의 날입니다. 소행성 충돌 위험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국제사회에 요청하기 위해 2016년 유엔(UN)이 공식 지정했죠. 6월 30일은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 상공에서 지름 50m급 소행성이 폭발해 2천㎢의 숲을 황폐화한 날이기도 합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실려 궤도에 올라간 성능검증위성에서 조선대 학생팀이 만든 큐브위성(초소형 위성)이 성공적으로 사출(분리)돼 일부 상태 정보를 지상으로 보냈다. 다만 자세 안정화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조선대팀 큐브위성 'STEP Cube Lab-Ⅱ'가 29일 오후 4시 50분께 성공적으로 분리된 뒤 30일 오전 3시 48분께 지상국이 이 큐브위성의 일부 상태정보(비콘신호)를 수신했다고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노 입자를 제어해 폭은 좁고 키가 큰 섬모 구조를 제작하는 자가 조립 방식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학과 정훈의 교수 연구팀은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 자성 입자를 위로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섬모 구조를 가늘고 길게 합성해 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섬모는 액체 속에서도 움직임이 자유롭고, 작은 외부 힘에도 민감하게 반응해 다양한 기능을 만들어낼 수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동쪽으로 약 100㎞ 떨어진 '간스바이' 해역은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로 꼽히는 백상아리가 자주 출몰하는 천혜의 집결지로 알려져 있다. 백상아리가 몰려들다 보니 바닷속 철창 안이나 배 위에서 이들을 가까이 보고 체험하려는 관광객이 자주 찾는 유명 관광지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난 2017년부터 범고래 한 쌍이 나타나 백상아리를 사냥하기 시작한 뒤 다른 백상아리들이 이들에 대한 두려움으로 간스바이의 특정 해역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붉은 행성' 화성에서 고대 생명체 흔적을 확인하기 위해 로버가 활동 중이지만 이를 찾아내는 것이 예상보다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로버들은 약 5㎝를 드릴로 뚫고 토양과 암석 시료를 채취하는데, 화성 표면에 내리쬐는 우주선(線)으로 고대 생명체 흔적이 있었다고 해도 모두 분해돼 적어도 2m 이상 파고들어야 하는 것으로 제시됐기 때문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의 알렉산더 파블로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화성 환경 조건을 만들어 고대 생명체의 증거가 될 수 있는 아미노산의 분해를 실험한 결과를 과학저널 '우주생물학'(Astrobiology)에 발표했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억제 목표인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상 오르면 절정을 찍고 다시 떨어진다고 해도 이후에도 수십년에 걸쳐 생물다양성을 위협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왔다. 지구촌이 합의한 기온 상승 억제 목표를 최종적으로 달성해도 중간 과정에서 이를 넘어서면 파괴적 영향이 이어지는 만큼 일시적으로라도 이를 넘어서지 않도록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